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모든 시·군·구에 예방접종센터 설치ㆍ운영
◇ 4월에 모든 시군구에 264개 예방접종센터 설치·운영
◇ 접종대상자(75세 이상 등)는 주소지 예방접종센터에서 접종 가능
□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단장 정은경, 이하 ‘추진단’)은 어르신들의 예방접종센터 접근성 제고와 신속한 예방접종을 위해 4월 말까지 전국 264개 예방접종센터(전국 250개 행정구에 1개소 이상)를 설치·운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예방접종센터 운영현황 : (4.1) 49개 →(4.8) 71개 → (4.15) 175개 → (4.29) 264개
○ 전국 시군구마다 예방접종센터 설치로 접종대상자들은 주소지 예방접종센터에서 예약일정에 맞춰 안전하게 접종을 받을 수 있으며, 전국 인프라 구축으로 접종센터를 통한 접종규모도 확대된다.
○ 또한, 1차 예방접종을 인근 시군구 예방접종센터에서 받았더라도 2차 접종은 주소지 소재 예방접종센터에서 접종을 받을 수 있으며, 주소지 변경(이사) 등이 발생한 경우에도 예방접종센터를 변경하여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다.
1. 전국 예방접종센터 시설정보 제공
□ 이미 설치된 175개 예방접종센터에 대한 시설정보는 코로나19 예방접종 누리집(ncv.kdca.go.kr)에 게시되어 있으며,
○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 개방으로 접종대상자들은 인터넷 포털(네이버)을 이용해 접종센터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264개 예방접종센터 위치정보도 개소 시에 등록되어 제공될 예정이다.
○ 예방접종센터 위치정보는 선별진료소 찾기와 같이 네이버 포털- 예방접종센터-내 주변 센터 찾기를 이용하면 된다.
< 전국 예방접종센터 현황 >
(단위 : 개소)
접종센터
총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계
264
33
16
9
11
6
5
1
48
18
13
14
22
24
21
2
4.15 기준
175
26
4
12
7
20
4.29 기준
89
-
2. 예방접종센터 운영 및 이용안내
□ 예방접종센터는 2분기에 75세 이상 어르신, 노인시설(주거, 주ㆍ야간, 또는 단기보호)을 대상으로 접종을 실시하고 있다.
○ 4.14. 0시 기준 71개 접종센터가 운영되고 있으며(4.15.부터 175개소 운영 예정) 누적 241,732명(75세 이상 어르신 194,699명, 노인시설 47,033)을 접종하였다.
< 예방접종센터는 2분기 접종현황>
구분
접종대상자
(A)
접종동의자
(B)
신규접종자
누적접종자(C)
접종률1
(C/A)
접종률2
(C/B)
3,661,340
2,869,883
31,279
241,732
6.6
8.4
75세 이상 어르신
3,500,076
2,722,9021)
26,429
194,699
5.6
7.2
노인시설2)
161,264
146,9811)
4,850
47,033
29.2
32.0
□ 예방접종센터의 2분기 접종은 주소지 관할 읍면동에서 접종 동의를 받고 대상자 명단 등록 및 접종일시를 지정하여야 접종을 받을 수 있다.
○ 접종일자를 지정하면서 ‘국민비서 알림서비스’를 신청한 경우 개인별 접종일시 및 장소, 주의사항 등 백신접종 관련 정보를 이동통신 프로그램 (네이버앱‧카카오톡‧토스) 또는 문자메시지를 통해 편리하게 안내받을 수 있다.
* 접종안내를 받은 75세 이상 어르신 : 259,921명, 접종안내 메시지 발송건수 : 680,401건(4.13.(화) 24시 기준)
○ 다만, 지역별 인구 수, 연령별 분포 등의 차이로 지자체별 접종대상자 규모나 접종속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어서 지자체 읍면동 담당자가 확정된 접종일을 안내하기까지 접종을 기다려야 하며,
- 올해 6월까지 모든 지자체에서 1차 접종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3. 예방접종센터 운영
□ 예방접종센터 운영 요일, 운영 시간은 지자체별로 탄력적으로 운영된다.
○ 센터별 접종대상자의 이용편의, 접종규모와 속도 등을 고려하여 주말(토요일, 일요일), 공휴일, 야간에도 운영할 수 있다.
□ 예방접종센터는 주말, 공휴일, 야간 센터 운영 시에도 접종 후 이상반응 발현 시 응급이송 및 의료체계를 확보하여야 하고, 소방청과 협력하여 응급구급차를 상시 배치하여 신속 대응하고 있다.
4. 예방접종 협조사항
□ 현재 예방접종센터에서 75세 이상·노인시설 접종은 사전에 접종일시를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 지정된 일시 외에는 접종을 받지 못하므로, 반드시 안내 받은 일정에 맞추어 주민등록증, 여권 등 신분증을 지참하여 방문해야 한다.
□ 예방접종 예약 후 건강악화 또는 접종 당일 발열 등으로 접종이 어려운 경우, 사전에 접종일정을 변경*하여 예약 부도(No-Show)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 예약일 2일전 18시까지는 읍면동(75세 이상 어르신) 또는 시·군·구청(노인시설 입소·이용자 또는 종사자) 담당자에게 변경 요청하고, 예약일 1일전∼당일에는 예약된 예방접종센터로 연락하여 일정 변경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은 접종받은 분들은 귀가 후 3시간 이상, 접종 후 4주간 주의 깊게 이상반응에 대해 관찰하도록 당부하였다.
○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접종부위 통증이나 부기, 발적 등의 국소반응이나, 발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등의 전신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나, 이러한 증상은 대부분 2~3일 내에 증상이 사라진다.
○ 다만,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이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한다.
①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의사의 진료를 받으세요.
- 접종부위의 통증, 부기, 발적이 48시간 이후에도 악화되는 경우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4주 이내에 호흡곤란, 흉통, 지속적인 복부 통증, 다리의 부기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 경우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심한 또는 2일 이상 지속적인 두통이 발생하며, 진통제에 반응하지 않거나 조절되지 않는 경우 또는 시야가 흐려지는 경우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갑자기 기운이 떨어지거나 평소와 다른 이상 증상이 나타난 경우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접종부위가 아닌 곳에서 멍이나 출혈이 생긴 경우
②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119로 연락하거나 가까운 응급실로 내원하시기 바랍니다.
- 예방접종 후 숨쉬기 곤란하거나 심하게 어지러운 경우
- 입술, 얼굴이 붓거나 온몸에 심한 두드러기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 갑자기 의식이 없거나 쓰러진 경우
○ 이상반응이 의심되는 경우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http://nip.kdca.go.kr)의 ‘예방접종 후 건강상태 확인하기’에서 증상을 확인하고 대처법을 안내받을 수 있으며,
○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을 진료한 의료기관은 코로나19 예방접종 관리시스템(https//is.kdca.go.kr)을 통해, 접종받은 자(또는 보호자)는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을 통해 나타나는 이상반응을 신고할 수 있다.
□ 추진단 정은경 단장은 “예방접종센터 조기 설치ㆍ운영을 통해 안전하고 신속한 백신 접종으로 국민들의 일상회복이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또한, 행정안전부 전해철 장관은 “4월 중으로 전국 모든 자치단체에 지역 예방접종센터를 설치하고, 국민비서 서비스를 통해 접종 장소, 시기 등 접종정보를 안내하여 국민들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백신을 접종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붙임> 1. 예방접종센터 운영 개요 2. 예방접종센터 설치 현황(2021. 4. 15. 기준 175개) 3.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한 안내 홍보자료
"4월 모든 시·군·구에 예방접종센터 설치ㆍ운영"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가능, 변경 가능)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유형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이전글이 없습니다.
다음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