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4.12., 정례브리핑)
1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정은경 청장)는 4월 12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560명, 해외유입 사례는 27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10,146명(해외유입 7,851명)이라고 밝혔다.
○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23,251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7,701건(확진자 70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40,952건, 신규 확진자는 총 587명이다.
○ 신규 격리해제자는 695명으로 총 100,804명(91.52%)이 격리해제되어, 현재 7,572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103명, 사망자는 2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1,770명(치명률 1.61%)이다.
【국내 발생 확진자 현황(4.12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신규
560
160
46
15
12
4
17
31
5
173
16
24
3
누계
102,295
33,214
4,235
8,915
5,094
2,094
1,489
1,199
304
28,878
2,372
2,234
2,613
1,601
895
3,513
3,019
626
【해외유입 확진자 현황(4.12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추정)유입국가*
확인 단계
국적
중국
아시아(중국 외)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검역단계
지역사회
내국인
외국인
27
0
14
11
2
8
19
13
7,851
44
3,542
1,369
2,477
395
3,243
4,608
4,197
3,654
(0.6%)
(45.1%)
(17.4%)
(31.6%)
(5.0%)
(0.3%)
(41.3%)
(58.7%)
(53.5%)
(46.5%)
* 아시아(중국 외) : 방글라데시 1명(1명), 이라크 1명, 인도 4명(4명), 인도네시아 3명(1명), 카자흐스탄 1명(1명), 파키스탄 1명(1명), 필리핀 3명(2명), 유럽 : 불가리아 1명(1명), 폴란드 9명, 프랑스 1명, 아프리카 : 카메룬 2명(2명) ※ 괄호 안은 외국인 수
【확진자 관리 현황*(‘20.1.3일 이후 누계)】
격리해제
격리 중
위중증 환자**
사망자
4.11.(일) 0시 기준
100,109
7,682
105
1,768
4.12.(월) 0시 기준
100,804
7,572
103
1,770
변동
(+)695
(-)110
(-)2
(+)2
* 4.11일 0시부터 4.12일 0시 사이에 질병관리청으로 신고·접수된 자료 기준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4월 12일(0시 기준) 국내 주요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1페이지 0시 기준 통계, 지자체 자체 발표 자료와 집계시점 등의 차이로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향후 역학조사에 따라 분류 결과 변동 가능 ○ 4월 12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560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606.6명), 수도권에서 345명(61.6%) 비수도권에서는 215명(38.4%)이 발생하였다.
(주간: 4.6일~4.12일, 단위 : 명)
전국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경북권
경남권
강원권
제주권
(서울, 인천, 경기)
(대전, 세종, 충남, 충북)
(광주, 전남, 전북)
(대구, 경북)
(부산, 울산, 경남)
(강원)
(제주)
4.12일(0시 기준)
345
55
30
92
주간 일 평균
606.6
399.3
53.4
34.0
27.0
81.1
7.9
3.9
주간 총 확진자 수
4,246
2,795
374
238
189
568
○ 수도권
4.6.
4.7.
4.8.
4.9.
4.10.
4.11.
4.12.
주간 누계
272
413
485
450
421
409
145
196
239
214
198
211
194.7
1,363
23
39
26.4
185
100
223
197
199
182
178.1
1,247
- (서울 중랑구 가족/실내체육시설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2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20명이다.
계
추가 환자 구분
① 가족 관련
가족 4명(지표포함)
② 실내체육시설 관련
16(+2)
이용자 8명(+1), 가족 5명, 지인 2명(+1), 기타 1명
- (서울 광진구 실내체육시설 관련) 4월 9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1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2명*이다. * (구분) 이용자 11명(지표포함), 종사자 1명
- (서울 서초구 텔레마케팅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3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33명*이다.
* (구분) 종사자 22명(지표포함), 가족 8명(+3), 지인 2명, 기타 1명 - (경기 남양주시 공공기관 관련) 4월 9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1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2명*이다. * (구분) 종사자 8명(지표포함), 가족 4명
- (경기 성남시 분당구 노래방 관련) 접촉자 조사 중 5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33명이다.
① 노래방 관련
24(+4)
직원 8명(지표포함), 방문자 14명(+4), 지인 1명, 기타 1명
② 초등학교 관련
9(+1)
학생 9명(+1)
○ 충청권
36
88
58
42
40
22
61
25
26
7
24.4
171
-
3.3
10
11.0
77
18
14.7
- (대전 동구/중구 학원 관련*) 4월 10일 이후 접촉자 추적관리 중 10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95명**이다.
* 대전소재 고등학교 4개, 중학교 2개 관련
** (구분) 학생 74명(지표포함, +7), 강사 2명, 교사 1명, 가족 및 지인 18명(+3)
- (충남 당진시 교회 관련) 접촉자 조사 중 4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54명*이다.
* (구분) 교인 21명(지표포함), 가족 및 지인 13명(+2), 시민학교 관련 20명(+2)
○ 호남권
50
6
2.6
29
24.6
172
9
6.9
48
- (전북 완주군 대학교 관련) 4월 10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7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8명*이다. * (구분) 학생 8명(지표포함)
- (전북 전주시 초등학교* 방과후수업 관련) 4월 10일 이후 접촉자 조사 중 2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31명**이다.
* 전북지역 4개 초등학교 관련
** (구분) 교사 3명(지표포함), 학생 20명(+2), 가족 5명, 지인 1명, 학원 관련 2명
- (전북 익산시 가족/교회 관련) 접촉자 조사 중 6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39명*이다.
* (구분) 가족 6명(지표포함), 교인 28명(+4), 기타 5명(+2) ※ 관계재분류
○ 경북권
41
21
12.0
84
15.0
- (경북 경산시 교회 관련) 접촉자 조사 중 2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20명*이다.
* (구분) 교인 16명(지표포함), 가족 1명, 기타 3명(+2)
- (경북 경산시 어린이집 관련) 접촉자 조사 중 3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5명*이다.
* (구분) 교사 5명(지표포함), 원아 2명, 가족 7명(+2), 기타 1명(+1)
○ 경남권
45
89
74
125
69
34
38
51
56
45.6
319
16.9
118
18.7
131
- (부산 사상구 과외교사 관련) 4월 8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0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1명*이다. * (구분) 가족 3명(지표포함), 지인 2명, 과외학생 2명, 기타 4명
- (부산 유흥주점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11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392명이다.
① 유흥주점 관련
248(+8)
② 서구 냉장 사업체 관련
③ 사하구 목욕탕·헬스장 관련
67
④ 사상구 공구 마트 관련
⑤ 중구 헬스장 관련
15(+2)
⑥ 서구 사무실 복합건물 관련
27(+1)
⑦ 남구 학교 급식실 관련
- (울산 울주군 자동차부품회사 관련) 4월 7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22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23명*이다. * (구분) 종사자 19명(지표포함), 가족 4명
- (울산 중구 가족/지인모임 관련) 4월 10일 이후 접촉자 추적관리 중 9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9명*이다. * (구분) 가족 8명(지표포함, +1), 지인 3명, 기타 8명(+8)
- (경남 창원시 다단계업체 관련) 4월 9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1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2명*이다.
* (구분) 종사자 6명(지표 및 가족 포함), 이용자 6명
≪ 코로나19 주간 발생동향 ≫
□ 지난 1주간(’21.4.4일∼4.10일) 방역 관리 상황은 다음과 같다.
【 최근 1달간 1주 간격 위험도 평가 지표 】
구 분
3월 3주
(3.14.~3.20.)
3월 4주
(3.21.~3.27.)
3월 5주
(3.28.~4.3.)
4월 1주
(4.4~4.10.)
일일 평균
확진환자 수(명)
국내발생
414.7
421.6
477.3
579.3
해외유입
17.4
17.0
18.1
22.0
전 체
432.1
438.6
495.4
601.3
감염경로 조사 중 분율(%)(건)
25.7(776/3,025)
23.9(734/3,070)
25.6(887/3,468)
28.2(1,189/4,209)
방역망 내 관리 분율(%)1)
40.4
41.9
40.7
41.3
감염재생산지수(Rt)
1.03
0.99
1.07
1.12
신규 집단발생 건수(건)
60
53(▲32))
60(▲62))
253)
주별 평균 위중증 환자 규모(명)
101
106
107
주간 사망 환자 수(명)
28
즉시 가용 중환자실(개)(’21.4.10일 9시 기준)
611
620
622
616
1) 방역망 내 관리 분율 : 신규 확진자 중 자가격리 상태에서 확진된 사람의 비율 2) 개별 사례 간 연관성이 확인되어 집단발생으로 재분류 3) 역학조사 진행 중으로 이후 증가할 수 있음 ※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국내 발생 확진자는 최근 1주간 1일 평균 579.3명으로 직전 1주(3.28일~4.3일, 477.3명)보다 102명(21.4%) 증가하였다.
- 해외유입 확진자는 최근 1주간 1일 평균 22명으로, 지난주 대비 4명 증가하였다.
< 최근 20주간(’20.11.29.~’21.4.10.) 전국/수도권/비수도권 발생 추이 그림 붙임 참조>
○ 전국 일평균 확진자 수는 500명대 후반이며, 강원권을 제외한 모든 권역에서 증가추세를 보였으며, 비수도권 발생 비율도 증가하여 전국 확산 양상을 보였다.
【 권역별 단계조정 기준 및 국내발생 현황 】
(’21.3.14.~3.20.)
300.4
16.6
12.6
13.7
53.3
16.8
1.3
(’21.3.21.~3.27.)
288.6
22.3
9.0
25.1
54.7
21.0
0.9
(’21.3.28.~4.3.)
303.9
42.7
18.4
21.3
75.4
14.3
(’21.4.4.~4.10.)
375.4
53.2
29.7
30.2
78.4
9.4
3.0
기준
3단계
전국 800~1,000명 이상 또는 더블링 등 급격한 환자 증가
2.5단계
전국 400~500명 이상 또는 더블링 등 급격한 환자 증가
2단계
200명 이상
60명 이상
20명 이상
1.5단계
100명 이상
30명 이상
10명 이상
○ 감염경로*는 △선행 확진자 접촉 41.3%(1,740명), △집단발생 25.1%(1,057명), △해외유입 3.7%(154명), △병원·요양시설 1.6%(68명), △해외유입 관련 (1명) △조사중 28.2%(1,189명)으로,
- 확진자 접촉에 의한 감염 비중이 41.3%를 차지하면서 전주에 이어 증가 추세를 보였다.
* 최근 1주간 감염경로별 확진자 발생 현황(’21.4.4. 0시∼4.10. 0시까지 신고된 4,209명 기준)
【 4주간 확진자의 감염경로 현황(’21.4.10일 기준) 】
(4.4.~4.10.)
전체
3,025명
(100%)
3,070명
3,468명
4,209명
(100.0%)
확진자 접촉
1,029명
(34.0%)
1,111명
(36.2%)
1,277명
(36.8%)
1,740명
지역 집단발생
1,026명
(33.9%)
1,036명
(33.7%)
1,097명
1,057명
(25.1%)
병원 및 요양시설 등
72명
(2.4%)
68명
(2.2%)
80명
(2.3%)
(1.6%)
122명
(4.0%)
119명
(3.9%)
127명
(3.7%)
154명
해외유입 관련
0명
(0.0%)
2명
(0.1%)
1명
조사중(미분류)
776명
(25.7%)
734명
(23.9%)
887명
(25.6%)
1,189명
(28.2%)
○ 신규 집단발생은 총 25건으로, △직장 8건*, △교육시설 6건**, △가족·지인모임 4건, △교회 2건, △주간보호센터 1건, △실내체육시설(필라테스) 1건, △노래연습장 1건, △주점(홀덤펍) 1건, △의료기기체험관 1건이었다.
* 공공기관·콜센터·대형마트·법률사무소·공유오피스·가정용품제조 등
** 학원 3·대학교 1·초등학교 1·방과후수업 1
○ 위중증 환자·사망자 수는 확진자 규모 증가로 전주 대비 증가했고, 치명률은 감소(1.66% → 1.62%)하여 1.62%이었다.
○ 사망자는 총 25명*으로, 60세 이상이 23명(92.0%)를 차지하였고, 이 중 70대가 11명(44.0%)으로 가장 많았다.
* 80대 이상 8명(32.0%), 70대 11명(44.0%), 60대 4명(16.0%), 50대 2명(8.0%)
- 사망자의 추정 감염경로는 △지역 집단발생 9명(36.0%), △확진자 접촉 7명(28.0%), △시설 및 병원 4명(16.0%), △조사중 5명(20.0%)이고,
-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는 20명(80.0%) 이며, 나머지 5명*은 조사 중이다.
* (50대) 1명, (60대) 1명, (70대) 3명
○ 국내 확진 외국인 비율은 설 연휴 이후 급증 후 점차 감소 추세를 보이면서, 지난 주는 국내 발생의 2.7%(110명)으로 전 주 4.8%(162명)에서 절반 가까이 감소하였다.
- 시도별로는 경기(46명, 4.0%), 서울(28명, 2.2%), 인천(7명, 3.6%) 등 이었다.
【 주별 국내발생 외국인 확진 현황(’20.11.1일~‘21.4.10일) 그림 붙임 참조】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발생 및 모니터링 상황을 설명하였다.
○ 코로나19 확진자 총 679건(’21.4.5일 이후)에 대한 유전자분석 결과, 국내발생 627건 중 20건, 해외유입 52건 중 29건으로, 총 49건의 변이바이러스 감염이 추가로 확인되어,
- ’20년 10월 이후 현재까지 확인된 변이바이러스는 총 379건*이다. * 총 6,453건 분석 완료(국내발생 5,194건, 해외유입 1,259건 / ’21.4.12일 0시 기준)
- 바이러스 유형별 누적 현황은 영국 변이 324건, 남아프리카공화국 변이 46건, 브라질 변이 9건이다(’21.4.12일 0시 기준).
【 변이바이러스 추가 확인 현황 (’21.4.5.∼’21.4.12. 0시 기준) 】
유전자 분석 수
변이바이러스
검출 건수
바이러스 유형
679
49 (7.2%)
영국 변이 44
내국인 25, 외국인 19
남아공 변이 4
외국인 4
브라질 변이 1
내국인 1
국내발생1)
627
20 (3.2%)
영국 변이 20
내국인 12, 외국인 8
해외유입2)
52
29 (55.8%)
영국 변이 24
내국인 13, 외국인 11
○ 이번에 추가 확인된 49명에 대한 인지경로를 살펴보면,
- 해외유입 29명의 경우 10명은 검역단계에서, 나머지 19명은 입국 후 자가격리 중 실시한 검사에서 확인되었다.
* 영국 변이: 총 24건(필리핀發 7, 파키스탄發 7, 폴란드發 3, 미국 發 3, 헝가리發 2, 아르메니아發 1, 케냐發 1) / 남아프리카공화국 변이: 총 4건(방글라데시發 2, 필리핀發 2) / 브라질변이: 총 1건(브라질 發 1)
- 국내발생 영국변이 20명 중 12명은 내국인, 8명은 외국인이었고, 집단사례와 관련되어 15명*, 아직 집단사례로 분류되지 않은 개별사례들에서 5명이 확인되었다.
* ‘경기성남시외국인모임’ 6, ‘울산북구목욕탕’ 4, ‘울산북구회사/목욕탕2’ 3, ‘경기광주시석제품제조업’ 1, ‘경기성남시중학교및체육도장’ 1
【 국내 집단사례 중 변이바이러스 확인 현황(’21.4.12일 기준) 】
사례명
환자발생기간
(진단일 기준)
발생현황
비고
변이확정
사례1)
역학적
관련사례2)
집단 1
경남/전남 외국인 친척모임 관련
1.7-1.29.
(유행종료)
(영국변이)
관련
집단 2
경기 시흥시 일가족 관련
1.29-1.30.
외국인 중심
집단 3
경기 여주시 친척모임2 관련
2.10-2.23.
집단 4
경남 김해시 일가족 관련
2.7-2.17.
집단1 관련 추정
집단 5
인천 연수구 수출매매단지 관련
2.4-2.5.
집단 6
경기 광주시 식품회사 관련
2.3-2.13.
해외
입국자 및 외국인
접촉 추정
집단 7
경기 김포시 일가족 관련
2.22-2.23.
(남아공변이)
집단 8
부산 북구 장례식장/
울산 골프연습장 관련
2.11-3.1.
62
집단 9
인천 서구 무역회사 관련
2.16-3.15.
집단5
관련성 추정
집단 10
경기 여주시 제조업 관련
2.18-3.3.
집단3 관련 추정
집단 11
경북 포항시 교회 관련
2.27-3.21.
지역사회 감염 추정
집단 12
울산 북구 목욕탕 관련
3.6-4.2.
(진행중)
81
16(+4)
65(-3)
집단 13
영남권 친척모임 관련
2.24-3.16.
집단 14
울산 북구 자동차회사 관련
3.8-3.10.
집단 15
경기 광주시 러시아 식당 관련
3.20-3.23.
지역사회 감염 및 외국인 접촉 추정
집단 16
경기 성남시 외국인 모임 관련
3.17-4.7.
56(+16)
15(+6)
41(+10)
집단 17
서울 강서구 직장/가족 관련
2.24-3.12.
집단7 관련 추정
집단 18
서울 송파구 물류센터2 관련
3.19-3.21.
9(+4)
8(+4)
집단 19
경기 남양주 택배회사 관련
3.21-3.24.
집단 20
경기 광주시 석제품 제조업 관련3)
3.25-3.27.
1(신규)
조사중
집단 21
울산 북구 회사/목욕탕2 관련3)
3.26-4.7.
3(신규)
집단 22
경기 성남시 중학교 및 체육도장 관련3)
4.1-4.5.
1) 변이 확정사례 : 변이바이러스 분석 결과 변이주(영국, 남아공, 브라질)가 확인된 사례
2) 역학적 관련사례 : 변이바이러스 분석은 하지 않았지만, 역학적으로 다른 감염원이 확인되지 않은 상황에서 변이바이러스 감염자와 접촉력이 확인된 경우
3) 지역사회 변이 바이러스 감시 강화 과정에서 확인, 기존 집단과 관련성 조사중
○ 방역당국은 해외입국자에 대한 방역 강화 등 변이바이러스 감시 및 분석 확대를 지속하고 있다고 밝히며, - 해외에서 입국한 자가격리 대상자 및 동거가족은 격리 해제 시까지 자가격리 생활수칙을 철저히 준수할 것을 재차 당부하였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현재 전국적인 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여전히 다중이용시설, 사업장, 학교·학원 등을 통한 지역사회 감염도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위험요인 및 당부사항을 설명하였다.
① 다중이용시설을 통한 지역사회 감염 확산
- 지난 2월 15일 거리두기 완화에 따른 비수도권 유흥업소 시간제한 해제 이후, 다중이용시설을 통한 지역사회 감염 및 환자 증가 추세가 뚜렷하고,
- 특히, 노래방·유흥업소 등 유흥시설과 마스크 착용이 어려운 사우나·체육시설 등에서 발생 지속되고 있다.
- 정부는 다중이용시설에 대해, ▲방역수칙 위반업소 ‘원스트라이크 아웃’ 시행, ▲유행지역 중심 종사자 일제검사/주기적 선제검사, ▲전자출입명부 의무화 등 기본방역수칙 이행 의무화에 대한 점검 및 조치를 지속 시행하고 있다.
② 학교·사업장 등에서의 집단 발생 지속
- ▲가족 내 감염 등이 학교·학원·어린이집으로 유입되어, ▲시설 내 또는 방과 후 활동을 통해 전파·확산되고 있으며,
- 육가공업 등 사업장의 경우, ▲환기 불충분한 밀폐된 작업 환경, ▲기숙사 등 집단생활, ▲외국인 고용 시 언어 등의 문제로 방역수칙에 대한 정보접근성 제한의 위험요인이 있었고,
- 서비스업 등 사업장에서는 ▲유증상 상태로 음식점 방문하거나, ▲식사·음주 등 마스크 착용 불가상황 등에서 감염이 발생하였다.
- 방역당국은 학교 등 교육시설에 대해, ▲유증상자 등교ㆍ등원 제한 및 즉시 검사, ▲학교ㆍ시설 내 방역수칙 등을 철저히 준수할 것을 요청하였다.
- 또한, 사업장에 대해서도 ▲유증상자 적극검사 조치(고용부·문체부·식약처 등 관계부처), ▲방역취약사업장 현장 점검, ▲사업주·종사자 대상 감염예방교육 등을 요청하였다.
③ 접촉‧모임‧이동 증가에 다른 집단발생 위험 증가
- 3차 유행이 장기간 지속되면서 경증·무증상 등 숨은 감염자가 지역사회에 누적되어 있는 상황으로, 이를 통해 지역 내 감염이 지속되고 있으며,
* 감염경로 불명 비율(확진자수) : 11월 13%(883명) → 12월 23.3%(5,250명) → 1월 22.3%(4,895명) → 2월 20.7%(2,377명) → 3월 23.5%(2,815명) → 15주(4.4-4.10) 28.2%(1,189명)
- 종교행사(4~5월), 여행 및 야외활동, 동호회 모임 등 사람간 접촉 및 지역간 이동 증가로 감염이 확대될 위험이 증가하였다고 보았다.
- 이에 대해 방역당국은 ▲지역 주민 일제검사, ▲고위험시설 및 위험집단 선제검사 및 점검, ▲거리두기 단계 상향 및 주민 홍보 강화 등 지속할 계획이며,
- 특히, 교통시설 방역(전세버스·철도역·휴게소 등), 관광지 인근 다중이용시설 방역수칙 이행 점검을 계속할 예정이다.
④ 변이바이러스 지역사회 확산 위험 지속
- 영국 변이바이러스가 확인된 지역에서 집단감염 사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 최근 역학적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은 남아공변이바이러스 감염 사례 발생으로 지역사회 감염 위험이 증가하였다고 보았다.
- 방역당국은 △자가격리 관리 강화, △격리면제자 방역수칙 준수/주기 검사 관리 강화, △입국자 검사ㆍ검역 및 변이바이러스 감시체계 강화, △고위험국 입국자 시설격리 검사 등 변이 바이러스 유입·확산 차단을 위해 지속 노력하고 있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오늘 국내 발생 환자 일평균 600명을 넘어섰고, 비수도권 지역 환자 증가 등 전국적으로 감염확산 양상을 보여, 대유행의 기로에 있는 엄중한 상황임을 유념해야한다고 강조하면서,
○ 국민들께 금일부터 시행되는 3주간 연장된 거리두기 조치와 강화된 마스크 착용 의무화 조치* 및 감염 확산 위험이 높은 시설의 강화된 방역수칙을 반드시 준수해주실 것을 요청하였다.
* 거리 두기 단계와 상관없이 실내 전체에서, 실외에서는 2m 이상 거리 유지가 되지 않거나, 집회·공연·행사 등 다중이 모일 때에는 마스크를 항시 착용
○ 아울러, 아래의 세가지 수칙을 항상 지켜주실 것도 당부하였다.
- 첫째, 마스크 착용, 손 씻기 등 개인위생수칙을 지키고, 증상이 있으면 즉시 검사를 받는다.
▪특히, 발열·기침·근육통 등 의심증상이 있으면, 사람이 많은 곳은 방문하지 말고 즉시 선별진료소에서 코로나19 검사를 받아야 한다.
- 둘째, 불요불급한 모임은 취소하고, 5인 이상 집합금지 등 거리두기를 반드시 실천한다.
▪3주간 연장된 거리두기(4월 12일∼, 수도권 2단계, 비수도권 1.5단계/단, 지역별 상황에 따라 지자체별로 격상 가능)와 방역수칙을 충실히 이행한다.
▪장소‧상황을 불문하고, 실내에서는 항상 마스크를 착용하고, 실외에서도 2m이상 거리유지가 안되면 마스크를 착용하고, 마스크를 벗어야 하는 상황(식사‧음주‧흡연)은 가급적 피한다.
- 셋째,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상자는 적극적으로 접종에 동참해 주실 것을 강조하였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예방접종 현황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 정은경, “이하 추진단”)은 4월 12일 0시 기준으로 신규 1차 접종자는 305명으로 총 1,157,255명*이 1차 접종을 받았고, 2차 신규 접종자는 0명으로, 총 60,511명이 2차 접종까지 완료하였다고 밝혔다.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916,780명, 화이자 백신 240,475명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4.12일 0시 기준, 단위 : 명)】
전일 누계(A)*
신규 접종자(B)
누적 접종자(A+B)
1차 접종자
1,156,950
305
1,157,255
2차 접종자
60,511
* 4월 9일 접종자 1명이 4월 11일 추가로 등록되어 누계에 포함됨(신규 현황은 당일접종(4.11)을 의미함)
※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 4월 12일 0시 기준 분기별·접종대상별 접종현황은 다음과 같다.
○ 2분기 접종대상별 접종현황은, 신규로 305명이 접종받아 누적 접종자는 393,771명으로 접종률은 9.4%였다.
【2분기 접종대상별 예방접종 현황(4.12일 0시 기준, 단위 : 명, %)】
접종대상자
(A)
접종동의자
(B)
신규접종자
누적접종자(C)
접종률1
(C/A)
접종률2
(C/B)
4,199,046
3,252,908
393,771
12.1
요양병원
(65세 이상)
209,190
146,654
129,596
62.0
88.4
요양시설
170,922
130,211
82,768
48.4
63.6
취약시설2)
97,975
86,891
827
0.8
1.0
학교 및 돌봄3)
59,367
42,331
964
1.6
2.3
75세 이상 어르신
3,500,437
2,701,4461)
142,237
4.1
5.3
노인시설4)
161,155
145,3751)
37,379
23.2
25.7
1) 접종대상자 중 접종동의여부 조사 완료된 75세 이상 어르신 3,188,832명, 노인시설 156,156명 중 동의한 대상자 수 2) 장애인·노숙인, 결핵 및 한센인 거주시설, 교정시설 종사자 등, 3) 특수교육·보건교사 등 4) 노인시설 이용·입소자 및 종사자는 아니나 예방접종센터에서 추가 접종된 건 수 포함
※ 접종대상자, 접종동의자, 누적접종자 등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 4.1일 예방접종센터에서 접종을 개시한 75세 이상 어르신, 노인 시설 이용·입소자 및 종사자 등은 총 179,616명이 1차 접종을 받아, 1차 접종률이 각각 4.1%, 23.2%이었으며,
- 3.23일부터 접종을 시작한 요양병원(65세 이상), 요양시설(65세 이상) 입원·입소자 및 종사자에 대한 1차 접종률은 각각 62.0%, 48.4%였다.
○ 또한, 1분기 접종대상자 중 신규 1차 접종자는 0명으로, 763,484명에 대한 1차 접종을 완료하여 접종률이 88.2%였다.
【1분기 접종대상별 예방접종 현황(4.12일 0시 기준, 단위 : 명, %)】
1차
865,570
803,765
763,484
88.2
95.0
2차
7.0
7.5
(65세 미만)
208,417
189,961
186,532
89.5
98.2
110,706
105,954
103,100
93.1
97.3
코로나 1차
대응요원
77,774
69,845
65,093
83.7
93.2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404,238
375,288
347,391
85.9
92.6
기타 대상자*
580
509
87.8
코로나
치료병원
63,855
62,137
60,859
95.3
97.9
94.8
97.4
*필수목적 출국자 등
- 1분기 접종기관 및 대상자별로는 요양병원은 186,532명(89.5%), 요양시설은 103,100명(93.1%), 1차 대응요원은 65,093명(83.7%),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은 347,391명(85.9%)이 1차 접종을 완료하였다.
- 2차 접종이 진행 중인 코로나19 치료병원의 경우, 60,859명(95.3%)이 1차 예방접종을 받았고 60,511명(94.8%)이 2차 예방접종을 받았다.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의심되어 신고된 사례(4.12일 0시 기준)는 총 11,626건*(신규 9건)으로,
* 2개 이상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중복 신고 되더라도 1명으로 분류
-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날 수 있는 근육통, 두통, 발열, 오한, 메스꺼움 등 사례가 11,439건(98.4%)으로 대부분이었으며,
- 아나필락시스 의심 사례* 114건(신규0건), 중증 의심 사례는 경련 등 26건(신규1건), 사망 사례 47건(신규0건)이 신고되었다.
* 아나필락시스 쇼크, 아나필락시스양, 아나필락시스 반응으로 구분
【코로나19 예방접종후 이상반응 신고현황(4.12일 0시 기준, ‘21.2.26일 이후 누계, 단위: 건, (%))】
접종자수
(누계)
신고율
일반1)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2)
중증 의심사례3)
사망사례4)
1,217,766
0.95%
11,626
11,439
114
47
아스트라제네카
916,780
1.19%
10,878
10,712
99
화이자
300,986
0.25%
748
727
1) 근육통, 발열, 두통, 메스꺼움 등의 사례
2) 아나필락시스양 반응(105건)* 및 아나필락시스 쇼크(9건) 의심사례로 의료기관에서 신고된 사례
* 예방접종 후 2시간 이내 호흡곤란, 두드러기 등의 증상이 나타난 경우로 아나필락시스와는 다름
3) 경련 등 신경계 반응(7건), 중환자실 입원 등(19건) 포함
4) 이상반응 신고 시 환자상태 변경 3건 포함(일반 2건, 중증 1건 → 사망 3건으로 변경)
※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의심되어 신고된 건으로 인과성이 확인되지 않은 사례이며, 사망이나 아나필락시스 등의 중증사례에 한해 역학조사를 실시하여 인과성을 평가하고 주간단위로 신고현황 검증을 통해 업데이트함
□ 추진단은 장애인・노인・보훈 돌봄 종사자 및 항공승무원 대상 예방접종 사전예약이 오는 4월 12일(월)부터 시작되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으로 4월 19일(월)부터 예방접종을 한다고 밝혔다. 30세 미만은 사전예약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에서 제외된다.
○ 시군구별로 별도로 지정된 1,686개의 위탁의료기관에서 접종이 가능하며, 사전예약은 대상자별 예약기간* 동안 신청이 가능하다.
* 장애인·노인방문·보훈대상 돌봄 종사자, 항공승무원(4.12.∼23.), 의원급 의료기관(한방, 치과병원 포함) 및 약국 종사자(4.19.∼30.), 투석환자(4.26.∼5.7)
≪ 이상반응 신고현황 주간 분석결과(4.4~4.10) ≫
□ 코로나19 예방접종 시작 이후 현재까지 신고된 이상반응 의심사례에 대한 주간(4.4일∼4.10일) 분석 결과, 주간 이상반응 신고율은 0.3%(627건/226,100건 접종)였다.
* (2.26~4.10일 누적 신고율) 1.0%(11,617건/1,217,460건 접종)
○ 성별로는 △여성 0.3%(491건/149,364건 접종), △남성 0.2%(136건/76,736건 접종)로 여성이 더 많았다.
* (2.26~4.10일 누적 신고율) 여성 1.1%, 남성 0.6%
○ 연령별로는 △20대 1.5%(221건/14,381건 접종), △30대 0.9%(105건/12,004건 접종), △40대 0.7%(72건/10,641건 접종), △50-64세 0.5%(81건/16,070건 접종), △65-74세 0.2%(28건/15,751건 접종), △75세 이상 0.1%(120건/157,253건 접종)로 젊은 연령층에서 더 높았다.
* (2.26~4.10일 누적 신고율) 20대 2.9%, 30대 1.5%, 40대 1.1%, 50-64세 0.6%, 65-74세 0.1%, 75세이상 0.1%
○ 접종기관별 신고율은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2.8%, △1차 대응요원 1.0%, △학교 및 돌봄 0.8%, △코로나19 치료병원 0.6%, △요양병원 0.3%, △요양시설 0.1% 순이었다.
* (2.26~4.10일 누적 신고율) 병원급 의료기관 2.1%, 요양병원 0.7%, 코로나19 치료병원 0.5%, 요양시설 0.5%, 1차대응요원 0.5%, 75세이상(센터) 65건/141,932명
○ 백신 제조사별로는 △아스트라제네카 0.6%(344건/58,933건 접종), △화이자 0.2%(283건/167,167건 접종)로 나타났다.
* (2.26~4.10일 누적 신고율) 아스트라제네카 1.2%, 화이자 0.2%(1차 0.2%, 2차 0.6%)
○ 임상증상별로는 △근육통 42.7%, △발열 36.5%, △두통 26.8%, △오한 23.0%이며, 면역형성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증상(94.3%) 등이 대부분이었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종류별 신고현황(4.4∼4.10) 그림 붙임 참조】
≪ 피해조사반 6차 회의결과 ≫
□ 예방접종피해조사반(반장 : 김중곤)은 사망 등 중증 이상반응 신고사례에 대해 6차 회의(4월9일)를 개최하여 백신과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조사반 평가대상 사망 사례
○ 조사대상 사망사례 11건에 대한 심의를 하였으며, 모두 현재까지 수집·분석된 자료를 근거로 다른 원인(뇌졸중, 치매 등)에 의한 사망가능성이 더 높고 백신과의 관련성은 낮다고 판단하여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과 사망과의 인과성이 인정되기 어려운 것으로 심의하였으며,
- 단, 현재 부검 진행 중(국립과학수사연구원)인 3건은 최종 부검 결과를 확인하여 심사결과를 재논의하기로 하였다.
【6차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조사반 평가대상 사망사례】
인적사항
접종대상
접종일
사망일
접종 후
사망까지 시간
기저질환
기저질환 종류
80대/여
(입원환자)
‘21. 3.25
‘21. 3.26
22시간
유
순환계통의 질환,
신경계통의 질환,
내분비, 영양 및 대사질환.
정신 및 행동장애,
호흡계통의 질환,
‘21. 3.29
‘21. 3.30
90대/여
4시간
(입소자)
‘21. 3.31
1일 3시간
80대/남
‘21. 4. 1
1일 19시간
70대/남
‘21. 4. 2
15시간
70대/여
‘21. 3.27
1일 23시간
‘21. 4. 5
2시간
3일 4시간
7일
‘21. 4. 7
12일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조사반 평가대상 중증 사례
○ 중증사례 4건에 대한 심의를 진행하였으며, 1건은 인과성 인정, 3건은 인과성이 인정되기 어려운 사례로 판정하기로 하였다.
【6차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조사반 평가대상 중증사례】
증상발생까지 시간
신고증상
결과
20대/남
(종사자)
3.4
10시간
발열, 오심, 구토, 두통 등
인과성이 인정되기 어려움
3.10
3일 21시간
두통, 오심
개연성이 있음
20대/여
의료기관
3.17
호흡곤란, 빈맥
3.25
3일
반상출혈
□ 추진단은 추후 신고된 사망 및 중증사례에 대해서도 해당 지자체와 함께 역학조사 중으로, 예방접종 피해조사반을 정기적으로 운영하고, 평가 결과를 공개할 계획이다.
【코로나19 예방접종 중증 이상반응 신속대응 절차】
신고
→
발생 인지 및 개요 파악
보고 및 기초조사
의료기관, 보호자 등
관할 보건소 담당자
↓
결과 통보
←
최종평가 실시
1차 인과성 평가
역학조사 및 보고
질병관리청
예방접종피해조사반
관할 시도 신속대응팀
관할 시도 담당자·역학조사관
□ 아울러, 안전한 코로나19 예방접종을 위해 접종 후 주의사항을 당부하였다.
1. 예방접종 후 이렇게 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 예방접종 후 접종부위 부기, 통증이 있는 경우 깨끗한 마른 수건을 대고 그 위에 냉찜질 하세요.
○ 예방접종 후 미열이 있는 경우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휴식을 취하세요.
○ 예방접종 후 발열이나 근육통 등으로 불편함이 있는 경우 해열진통제를 복용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 예방접종 전에 미리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해열진통제를 준비하고, 예방 접종 후 몸살 증상이 있으면 해열 진통제를 복용하세요.
2.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의사의 진료를 받으세요.
○ 접종부위 부기, 통증, 발적이 48시간 이후에도 악화되는 경우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4주 이내에 호흡곤란, 흉통, 지속적인 복부 통증, 다리의 부기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 경우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심한 또는 2일이상의 지속적인 두통이 발생하며, 진통제에 반응하지 않거나 조절 되지 않는 경우 또는 시야가 흐려지는 경우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갑자기 기운이 떨어지거나 평소와 다른 이상 증상이 나타난 경우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접종부위가 아닌 곳에서 멍이나 출혈이 생긴 경우
3.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119에 신고하거나 응급실을 방문하세요.
○ 예방접종 후 숨쉬기 곤란하거나 심하게 어지러운 경우
○ 입술, 얼굴이 붓거나 온몸에 심한 두드러기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 갑자기 의식이 없거나 쓰러진 경우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붙임> 1.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2.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3.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국내 발생 세부 현황 4. 시도별 코로나19 예방접종 진행 현황(1, 2분기 합산) 5.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주간 보고(4.4.∼4.10.) 6. 국외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보고 현황 7.「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 홍보자료 2. 2단계 방역조치 요약표(’21.4.12.∼’21.5.2.) 3. 1.5단계 방역조치 요약표(’21.4.12.∼’21.5.2.) 4. 코로나19 예방접종 국민행동수칙 5. 가족 감염 최소화를 위한 방역수칙 6. 가족 중 의심환자 발생 시 행동요령 점검표 7. 새로운 생활 속 거리 두기 수칙 웹포스터 2종 8. 코로나19 일상적인 소독방법 바로 알기 카드뉴스 9. 올바른 소독방법 카드뉴스 1, 2, 3편 10.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내 및 주의사항(환경부) 11.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안전 사용을 위한 홍보자료 목록(환경부) 12.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관련 홍보자료 13. 코로나19 예방 손씻기 포스터 14. 일상 속 유형별 슬기로운 방역생활 포스터 6종 15.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16. 마음 가까이 두기 홍보자료 17.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18.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9.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20.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건강한 생활 습관 21.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22.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23.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4.12., 정례브리핑)"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가능, 변경 가능)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유형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이전글이 없습니다.
다음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