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6.30.)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6월 30일 0시 기준으로 1차 접종은 16,084명으로 총 15,321,254명이 1차 접종을 받았고, 이 중 116,230명이 접종을 완료하여 총 4,905,462명이 접종을 완료하였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6.30일 0시 기준, 단위: 명, 건)】
구분
전일 누계(A)
신규 접종(B)
누적 접종(A+B)
인구1)대비 접종률
1차 접종
15,305,170
16,084
15,321,254
29.8
접종 완료2)
4,789,232
116,230
4,905,462
9.6
1) ’20.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거주자) 기준
2) 얀센 백신의 경우 1회 접종만으로 접종이 완료되므로 1차 접종과 접종 완료 모두에 일괄 추가
※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백신별 접종 현황(6.30일 0시 기준, 단위: 명, 건)】
백신
접종 대상자(A)1)
누적 접종(C)
접종률(C/A)
아스트라제네카
12,520,771
1,287
10,393,639
83.0
접종 완료
11,544
923,460
7.4
화이자
4,336,032
6,448
3,769,895
86.9
104,026
2,854,308
65.8
모더나
75,285
7,689
30,026
39.9
얀센2)
(접종 완료)
1,169,464
660
1,127,694
96.4
1) 접종기관, 관계부처 등에서 파악한 접종대상군 별 접종인원으로서 사망, 입퇴사(원), 신규 인입 등으로 변동 가능
2) 얀센 백신의 경우 1회 접종만으로 접종이 완료됨
□ 6월 30일 0시 기준 접종대상별 접종현황은 다음과 같다.
(명, %)
접종대상 현황
접종자 현황
접종률
총대상자(A)
동의7)/
예약자8)
1차
완료
(B/A)
(C/A)
신규
누적(B)
누적(C)
계
18,101,552
15,541,449
84.6
27.1
위
탁
의
료
소계
12,123,403
10,162,269
824
10,139,801
893
1,129,077
83.6
9.3
장애인 돌봄 등1)(4.19.∼)
AZ
442,068
373,080
0
372,005
50
105
84.2
0.02
의원급 의료기관 및 약국(4.26.~)
345,621
253,227
3
252,570
9
106
73.1
0.03
만성신질환(4.26.∼)
77,860
53,857
53,645
11
68.9
0.01
호흡기장애인(5.27.∼)
7,764
5,216
5,191
66.9
-
사회필수인력(4.26.∼)
219,219
170,456
169,479
4
28
77.3
70∼74세(5.27.∼)
2,072,329
1,722,127
20
1,718,665
6
26
82.9
0.001
65∼69세(5.27.∼)
2,907,154
2,381,600
18
2,377,118
29
71
81.8
0.002
60-64세(6.7.~)
3,754,635
2,965,943
51
2,959,729
78.8
(AZ)기타 대상자2)(2.26~)
1,127,289
1,105,853
72
1,103,705
135
1,036
97.9
0.1
예비군 민방위 등(6.10~)
J
900,557
862,740
860,667
95.6
(J)기타 대상자3)(6.10~)
268,907
268,170
589
267,027
99.3
접
종
센
터
3,941,891
3,489,257
3,375,754
2,823,518
85.6
71.6
코로나 치료병원(2.27~)
Pf
62,593
61,353
61,011
60,815
97.5
97.2
75세이상(4.1.∼)
3,476,175
3,031,199
5,128
2,925,100
102,738
2,592,848
84.1
74.6
노인시설4) (4.1.∼)
205,698
199,280
1,205
193,530
1,286
169,851
94.1
82.6
2분기 30세 미만 AZ 접종제외자(6.15~)
197,425
115
196,113
2
보
건
소
및
자
체
2,036,258
1,889,923
8,812
1,805,699
11,311
952,867
88.7
46.8
요양병원(2.26~)
434,312
373,059
153
357,321
666
304,623
82.3
70.1
요양시설(2.26~)
285,642
252,892
540
245,346
5,285
190,255
85.9
66.6
1차 대응요원(2.26~)
138,077
131,933
119
128,908
340
65,445
93.4
47.4
병원급 이상(3.4~)
429,239
407,453
187
399,799
1,452
344,395
93.1
80.2
30세 미만 병원급 이상(6.17~)
M
기타5)
7,293
1
7,038
181
5,219
96.5
취약시설6)(4.2~)
100,617
91,805
117
88,878
2,202
7,112
88.3
7.1
특수교육·보건교사 등(4.2~)
56,694
41,104
39,284
1,185
4,815
69.3
8.5
30세 이상 군장병(4.28~)
114,958
213
100
0.2
30세 미만 군장병(6.7~)
394,141
30,790
7.8
1) 장애인·노인방문·보훈인력 돌봄종사자, 항공승무원
2) 예비명단, 접종센터대상자 중 거동불편자 등
3) 예비명단, 필수목적출국자 등
4) 노인시설 이용·입소자 및 종사자는 아니나 예방접종센터에서 필수목적 출국자 등이 추가 접종된 건 수 포함
5) 필수목적 출국자 등
6) 장애인·노숙인, 결핵 및 한센인 거주시설, 교정시설 종사자 등 7) 75세이상, 노인시설의 경우 접종대상자 중 접종동의여부 조사 완료된 75세이상 3,365,907명, 노인시설 205,258명 중 동의한 대상자 수
8) 조사일 현재까지 예약자 수로 예약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예약 진행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의심되어 신고된 사례 (6.30. 0시 기준)는 총 89,728*건(신규** 4,579건)으로,
* 2개 이상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중복 신고 되더라도 1건으로 분류
** 6.29∼30일 0시 기준 신규사례의 합
-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날 수 있는 근육통, 두통, 발열, 오한, 메스꺼움 등 사례가 85,307건(95.1%)으로 대부분이었으며,
- 아나필락시스 의심 사례 424건(신규 8건), 주요 이상반응 사례는 신경계 이상반응 등 3,641건(신규 232건), 사망 사례 356건(신규 20건)이 신고되었다.
2.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6월 30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759명, 해외유입 사례는 35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56,961명(해외유입 9,917명)이라고 밝혔다.
○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23,331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35,303건(확진자 177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3,474건(확진자 2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62,108건, 신규 확진자는 총 794명이다.
○ 신규 격리해제자는 616명으로 총 147,693명(94.1%)이 격리 해제되어, 현재 7,250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149명, 사망자는 1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018명(치명률 1.29%)이다.
【국내 발생 확진자 현황(6.30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759
368
13
234
14
5
8
10
7
16
누계
147,044
48,736
5,962
10,385
6,433
2,772
2,579
2,705
523
42,075
3,438
3,164
3,565
2,224
1,549
4,700
5,026
1,208
【해외유입 확진자 현황(6.30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추정)유입국가*
확인 단계
국적
중국
아시아(중국 외)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검역단계
지역사회
내국인
외국인
35
27
17
9,917
79
5,041
1,557
2,729
484
4,216
5,701
5,228
4,689
(0.8%)
(50.8%)
(15.7%)
(27.5%)
(4.9%)
(0.3%)
(42.5%)
(57.5%)
(52.7%)
(47.3%)
* 아시아(중국 외): 인도네시아 9명(2명), 우즈베키스탄 4명(4명), 러시아 3명(1명), 타지키스탄 3명(2명), 필리핀 2명(2명), 인도 1명(1명), 카자흐스탄 1명(1명). 미얀마 1명(1명), 방글라데시 1명, 캄보디아 1명, 아프가니스탄 1명(1명), 유럽: 영국 3명(1명), 터키 2명, 북마케도니아 1명(1명), 아메리카: 미국 1명, 아프리카: 에티오피아 1명 ※ 괄호 안은 외국인 수
【확진자 관리 현황*(‘20.1.3일 이후 누계)】
격리해제
격리 중
위중증 환자**
사망자
6.29.(화) 0시 기준
147,077
7,073
152
2,017
6.30.(수) 0시 기준
147,693
7,250
149
2,018
변동
(+)616
(+)177
(-)3
(+)1
* 6.29. 0시부터 6.30. 0시 사이에 질병관리청으로 신고·접수된 자료 기준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6월 30일 0시 기준 국내 주요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3페이지 0시 기준 통계, 지자체 자체 발표 자료와 집계시점 등의 차이로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향후 역학조사에 따라 분류 결과 변동 가능
○ 6월 30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759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592.9명), 수도권에서 631명(83.1%), 비수도권에서는 128명(16.9%)이 발생하였다.
(주간: 6.24일~6.30일, 단위: 명)
전국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경북권
경남권
강원권
제주권
(서울, 인천, 경기)
(대전, 세종, 충남, 충북)
(광주, 전남, 전북)
(대구, 경북)
(부산, 울산, 경남)
(강원)
(제주)
6.30일(0시 기준)
631
42
23
33
주간 일 평균
592.9
464.9
33.1
16.1
15.3
45.4
14.0
4.0
주간 총 확진자 수
4,150
3,254
232
113
107
318
98
○ 주요 집단발생 신규사례는 다음과 같다.
- (인천 외국인 교환학생 관련) 6월 26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9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0명이다.
* (구분) 학생 10명(지표포함) / 전원 외국인
- (경기 고양시 노래방2 관련) 6월 23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10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1명이다.
* (구분) 이용자 7명(지표포함), 종사자 2명, 가족 1명, 지인 1명
- (대전 노래방 관련) 6월 17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18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9명이다.
* (구분) 종사자 11명(지표포함), 이용자 5명, 가족 및 지인 3명
- (대구 달서구 대형마트 관련) 6월 26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12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3명이다.
* (구분) 종사자 9명(지표포함), 가족 3명, 기타 1명
- (경남 창원시 대학교야유회 관련) 6월 22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6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7명이다.
* (구분) 야유회 참석자 6명(지표포함), 가족 1명
3. 해외 주요국가 코로나19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전 세계 주간 신규 확진자 수는 지난주와 비슷한 규모로, 일부 국가에서 델타변이 확산에 따른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 최근 1주간(25주차, 6.21~6.27일) 전 세계 신규환자는 260만 명(WHO 기준)으로 그 전주(252만 명)와 유사한 모습을 보였다.
- 최근 델타변이가 확산되면서 일부 국가의 증가세에 영향을 주고 있는 상황으로,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지난주 대비 확진자가 46.6% 증가하였으며,
* (24주) 확진 70,739명 → (25주) 확진 103,697명(+46.6%)
- 포르투갈에서는 리스본을 중심으로 확진자가 급증하여 2월 말 이후 최대 발생을 보이는 가운데, 신규 확진자 중 델타변이 감염자가 51%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 (24주) 확진 7,369명 → (25주) 확진 8,942명(+21.3%)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예방접종률이 높은 주요국가에서도 델타변이 확산에 따라 이스라엘, 영국에서 확진자 발생이 뚜렷하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 이스라엘의 경우 전주 대비 확진자가 4배 이상 증가하면서, 신규 발생의 약 90%가 델타변이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24주) 확진 221명 → (25주) 확진 1,093명(+394.6.%)
○ 영국 또한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지난 2월 중순 이후 주간 신규 발생의 최대치를 기록하였다.
* (24주) 확진 62,474명 → (25주) 확진 96,843명(+55.0%)
【주요 7개국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6.28. 0시 기준】
누적 발생
인구100만 명당 누적발생
인구100만 명당 주간 발생(6.21~6.27)
예방접종률
(%)
확진자수
사망자수
1회이상
접종완료
미국
33,285,377
598,504
100,559
1,808
258
7.3
53.5
45.5
프랑스
5,659,355
110,017
87,014
1,691
171
2.9
48.8
27.5
영국
4,717,815
128,089
69,496
1,886
1,426
1.8
64.9
47.5
독일
3,726,710
90,754
44,810
1,091
56
4.4
53.0
34.5
이스라엘
840,971
6,429
97,159
742
126
64.0
59.6
일본
794,457
14,657
6,281
82
20.2
9.2
한국
155,071
2,013
3,024
39
76
9.1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전 세계적으로 변이바이러스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외국에 비해 낮은 수치이지만 국내에서도 관련 사례들이 확인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며,
○ ➀마스크 착용, ➁충분한 환기, ➂유증상시 즉시 검사받기 등 기본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켜달라고 당부하였다.
- 또한, 나의 건강과 모두의 안전을 위하여 정해진 일정에 따라 예방접종을 받고, 예방접종을 받았더라도 실내에서는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에서 내려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0시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 ‘일일확진자’ > 다운로드(화살표선택) >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 시도별 발생동향 > 시도 선택 >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붙임>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2.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3.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방법 안내 4.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포스터 5.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한 안내 6. 코로나19 유증상자 적극 검사 시행 포스터 7.「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코로나19 예방접종 국민행동수칙 2.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 홍보자료 3. 2단계 방역조치 요약표(’21.6.14∼’21.7.4) 4. 1.5단계 방역조치 요약표(’21.6.14∼’21.7.4) 5.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개편 관련 홍보자료(국‧영문) 6.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7.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8. 가족 감염 최소화를 위한 방역수칙 9. 가족 중 의심환자 발생 시 행동요령 점검표 10.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11.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12.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3.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14.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5. 올바른 소독방법 카드뉴스 1, 2, 3편 16.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내 및 주의사항(환경부) 17. 코로나19 예방 손 씻기 포스터
"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6.30.)"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가능, 변경 가능)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유형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이전글이 없습니다.
다음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