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4.6., 정례브리핑) ※ 12쪽 신규 사망 사례 현황 표 접종일 수정(14:42), 4쪽 지역명 정정(15:42)
1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정은경 청장)는 4월 6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60명, 해외유입 사례는 18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06,230명(해외유입 7,721명)이라고 밝혔다.
○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52,470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37,261건(확진자 45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89,731건, 신규 확진자는 총 478명이다.
○ 신규 격리해제자는 463명으로 총 97,363명(91.65%)이 격리해제되어, 현재 7,115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112명, 사망자는 4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1,752명(치명률 1.65%)이다.
【국내 발생 확진자 현황(4.6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신규
460
145
34
17
27
6
22
4
0
100
15
10
29
25
7
누계
98,509
31,996
3,950
8,848
4,936
2,082
1,340
1,085
281
27,731
2,332
2,167
2,514
1,458
862
3,433
2,895
599
【해외유입 확진자 현황(4.6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추정)유입국가*
확인 단계
국적
중국
아시아(중국 외)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검역단계
지역사회
내국인
외국인
18
5
13
3
7,721
43
3,465
1,337
2,464
389
23
3,205
4,516
4,123
3,598
(0.6%)
(44.9%)
(17.3%)
(31.9%)
(5.0%)
(0.3%)
(41.5%)
(58.5%)
(53.4%)
(46.6%)
* 중국 1명(1명), 아시아(중국 외) : 필리핀 1명(1명), 아랍에미리트 2명(1명), 러시아 1명(1명), 파키스탄 2명(1명) 유럽 : 우크라이나 1명(1명), 코소보 2명(1명), 아르메니아 1명(1명) 아메리카 : 미국 6명(6명) 아프리카 : 에티오피아 1명(1명)
※ 괄호 안은 외국인 수
【확진자 관리 현황*(‘20.1.3일 이후 누계)】
격리해제
격리 중
위중증 환자**
사망자
4.5.(월) 0시 기준
96,900
7,104
97
1,748
4.6.(화) 0시 기준
97,363
7,115
112
1,752
변동
(+)463
(+)11
(+)15
(+)4
* 4.5일 0시부터 4.6일 0시 사이에 질병관리청으로 신고·접수된 자료 기준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4월 6일(0시 기준) 국내 주요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1페이지 0시 기준 통계, 지자체 자체 발표 자료와 집계시점 등의 차이로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향후 역학조사에 따라 분류 결과 변동 가능 ○ 4월 6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60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500.6명), 수도권에서 272명(59.1%) 비수도권에서는 188명(40.9%)이 발생하였다.
(주간 : 3.31일~4.6일 , 단위 : 명)
전국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경북권
경남권
강원권
제주권
(서울, 인천, 경기)
(대전, 세종, 충남, 충북)
(광주, 전남, 전북)
(대구, 경북)
(부산, 울산, 경남)
(강원)
(제주)
4.6 (0시 기준)
272
36
50
42
45
-
주간 일 평균
500.6
306.6
48.6
26.1
31.0
72.6
13.9
1.9
주간 총 확진자 수
3,504
2,146
340
183
217
508
○ 수도권
3.31.
4.1.
4.2.
4.3.
4.4.
4.5.
4.6.
주간 누계
287
342
316
311
276
156
197
164
154
146
149
158.7
1,111
20
19
21.6
151
106
125
143
108
126.3
884
- (서울 동대문구 음식점 관련) 4월 2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4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5명*이다.
* (구분) 종사자 10명(지표포함), 이용자 2명, 가족 3명
- (인천 연수구 어린이집/다중이용시설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37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56명이다.
계
환자 구분
① 어린이집 관련
32(+32)
교직원 9명(+9), 원생 11명(+11), 가족 9명(+9), 기타 3명(+3)
② 다중이용시설 관련
24(+5)
이용자 12명(지표포함, +2), 가족 7명(+2), 지인 4명(+1), 기타 1명
* 기존 ‘인천 연수구 음식점 관련’에서 역학조사 결과 추가전파 확인되어 집단명 수정 및 재분류
- (경기 고양시 원당법당 관련) 접촉자 조사 중 4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29명*이다. * (구분) 방문자 26명(지표포함, +4), 가족 및 지인 2명, 기타 1명
* (지역구분) 경기 7명, 서울 3명, 인천 4명, 대구 5명, 경북 3명, 경남 5명, 부산 2명
- (A교회 및 집회 관련) 접촉자 조사 중 30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64명이다.
신고지역 기준 구분
① 서울특별시
35(+5)
교인 29명(+5), 가족 5명, 지인 1명
② 부산광역시
1(+1)
확인중 1명(+1)
③ 대구광역시
17(+6)
교인 12명(+4), 가족 5명(+2)
④ 대전광역시
32(+4)
교인 22명, 가족 및 지인 10명(+4)
⑤ 광주광역시
교인 1명
⑥ 경기도
31(+11)
교인 26명(+10), 가족 2명, 지인 2명(+1), 기타 1명
⑦ 충청남도
2
교인 2명
⑧ 전라북도
23(+2)
교인 23명(+2)
⑨ 전라남도
⑩ 경상북도
21(+1)
교인 19명(+1), 가족 2명
○ 충청권
53
57
54
47
55
38
28
16.9
118
8
7.9
21
11
14
14.4
101
9.4
66
- (대전 동구 학원 관련) 4월 2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1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2명*이다.
* (구분) 학생 9명(지표포함), 강사 1명, 가족 2명
- (충북 청주시 흥덕구 직장 관련) 4월 1일 외국인 선제검사를 통해 3명의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5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8명*이다.
* (구분) 직원 4명(지표포함, +1), 가족 1명(+1), 지인 3명(+3)
- (충북 청주시/음성군 유흥주점 관련) 접촉자 조사 중 5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31명*이다. * (구분) 종사자 13명(지표포함), 이용자 9명(+2), 동료 3명(+3), 지인 3명, 기타 3명
○ 호남권
24
2.3
16
20.7
3.1
- (광주 서구 홀덤펍 관련) 4월 5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4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5명*이다.
* (구분) 종사자 5명(지표포함)
- (전북 전주시 직장 관련) 4월 3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1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2명*이다.
* (구분) 종사자 10명(지표포함), 가족 1명, 지인 1명
- (전북 전주시 지인모임 관련) 4월 1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8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9명*이다.
* (구분) 지인 5명(지표포함), 가족 2명, 동료 1명, 기타 1명
- (전북 익산시 마트 관련) 4월 4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7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8명*이다.
* (구분) 종사자 6명(지표포함), 가족 2명
- (전북 군산시 주점 관련) 4월 3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2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3명*이다.
* (구분) 지인모임 4명(지표포함), 종사자 1명, 지인 2명, 가족 4명, 기타 2명
- (전남 순천시 의료기기판매업/병원 관련) 4월 4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7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8명이다.
① 병원 관련
기타 1명
② 의료기기판매업체 관련
9
직원 1명, 이용자 4명, 지인 1명, 가족 3명
➂ 의원 관련
이용자 8명 (지표포함)
* (추정감염경로) 의료기기 → 병원/의원
○ 경북권
26
14.7
103
16.3
114
- (경북 경산시 스파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3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41명이다.
① 직장 관련
동료 2명(지표포함)
② 스파 관련
종사자 2명, 방문자 14명, 가족 3명, 지인 1명, 기타 2명(+2)
③ 노래연습실 관련
16(+1)
수강생 4명, 강사 2명, 가족 7명(+1), 기타 3명
* (추정감염경로) 스파 → 가족/직장 → 노래연습실
- (경북 경산시 노인요양시설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9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41명*이다. * (구분) 종사자 11명(지표포함, +7), 이용자 24명(+2), 요양원 입소자 3명, 가족 3명
○ 경남권
90
79
60
92
84
58
35
61
46
49.6
347
6.0
17.0
119
- (부산 유흥주점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17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290명이다.
① 유흥주점 관련
176
종사자 16명, 도우미 34명, 이용자 63명, 기타 63명
② 서구 냉장 사업체 관련
종사자 10명, 가족 4명, 기타 1명
③ 사하구 목욕탕·헬스장 관련
목욕탕 38명, 가족 8명, 헬스장 6명, 기타 5명, 조사중 1명
④ 사상구 공구 마트 관련
종사자 5명, 가족 4명
⑤ 중구 헬스장 관련
이용자 9명, 가족 2명
⑥ 서구 사무실 복합건물 관련
종사자 10명, 기타 11명
* 기존 하위분류(유흥주점, 유흥주점/서구사업체, 사하구 목욕탕/헬스장, 사상구 공구마트, 중구 헬스장, 서구 오피스텔 관련)에 대한 역학적 연관성 고려하여 집단명 수정 및 재분류 완료
○ 강원권
- (강원 평창군 장례식장 관련) 4월 1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8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9명*이다.
* (구분) 상주 및 친척 7명(지표포함), 방문자 6명, 지인 1명, 기타 5명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사업장 중심의 집단발생이 지속되고 있어 현황을 분석하고 주요 위험요인에 대해 주의를 당부하였다.
○ 올해 1월 이후 사업장 관련 집단감염 발생은 총 161건(총 3,462명)으로, 1월 41건(844명), 2월 60건(1,408명), 3월 60건(1,210명) 발생하였으며, 집단사례 1건당 관련 확진자는 21~24명 규모이었다.(’21.4.6일 기준)
○ 가장 많은 환자가 발생한 업종은 제조업으로, ’21년 1월부터 3월까지 총 54건(1,280명)이 발생하여 전체 집단발생 건 중 37%를 차지하였고, 서비스업, 육가공업, 도소매업 관련이 그 뒤를 이었다.
- 2월 대비 3월 확진자 수는 서비스업, 육가공업 등에서 주로 증가하였고, 반면 제조업과 도소매업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1년 1~3월 사업장 유형별 코로나19 발생현황(4.6일 0시 기준, 단위 : 명)】
사업장
유형1)
1월
2월
3월
건
%
명
(1건당)
전월대비 증감
명 (%)
161
100.0
3,462
41
844
(20.6)
1,408
(23.5)
1,210
(20.2)
△198(-14.1%)
제조업
33.5
1,280
37.0
255
(18.2)
747
(34.0)
278
(15.4)
△469(-62.8%)
서비스업2)
17.4
645
18.6
(10.0)
257
(23.4)
368
(24.5)
▲111(43.2%)
육가공업
5.6
481
174
(87.0)
(28.5)
193
(64.3)
▲79(69.3%)
도소매업3)
13.7
268
7.7
64
(10.7)
127
(12.7)
77
(12.8)
△50(-39.4%)
사무업
233
6.7
171
(14.0)
48
(24.0)
▲34(242.9%)
금융업
141
4.1
33
(16.5)
70
(17.5)
▲37(112.1%)
운송업
4.3
(12.0)
(11.0)
62
(20.7)
▲40(181.8%)
건설업
96
2.8
51
(15.0)
△6(-11.8%)
정보통신업4)
3.7
2.6
(11.3)
공공기관
83
2.4
(12.5)
(10.8)
△28(-65.1%)
콜센터
37
1.1
1) 총 확진자 수는 관련 사례(추가 전파사례 : 가족·지인 등)를 포함
2) 서비스업(일반음식점/부동산업/인테리어서비스/기술서비스/자동차정비서비스/조경서비스 등)
3) 도소매업(백화점/마트/약국/가전도소매/식품도소매 등)
4) 정보통신업(통신사/보안업체 등)
○ 대표적인 사업장 내 집단발생 사례로는 육가공업 관련 208명(충북 충주시 육류가공업 관련, 68명/ 경기 안성시 축산물공판장 관련, 140명), 제조업 관련이 200명(경기 남양주시 플라스틱공장 관련)으로 가장 많았고,
- 서비스업 관련 82명(서울 광진구 음식점 관련), 도소매업 관련 20명(경기 광주시 재활용의류선별업 관련) 등이 있었다.
- 지표환자는 대부분 해당 사업장의 종사자였고, 이후 동료 및 가족·지인 등에게 추가 전파가 이루어졌다.
○ 주요 위험요인으로 △증상 발생 이후 업무 또는 다중이용시설 방문, △환기 불충분하고 밀폐된 작업 환경, △공용공간, 기숙사 생활 중 기본 방역수칙 준수 미흡 등이 확인되었다.
○ 방역당국은 전국적으로 사업장과 종사자 간 소모임을 통한 집단감염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 사업주에게 직원 대상으로 지속적인 감염예방교육과 함께, ‘코로나19 관련 증상이 있는 경우 즉시 검사 받도록’ 독려해주시기를 요청하였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현재 일평균 환자 수가 500명을 넘었고, 유행이 수도권 중심에서 전국으로 확대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면서, 4차 유행 여부를 결정하는 중대한 기로에 있다고 강조하였다.
○ 특히, 내일(4.7일) ’21년 재·보궐 선거를 실시함에 따라, 투표 시 시민들의 적극적인 거리두기, 철저한 방역수칙 준수가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 투표 시 ▲본인 확인 목적 외에 마스크 상시 착용, ▲투표소 내 거리두기 철저, ▲투표 시행 전·후 손위생 철저를 당부하였다.
○ 아울러, 아래의 세가지 방역수칙을 준수할 것도 거듭 당부하였다.
- 첫째, 마스크 상시 착용, 손 씻기, 주기적인 환기 등과 함께 증상이 있으면 검사를 받아야 한다.
▪특히, 발열·기침·근육통 등 의심 증상이 있으면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을 방문하지 말고 코로나19 검사를 받아야 한다.
- 둘째, 필요하지 않은 모임은 취소하고, 만나는 인원은 줄이며 5인 이상 집합금지 등 거리두기를 반드시 실천한다.
▪2주간 연장된 거리두기(3월 29일∼, 수도권 2단계, 비수도권 1.5단계)와 방역수칙을 충실히 이행한다.
▪실내 뿐만 아니라, 실외에서도 2m이상 거리유지가 안되면 마스크를 착용하고, 마스크를 벗어야 하는 상황(식사‧음주‧흡연)은 가급적 피한다. - 셋째, 예방접종 대상자는 적극적으로 접종에 동참해 주실 것을 강조하였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예방접종 현황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 정은경)은 4월 6일 0시 기준으로 신규 1차 접종자는 35,970명으로 총 999,870명*이 1차 접종을 받았고, 2차 신규 접종자는 316명으로, 총 27,691명이 2차 접종까지 완료하였다고 밝혔다.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870,724명, 화이자 백신 129,146명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4.6일 0시 기준, 단위 : 명)】
전일 누계(A)*
신규 접종자(B)
누적 접종자(A+B)
1차 접종자
963,900
35,970
999,870
2차 접종자
27,375
27,691
* 3월 6일, 10일, 12일, 19일, 23~27일, 29~31일, 4월 1~4일 접종자 1,181명이 4월 5일 추가로 등록되어 누계에 포함됨(신규 현황은 당일접종(4.5)을 의미함)
※ 상기 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 4월 6일 0시 기준 분기별·접종대상별 접종현황은 다음과 같다.
○ 2분기 접종대상별 접종현황은, 신규로 33,195명이 접종받아 누적 접종자는 245,698명으로 접종률은 5.8%였다.
【2분기 접종대상별 예방접종 현황(4.6일 0시 기준, 단위 : 명, %)】
접종대상자
(A)
접종동의자
(B)
신규접종자
누적접종자(C)
접종률1
(C/A)
접종률2
(C/B)
4,207,230
3,156,065
33,195
245,698
5.8
7.8
요양병원
(65세 이상)
209,719
150,366
3,426
123,006
58.7
81.8
요양시설
170,451
130,305
7,059
53,669
31.5
41.2
취약시설2)
105,238
86,220
185
390
0.4
0.5
학교 및 돌봄3)
73,164
50,126
310
0.6
75세 이상 어르신
3,486,666
2,600,5021)
18,926
53,548
1.5
2.1
노인시설4)
161,992
138,5461)
3,474
14,775
9.1
10.7
1) 접종대상자 중 접종동의여부 조사 완료된 75세 이상 어르신 3,066,937명, 노인시설 148,653명 중 동의한 대상자 수
2) 장애인·노숙인, 결핵 및 한센인 거주시설, 교정시설 종사자 등
3) 특수교육·보건교사 등
4) 노인시설 이용·입소자 및 종사자는 아니나 예방접종센터에서 추가 접종된 건 수 포함
※ 접종대상자, 접종동의자, 누적접종자 등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 4.1일 예방접종센터에서 접종을 개시한 75세 이상 어르신, 노인시설 이용·입소자 및 종사자 등은 총 68,323명이 1차 접종을 받아, 1차 접종률이 각각 1.5%, 9.1%이었으며,
- 3.23일부터 접종을 시작한 요양병원(65세 이상), 요양시설(65세 이상) 입원·입소자 및 종사자에 대한 1차 접종률은 각각 58.7%, 31.5%였다.
○ 또한, 1분기 접종대상자 중 신규 1차 접종자는 2,775명으로, 754,172명에 대한 1차 접종을 완료하여 접종률이 85.4%였다.
【1분기 접종대상별 예방접종 현황(4.6일 0시 기준, 단위 : 명, %)】
1차
882,866
800,737
2,775
754,172
85.4
94.2
2차
3.14
3.46
(65세 미만)
210,614
190,159
290
185,697
88.2
97.7
111,669
105,895
292
102,084
91.4
96.4
코로나 1차
대응요원
80,231
69,947
453
64,356
80.2
92.0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415,908
371,963
1,713
340,725
81.9
91.6
기타 대상자*
577
487
84.4
코로나
치료병원
63,867
62,196
60,823
95.2
97.8
43.4
44.5
* 필수목적 출국자 등
- 1분기 접종기관 및 대상자별로는 요양병원은 185,697명(88.2%), 요양시설은 102,084명(91.4%), 1차 대응요원은 64,356명(80.2%),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은 340,725명(81.9%)이 1차 접종을 완료하였다.
- 2차 접종이 진행 중인 코로나19 치료병원의 경우, 60,823명(95.2%)이 1차 예방접종을 받았고 27,691명(43.4%)이 2차 예방접종을 받았다.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의심되어 신고된 사례(4.6일 0시 기준)는 총 11,141건*(신규 144건)으로,
* 2개 이상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중복 신고 되더라도 1명으로 분류
-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날 수 있는 근육통, 두통, 발열, 오한, 메스꺼움 등 사례가 10,976건(98.5%)으로 대부분이었으며,
- 아나필락시스 의심 사례* 109건(신규0건), 중증 의심 사례는 경련 등 20건(신규3건), 사망 사례 36건(신규4건)이 신고되었다.
* 아나필락시스 쇼크, 아나필락시스양, 아나필락시스 반응으로 구분
【코로나19 예방접종후 이상반응 신고현황(4.6일 0시 기준, ‘21.2.26일 이후 누계, 단위: 건, (%))】
접종자수
(누계)
신고율
일반1)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2)
중증 의심사례3)
사망사례
전체
1,027,561
144
1.08%
137
11,141
10,976
109
아스트라제네카
870,724
1.22%
10,630
10,481
화이자
156,837
0.33%
511
495
1) 근육통, 발열, 두통, 메스꺼움 등의 사례
2) 아나필락시스양 반응(101건)* 및 아나필락시스 쇼크(8건) 의심사례로 의료기관에서 신고된 사례
* 예방접종 후 2시간 이내 호흡곤란, 두드러기 등의 증상이 나타난 경우로 아나필락시스와는 다름
3) 경련 등 신경계 반응(6건), 중환자실 입원(14건) 포함
※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의심되어 신고된 건으로 인과성이 확인되지 않은 사례이며, 사망이나 아나필락시스 등의 중증사례에 한해 역학조사를 실시하여 인과성을 평가하고 주간단위로 신고현황 검증을 통해 업데이트함
- 신규 사망 사례 4건은 다음과 같으며, 해당 사례는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신규 사망 사례 현황】
연번
인적사항
접종대상
접종일
사망일
접종 후 사망까지 시간
기저질환
70대/남
요양병원(입원환자)
3.29
7일 6시간
유
80대/여
요양시설(입소자)
5일 6시간
75세 이상
어르신
4.5
2시간
80대/남
4.2
3일 5시간
□ 4월 8일부터는 화이자 백신을 접종하는 지역예방접종센터 22개소를 추가 개소하여 중앙권역센터 포함 총 71개소로 확대한다.
○ 이를 위해 22개 센터에 4월 5일까지 백신 배송을 완료하고, 8일부터 접종을 위한 준비를 마쳤다.
□ 향후에도 정부와 지자체는 지역예방접종센터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며, 모든 시군구 당 1개소 이상을 목표로, 4월 말까지 총 267개 센터를 개소할 계획이다.
○ 예방접종센터 개소일은 지자체별로 상이하며 접종 대상인 75세 이상 어르신은 반드시 관할 읍면동에서 안내한 지정된 접종일시를 확인하고 접종센터를 내원하여야 한다.
○ 예방접종에 동의한 후 아직 접종일시를 통보 받지 못한 어르신들에게도 지자체별로 접종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접종 예정일 및 시간이 통보될 예정이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붙임> 1.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2.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3. 시도별 코로나19 예방접종 진행 현황(1, 2분기 합산) 4.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한 안내문 5.「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 홍보자료 2. 수도권 방역조치 요약표(’21.3.29.∼’21.4.11.) 3. 비수도권 방역조치 요약표(’21.3.29.∼’21.4.11.) 4. 코로나19 예방접종 국민행동수칙 5. 가족 감염 최소화를 위한 방역수칙 6. 가족 중 의심환자 발생 시 행동요령 점검표 7. 새로운 생활 속 거리 두기 수칙 웹포스터 2종 8. 코로나19 일상적인 소독방법 바로 알기 카드뉴스 9. 올바른 소독방법 카드뉴스 1, 2, 3편 10.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내 및 주의사항(환경부) 11.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안전 사용을 위한 홍보자료 목록(환경부) 12.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관련 홍보자료 13. 코로나19 예방 손씻기 포스터 14. 일상 속 유형별 슬기로운 방역생활 포스터 6종 15.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16. 마음 가까이 두기 홍보자료 17.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18.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9.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20.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건강한 생활 습관 21.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22.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23.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4.6., 정례브리핑)"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가능, 변경 가능)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유형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이전글이 없습니다.
다음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