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5.12.) ※ 2쪽 백신별 접종 현황 표 화이자 백신 1차 접종 누적 접종자수 수정(15:48)
1. 내일부터 60세 이상 사전예약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내일(5월 13일)부터 60∼64세(1957∼1961년생) 어르신 및 유치원·어린이집·초등학교(1·2학년) 교사 및 돌봄 인력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미 사전예약이 진행되고 있는 65∼74세 어르신도 6월 3일까지 가능하다.
○ 온라인(모바일, 누리집)을 통한 사전 예약은 5월 13일(목) 0시부터 가능하며, 질병관리청 콜센터(☎1339) 또는 지자체*를 통한 전화예약은 평일 근무시간(9시∼18시, 지자체별 탄력적)에 가능하다.
* 코로나19 예방접종 누리집(http://ncv.kdca.go.kr)에서 확인
2.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 5월 12일 0시 기준으로 신규 1차 접종자는 6,029명으로 총 3,698,657명이 1차 접종을 받았고, 2차 신규 접종자는 80,788명으로 총 664,813명이 2차 접종까지 완료하였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5.12일 0시 기준, 단위: 명, 건)】
구분
전일 누계(A)1)
신규 접종(B)
누적 접종(A+B)
인구2)대비 접종률
1차 접종
3,692,628
6,029
3,698,657
7.2
접종 완료
584,025
80,788
664,813
1.3
접종건수 계
4,276,653
86,817
4,363,470
-
1) 전일까지의 접종자 74명이 5월 11일 추가로 등록되어 누계에 포함됨(신규 현황은 당일접종(5.11)을 의미함)
2) ’20.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거주자) 기준
※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백신별 접종 현황(5.12일 0시 기준, 단위: 명, 건)】
백신
접종 대상자(A)
누적 접종(C)
접종률(C/A)
아스트라제네카
2,629,945
1,659
2,027,084
77.1
183
1,173
0.04
화이자
3,728,574
4,370
1,671,573
44.8
80,605
663,640
17.8
□ 5월 12일 0시 기준 접종기관별·접종대상별 접종현황은 다음과 같다.
접종대상자
(A)
접종동의/
예약자
신규접종자
누적접종자(B)
접종률
(B/A)
계
1차
6,358,519
5,147,648
58.2
2차
10.5
①보건소·자체접종
접종동의자
소계
1,418,224
1,223,568
1,525
1,163,455
82.0
0.1
요양병원
416,742
336,191
54
319,041
76.6
2
30
0.01
요양시설
282,786
237,520
112
227,495
80.4
162
329
코로나 1차 대응요원
128,606
118,845
794
109,135
84.9
8
84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422,976
394,203
6
379,817
89.8
10
146
0.03
기타 대상자1)
5,689
4,221
74.2
1
584
10.3
취약시설2)
101,988
90,878
365
85,826
84.2
특수교육·보건교사 등
59,437
40,242
11
37,920
63.8
②예방접종센터
접종동의자3)
3,052,758
코로나 치료병원
63,058
61,588
0
60,923
96.6
60,703
96.3
75세이상 어르신 (4.1.∼)
3,493,779
2,830,304
4,093
1,463,889
41.9
74,752
512,272
14.7
노인시설4) (4.1.∼)
171,737
160,866
277
146,761
85.5
5,852
90,665
52.8
③위탁의료기관 등
접종예약자5)
1,211,721
871,322
134
863,629
71.3
장애인 돌봄 등6) (4.19.∼)
427,296
310,196
308,238
72.1
의원급 의료기관 및 약국 (4.26.∼)
336,912
212,516
211,493
62.8
만성신질환 (4.26.∼)
87,323
44,755
41,673
47.7
사회필수인력 (4.26.∼)
293,508
240,496
239,188
81.5
기타 대상자7)
66,682
63,359
133
63,037
94.5
1) 필수목적 출국자 등, 2) 장애인·노숙인, 결핵 및 한센인 거주시설, 교정시설 종사자 등,
3) 접종대상자 중 접종동의여부 조사 완료된 75세 이상 어르신 3,333,710명, 노인시설 170,849명 중 동의한 대상자 수
4) 노인시설 이용·입소자 및 종사자는 아니나 예방접종센터에서 추가 접종된 건 수 포함
5) 조사일 현재까지 예약자 수로 예약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예약 진행
6) 장애인·노인방문·보훈인력 돌봄종사자, 항공승무원, 7) 예비명단 등
※ 접종대상자, 접종동의/예약자, 누적접종자 등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의심되어 신고된 사례(5.12일 0시 기준)는 총 20,678건*(신규 412건)으로,
* 2개 이상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중복 신고 되더라도 1건으로 분류
-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날 수 있는 근육통, 두통, 발열, 오한, 메스꺼움 등 사례가 19,893건(96.2%)으로 대부분이었으며,
- 아나필락시스 의심 사례 187건(신규 0건), 주요 이상반응 사례는 신경계 이상반응 등 495건(신규 36건), 사망 사례 103건(신규 1건)이 신고 되었다.
3.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5월 12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613명, 해외유입 사례는 22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28,918명(해외유입 8,630명)이라고 밝혔다.
○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37,255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32,448건(확진자 101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8,795건(확진자 19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78,498건, 신규 확진자는 총 635명이다.
○ 신규 격리해제자는 656명으로 총 119,373명(92.60%)이 격리해제되어, 현재 7,661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167명, 사망자는 5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1,884명(치명률 1.46%)이다.
【국내 발생 확진자 현황(5.12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신규
613
220
5
20
22
31
184
16
12
17
7
15
13
누계
120,288
39,014
5,118
9,263
5,567
2,391
1,781
2,170
358
34,228
2,768
2,591
2,979
1,925
1,111
4,145
4,096
783
【해외유입 확진자 현황(5.12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추정)유입국가*
확인 단계
국적
중국
아시아(중국 외)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검역단계
지역사회
내국인
외국인
3
4
9
8,630
57
4,088
1,468
2,567
424
26
3,617
5,013
4,5451)
4,0851)
(0.7%)
(47.4%)
(17.0%)
(29.7%)
(4.9%)
(0.3%)
(41.9%)
(58.1%)
(52.7%)
(47.3%)
* 아시아(중국 외): 인도 4명(1명), 필리핀 1명(1명), 인도네시아 6명(5명), 카자흐스탄 3명(2명), 쿠웨이트 1명 유럽:독일 1명(1명), 불가리아 2명 아메리카: 미국 4명(1명) ※ 괄호 안은 외국인 수
1) 역학조사 결과 국적 정정(5.10. 0시 기준 내국인 +1, 외국인 –1)
【확진자 관리 현황*(‘20.1.3일 이후 누계)】
격리해제
격리 중
위중증 환자**
사망자
5.11.(화) 0시 기준
118,717
7,687
171
1,879
5.12.(수) 0시 기준
119,373
7,661
167
1,884
변동
(+)656
(-)26
(-)4
(+)5
* 5.11일 0시부터 5.12일 0시 사이에 질병관리청으로 신고·접수된 자료 기준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5월 12일(0시 기준) 국내 주요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3페이지 0시 기준 통계, 지자체 자체 발표 자료와 집계시점 등의 차이로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향후 역학조사에 따라 분류 결과 변동 가능 ○ 5월 12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613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542.4명), 수도권에서 424명(69.2%) 비수도권에서는 189명(30.8%)이 발생하였다.
(주간: 5.6일~5.12일, 단위: 명)
전국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경북권
경남권
강원권
제주권
(서울, 인천, 경기)
(대전, 세종, 충남, 충북)
(광주, 전남, 전북)
(대구, 경북)
(부산, 울산, 경남)
(강원)
(제주)
5.12일(0시 기준)
61
56
주간 일 평균
542.4
358.9
27.4
36.1
23.4
71.4
12.3
12.9
주간 총 확진자 수
3,797
2,512
192
253
164
500
86
90
○ 주요 집단발생 신규사례는 다음과 같다.
- (경기 시흥 공구유통업/안산 교회 관련) 5월 9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20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21명이다.
환자 구분
①유통업 관련
종사자 4명
②교회 관련
가족 2명(지표포함), 교인 10명, 지인 2명, 기타 3명
- (광주 광산구 음식점 관련) 5월 9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5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6명이다.
* (구분) 종사자 3명(지표포함), 가족 3명
- (전남 여수시 지인모임 관련) 5월 8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7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8명이다.
* (구분) 지인 6명(지표포함), 기타 2명
- (대구 달서구 대학생 지인모임 관련) 5월 10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4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5명이다.
* (구분) 지인 5명(지표포함)
- (울산 울주군 가족/직장 관련) 5월 5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11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2명이다.
* (구분) 일가족 6명(지표포함), 직장 6명
- (경남 김해시 가족모임 관련) 4월 29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9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0명이다.
* (구분) 가족 8명(지표포함), 지인 1명, 기타 1명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붙임>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2.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3. 60세 이상 코로나19 예방접종 효과 및 사전예약 안내문 4.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한 안내 5. 5월 가정의 달 행동수칙 홍보자료 6. 코로나19 유증상자 적극 검사 시행 포스터 7.「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 홍보자료 2. 2단계 방역조치 요약표(’21.5.3.∼’21.5.23.) 3. 1.5단계 방역조치 요약표(’21.5.3.∼’21.5.23.) 4. 코로나19 예방접종 국민행동수칙 5.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개편 관련 홍보자료(국·영문) 6. 가족 감염 최소화를 위한 방역수칙 7. 가족 중 의심환자 발생 시 행동요령 점검표 8. 새로운 생활 속 거리 두기 수칙 웹포스터 2종 9. 코로나19 일상적인 소독방법 바로 알기 카드뉴스 10. 올바른 소독방법 카드뉴스 1, 2, 3편 11.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내 및 주의사항(환경부) 12.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안전 사용을 위한 홍보자료 목록(환경부) 13. 코로나19 예방 손씻기 포스터 14. 일상 속 유형별 슬기로운 방역생활 포스터 6종 15.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16. 마음 가까이 두기 홍보자료 17.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18.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9.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20.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건강한 생활 습관 21.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22.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23.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5.12.)"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가능, 변경 가능)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유형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이전글이 없습니다.
다음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