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3.5.) ※ 3쪽 (경기 안양시청 직원 관련) 첫 확진자 발생 날짜 25일로 수정(3.5. 18:15)
1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정은경 청장)는 3월 5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81명, 해외유입 사례는 17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91,638명(해외유입 7,146명)이라고 밝혔다.
○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37,111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27,270건(확진자 57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64,381건, 신규 확진자는 총 398명이다.
○ 신규 격리해제자는 398명으로 총 82,560명(90.09%)이 격리해제되어, 현재 7,451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135명, 사망자는 8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1,627명(치명률 1.78%)이다.
【국내 발생 확진자 현황(3.5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신규
381
129
20
3
12
5
0
168
4
19
8
2
누계
84,492
27,886
3,167
8,520
4,273
1,981
1,142
926
212
22,883
1,812
1,730
2,304
1,118
803
3,127
2,057
551
【해외유입 확진자 현황(3.5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추정)유입국가*
확인 단계
국적
중국
아시아(중국 외)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검역단계
지역사회
내국인
외국인
17
7
13
9
7,146
40
3,182
1,238
2,320
343
23
2,996
4,150
3,857
3,289
(0.6%)
(44.5%)
(17.3%)
(32.5%)
(4.8%)
(0.3%)
(41.9%)
(58.1%)
(54.0%)
(46.0%)
* 아시아(중국 외) : 필리핀 4명(1명), 인도네시아 1명, 카자흐스탄 2명(2명) 아메리카 : 미국 6명(3명), 브라질 1명 아프리카 : 나이지리아 2명(2명), 우간다 1명(1명) ※ 괄호 안은 외국인 수
【확진자 관리 현황*(‘20.1.3일 이후 누계)】
격리해제
격리 중
위중증 환자**
사망자
3.4.(목) 0시 기준
82,162
7,459
140
1,619
3.5.(금) 0시 기준
82,560
7,451
135
1,627
변동
(+)398
(-)8
(-)5
(+)8
* 3월 4일 0시부터 3월 5일 0시 사이에 질병관리청으로 신고·접수된 자료 기준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3월 5일(0시 기준) 국내 주요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1페이지 0시 기준 통계, 지자체 자체 발표 자료와 집계시점 등의 차이로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향후 역학조사에 따라 분류 결과 변동 가능 ○ 3월 5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81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371.9명), 수도권에서 309명(81.1%) 비수도권에서는 72명(18.9%)이 발생하였다.
(주간 : 2.27일~3.5일, 단위 : 명)
전국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경북권
경남권
강원권
제주권
(서울, 인천, 경기)
(대전, 세종, 충남, 충북)
(광주, 전남, 전북)
(대구, 경북)
(부산, 울산, 경남)
(강원)
(제주)
3.4일(0시 기준)
309
28
주간 일 평균
371.9
295.4
19.4
18.1
13.9
18.3
4.4
2.3
주간 총 확진자 수
2,603
2,068
136
127
97
128
31
16
○ 수도권
2.27.
2.28.
3.1.
3.2.
3.3.
3.4
3.5
주간 누계
323
268
262
241
353
312
130
117
92
120
116
117.3
821
27
14
10
18
16.1
113
166
138
156
111
218
177
162.0
1,134
- (서울 노원구 음식점 관련) 3월 3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추직관리 중 9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0명*이다.
* (구분) 방문자 8명(지표포함), 가족 2명
- (서울 동대문구 아동시설 관련) 2월 28일 이후 접촉자 추적관리 중 2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1명*이다.
* (구분) 종사자 5명(지표포함, +1), 이용자 2명, 지인 3명, 가족 1명(+1)
- (서울 영등포구 음식점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3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37명*이다.
* (구분) 종사자 1명(지표환자), 방문자 15명(+1), 가족 8명, 지인 7명, 기타 6명(+2)
- (서울 은평구 사우나 관련) 접촉자 조사 중 3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5명*이다.
* (구분) 이용자 9명(지표포함, +1), 가족 6명(+2)
- (인천 남동구 요양병원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2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21명*이다.
* (구분) 종사자 7명(지표포함, +1), 입소자 14명(+1)
- (경기 동두천시 외국인집단발생 관련) 동두천시 임시선별검사를 통해 11명의 외국인이 추가 확진되어 가족, 직장, 커뮤니티 접촉자에 대해 일제검사 등 추적관리가 진행 중이다.
계
3.3
① 동두천시 검사건
1,538
509
154
351
524
692
② 외국인 확진자*
114
-
81
15
11
* 확진일 기준 분류로 전일 검사자 다수 포함
- (경기 고양시 의류수출업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9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0명이다.
환자 구분
① 무역회사1 관련
종사자 3명(지표포함)
② 무역회사2 관련
종사자 6명, 가족 1명
- (경기 포천시 섬유제조업 관련) 2월 26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9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0명*이다.
* (구분) 직원 4명(지표포함), 가족 6명
- (경기 이천시 (박스)제조업 관련) 접촉자 조사 중 5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39명*이다.
* (구분) 종사자 26명(지표포함, +1), 가족 7명(+2), 기타 4명, 지인 2명(+2)
- (경기 안산시 (부품)제조업 관련) 3월 2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9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0명*이다.
* (구분) 직원 9명(지표포함), 가족 1명
- (경기 안양시청 직원 관련) 2월 25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추적관리와 역학조사를 통해 관련성이 확인된 누적 확진자는 총 10명이다.
① 공공기관 1
직원 5명(지표포함), 가족 3명
② 공공기관 2
직원 2명
○ 충청권
21
29
1.3
6
2.6
11.6
4.0
- (세종시 군부대 관련) 3월 3일 이후 접촉자 추적관리 중 5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0명*이다.
* (구분) 군인 6명(지표포함, +1), 가족 2명(+2), 지인 2명(+2)
- (충북 청주시 식품회사 관련) 3월 3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6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7명*이다.
* (구분) 가족 2명(지표포함), 동료 4명, 지인 1명
- (충북 충주시 농업회사 관련) 2월 26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6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7명이다.
① 직장 관련
직원 3명(지표포함), 가족 1명
② 병원 관련
직원 2명, 지인 1명
○ 호남권
36
7.1
50
8.6
60
2.4
- (광주 서구 콜센터 관련) 3월 3일 이후 접촉자 추적관리 중 3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73명*이다.
* (구분) 종사자 53명(지표포함, +1), 가족 13명(+2), 사우나 3명, 지인 3명, 기타 1명
○ 경북권
24
5.3
37
- (대구 북구 대학생지인모임2 관련) 접촉자 조사 중 3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31명이다.
① 모임 1 관련
가족 6명(지표포함), 지인 2명
② 모임 2 관련
지인 5명, 기타 6명
③ 모임 3 관련
8(+3)
지인 3명, 가족 1명, 기타 4명(+3)
④ 모임 4 관련
지인 2명, 기타 2명
* 역학조사 결과, ‘⑤ 음식점 관련 → ② 모임2 관련’으로 재분류함
○ 경남권
22
26
13.0
91
1.6
3.7
- (부산 서구 항운노조2 관련) 2월 27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8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9명*이다.
* (구분) 종사자 8명(지표포함), 가족 1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예방접종 현황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 정은경)은 3월 5일 0시 기준 신규로 67,153명이 추가 접종받아 225,853*명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221,944명, 화이자 백신 3,909명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현황(3.5일 0시 기준, ‘21.2.26일 이후 누계)】
67,153
9,355
4,365
2,688
4,900
1,161
1,181
1,250
121
19,336
1,335
2,674
3,356
1,971
2,827
4,238
5,859
536
225,853
23,015
18,684
8,994
14,055
9,626
5,993
4,069
440
51,996
5,170
8,885
12,742
11,762
13,450
13,339
21,946
1,687
* 2월 26일∼3월 3일 접종자 4,279명이 3월 4일 추가로 등록되어 누계에 포함됨
※ 상기 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 접종기관 및 대상자별로는 요양병원은 152,810명(74.7%), 요양시설은 43,556명(40.2%), 1차 대응요원은 1,131명(1.5%),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은 24,447명(7.9%),
- 코로나19 환자치료병원은 3,909명(6.9%)이 예방접종을 받았다.
【접종기관ㆍ대상자별 예방접종 현황(3.5일 0시 기준, ‘21.2.26일 이후 누계, 단위: 명, %)】
전체
대상자
752,949
130,973
59,403
38,889
41,995
27,431
23,556
14,387
2,228
161,675
23,394
23,054
31,582
31,109
36,097
42,851
55,534
8,791
접종자
접종률
30.0
17.6
31.5
23.1
33.5
35.1
25.4
28.3
19.7
32.2
22.1
38.5
40.3
37.8
37.3
31.1
39.5
19.2
요양병원
204,606
17,199
21,328
8,754
10,897
8,894
6,176
4,789
342
47,315
3,976
6,213
9,383
9,904
12,253
15,161
21,172
850
152,810
11,515
16,061
6,427
8,575
7,841
4,740
3,747
319
32,409
2,944
5,076
7,368
8,619
9,978
10,239
16,321
631
74.7
67.0
75.3
73.4
78.7
88.2
76.7
78.2
93.3
68.5
74.0
81.7
78.5
87.0
81.4
67.5
77.1
74.2
요양시설
108,386
7,728
3,724
4,606
7,586
2,085
3,787
1,248
369
32,317
5,621
5,469
6,212
5,044
5,690
7,687
6,731
2,482
43,556
3,241
1,793
1,935
2,493
1,724
1,253
229
61
8,434
2,119
2,255
3,896
3,056
3,274
2,763
3,986
1,044
40.2
41.9
48.1
42.0
32.9
82.7
33.1
16.5
26.1
37.7
41.2
62.7
60.6
57.5
35.9
59.2
42.1
1차 대응요원
75,288
10,130
3,903
1,939
4,401
1,569
1,395
1,160
579
12,987
4,377
3,432
6,205
4,204
5,852
6,095
5,657
1,403
1,131
87
63
448
108
39
43
110
84
1.5
0.9
0.5
0.3
1.4
1.7
0.0
1.1
3.1
0.2
0.7
1.8
병원급이상의료기관
308,298
83,261
26,457
20,695
11,059
13,840
8,790
4,754
191
60,074
8,247
5,311
8,425
10,852
11,524
12,037
20,534
2,247
24,447
5,966
700
201
2,699
48
10,479
1,406
1,318
227
1,333
7.9
7.2
1.0
24.4
31.4
17.4
26.5
15.6
0.1
1.9
6.5
코로나치료병원
56,371
12,655
3,991
2,895
8,052
1,043
3,408
2,436
747
8,982
1,173
2,629
1,357
1,105
778
1,871
1,440
1,809
3,909
2,206
112
426
225
34
32
226
46
146
222
6.9
2.8
14.7
2.5
3.9
10.8
4.3
18.8
15.4
* 접종대상 : (아스트라제네카) 요양병원·요양시설 등의 만 65세 미만 입소자·종사자, 1차 대응요원,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화이자) 코로나19 환자 치료병원 종사자
** 정신의료기관까지 포함되어 있으며, 정신 의료기관은 정신건강의학과 폐쇄병동 입원환자를 포함함
※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의심되어 신고된 사례(3.5일 0시 기준)는 총 1,578건*(신규 860건)으로,
* 2개 이상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중복 신고 가능
- 1,558건(신규 849건)은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날 수 있는 두통, 발열, 메스꺼움, 구토 등 경미한 사례였으며,
- 13건(신규 6건)의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 1건(신규 1건)의 경련 사례, 6건(신규 4건)의 사망 사례가 보고되어 조사가 진행 중이다.
* 아나필락시스 쇼크, 아나필락시스양, 아나필락시스로 구분
【코로나19 예방접종후 이상반응 신고현황(3.5일 0시 기준, ‘21.2.26일 이후 누계, 단위: 명)】
접종자수
(누계)
일반1)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2)
경련
사망사례
860
849
1,578
1,558
아스트라제네카
221,944
856
845
1,567
1,547
화이자
1) 두통, 발열, 메스꺼움, 구토 등 경증 사례
2) 아나필락시스양 반응(12건)* 및 아나필락시스 쇼크(1건) 의심사례로 의료기관에서 신고된 사례
* 예방접종 후 2시간 이내 호흡곤란, 두드러기 등의 증상이 나타난 경우로 아나필락시스와는 다름
※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의심되어 신고된 건으로 인과성이 확인되지 않은 사례이며, 사망이나 아나필락시스 등의 중증사례에 한해 역학조사를 실시하여 인과성을 평가할 예정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은 어제 3.4일 14시 이후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2건의 사망사례와 1건의 경련 사례가 신고되어 현재 조사 중이며, 역학조사 및 피해조사반을 개최하여 인과성을 평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통계에 반영되지 않은 사망사례 1건은 3.6일 0시 통계에 반영할 예정임
○ 사망자 A씨(남, 40대)는 요양병원 입원환자로 기저질환이 있으며, 3.2일 15시경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아스트라제네카) 후 46시간 경과 후 3.4일 13시경 사망을 확인하였다.
○ 사망자 B씨(남, 60대)는 요양병원 입원환자로 기저질환이 있으며, 3.2일 14시경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아스트라제네카) 후 54시간 경과 후 3.4일 20시반경 사망하였고, 3.5일 0시 이후 신고되었다.
○ 경련 의심사례가 나타난 C씨(여, 40대)는 요양병원 입원환자로 기저질환이 있으며, 3.3일 11시경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아스트라제네카) 후 12시간 경과 후 발열이 나타났고, 이후 경련이 나타나 종합병원으로 이송되어 치료 중이다.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은 이번달에도 백신이 계획대로 순차적 도입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우선, 코백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5월까지 공급될 210만 회분(105만 명분)을 △3월 69만 회분(약 35만 명분), △4~5월 141만 회분(약 70만 명분)으로 나누어 도입될 계획이다.
○ 개별 계약한 화이자 백신의 경우, △이번달 100만 회분(50만 명분)이 도입되고, 이어서 △2분기(4~6월)에 600만 회분(300만 명분)이 순차적으로 도입될 예정이다.
○ 아울러, 당초 2분기 공급하기로 계획된 얀센·모더나 백신 등도 해당 제약사와 구체적인 공급 일정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 추진단은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백신 공급의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나, 국내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된 만큼,
- 접종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안정적인 백신 수급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임을 강조했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붙임> 1.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2.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3. 수도권 방역조치 요약표(’21.3.1. ∼ ’21.3.14.) 4. 비수도권 방역조치 요약표(’21.3.1. ∼ ’21.3.14.) 5.「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가족 감염 최소화를 위한 방역수칙 2. 가족 중 의심환자 발생시 행동요령 점검표 3. 새로운 생활 속 거리 두기 수칙 웹포스터 2종 4. 코로나19 일상적인 소독방법 바로 알기 카드뉴스 5. 올바른 소독방법 카드뉴스 1, 2, 3편 6.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내 및 주의사항(환경부) 7.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안전 사용을 위한 홍보자료 목록(환경부) 8. 코로나19-인플루엔자 동시유행 대비 대국민 행동 수칙 9.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관련 홍보자료 10. 코로나19 예방 손씻기 포스터 11. 일상 속 유형별 슬기로운 방역생활 포스터 6종 12.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13. 생활 속 거리 두기 행동수칙 홍보자료(3종) 14. 마음 가까이 두기 홍보자료 15.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16.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7.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8.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건강한 생활 습관 19.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20.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21.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3.5.)"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가능, 변경 가능)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유형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이전글이 없습니다.
다음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