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12일부터 약 820만 여명 2차 예방접종 시작(8.10., 정례브리핑)
- 50세 이상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50세 미만은 화이자 백신으로 접종 -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차접종에 대한 2차접종 안내
○ 지난 5~6월 위탁의료기관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차접종을 받은 대상자의 2차접종 시작(8.12.)
○ 나와 주변 사람들을 코로나19 감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접종 완료 당부
◆ 백신 도입 현황
○ 화이자 백신 160만 회분 도착 예정(8.11.), 8월 898.8만 회분 도입 완료
◆ 18~49세 연령층 사전예약 안내
○ 8.10.(화) 18시까지 주민등록번호 생년월일 끝자리 9인 대상자 예약, 20시부터는 끝자리가 0인 대상자 사전예약 실시
○ 원활한 예약을 위해 접속 쏠림이 해소되는 20시 30분부터 이용하면 빠르게 예약 가능
|
1.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차접종에 대한 2차접종 안내
|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이하 “추진단”)은 지난 5~6월 동안 위탁의료기관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1차접종한 60~74세 고령층, 취약시설 종사자, 항공승무원, 보건의료인, 사회필수인력 등 약 820만여 명에 대한 2차접종이 8월 12일(목)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된다고 밝혔다.
○ 이번 2차접종 대상자는 5월 27일(목)부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1차접종한 대상자로, 50세 이상 연령층은 1차접종을 시행했던 위탁의료기관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으로, 50세 미만 연령층은 화이자 백신으로 2차 접종이 시행될 예정이다.
□ 60대 이상 연령층에게 코로나19 감염은 젊은 연령층에 비해 위중하나 예방접종을 받음으로써 본인의 감염과 중증·사망 예방 효과는 물론, 가족에게 추가 전파를 차단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 코로나19로부터 본인과 주변 사람들의 건강을 지키기 위하여 2차접종 기간에 꼭 접종받아 접종을 완료하시길 다시 한 번 당부 드린다.
□ 추진단은 예방접종을 받으시는 것만큼 접종 이후 본인의 건강 상태를 관리하는 것도 중요함을 강조했다.
○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발생 및 조치를 위하여 모든 접종 완료자는 예방접종 후 15~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러 이상반응 발생 여부를 관찰하고, 귀가 후에도 적어도 3시간 이상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 최소 15분간 관찰하되, 이전에 다른 원인(약, 음식, 주사행위 등)으로 중증 알레르기(예: 아나필락시스) 경험이 있는 경우는 30분 간 관찰
- 접종 부위는 항상 청결히 유지하고, 동시에 접종 후 최소 3일간은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며, 고열이 있거나 평소와 다른 신체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의사 진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
※ 어르신은 예방접종 후 증상 발생 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혼자 있지 않도록 다른 사람이 함께 있는 것을 권고함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발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메스꺼움ㆍ구토 등의 전신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나, 이러한 이상반응은 대부분 수일(3일) 내 증상이 사라진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 수분을 섭취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방접종 후 발열이나 근육통 등 몸살 증상이 있으면 해열진통제를 하루 정도 복용할 수 있도록, 해열진통제를 사전에 준비할 것을 당부했다.
□ 8월 11일(수), 화이자 백신 160만 회분이 인천공항에 도착할 예정이다.
○ 이로써 화이자 백신 413만 회분을 포함하여 8월 1일부터 8월 11일까지 898.8만 회분의 백신이 도입된다.
○ 안정적인 백신 공급을 위해 지속적으로 제약사와 긴밀히 협의해 나갈 예정이며, 구체적인 공급 일정은 제약사와 협의 되는대로 신속하게 안내할 계획이다.
□ 추진단은 8월 10일(화) 18시까지는 주민등록번호 생년월일 끝자리가 9인 18-49세 연령층 예약이 마무리되고, 20시부터는 끝자리가 0인 분을 대상으로 사전예약이 실시된다고 밝혔다.
【18~49세 10부제 사전예약 일정】
18-49세 10분제 사전예약 일정 에 대한 표 - 예약기간, 예약대상 (주민번호 생년월일 끝자리)로 구성
예약기간
|
예약대상* (주민번호 생년월일 끝자리)
|
예약기간
|
예약대상* (주민번호 생년월일 끝자리)
|
8월 9일 20시~8월 10일 18시
|
9
|
8월 14일 20시~8월 15일 18시
|
4
|
8월 10일 20시~8월 11일 18시
|
0
|
8월 15일 20시~8월 16일 18시
|
5
|
8월 11일 20시~8월 12일 18시
|
1
|
8월 16일 20시~8월 17일 18시
|
6
|
8월 12일 20시~8월 13일 18시
|
2
|
8월 17일 20시~8월 18일 18시
|
7
|
8월 13일 20시~8월 14일 18시
|
3
|
8월 18일 20시~8월 19일 18시
|
8
|
* 예) 81년 7월 12일생인 사람 : 생년월일 끝자리가 2이므로, 8월 12일 20시부터 8월 13일 18시까지 예약 가능
○ 이번 18-49세 연령층의 사전예약부터는 네이버, 카카오, PASS 등을 통해 적어도 예약 하루 전 간편인증서를 미리 발급받아 두면 예약 당일 별도의 지체 없이 인증을 진행할 수 있게 되며,
- 원활한 예약을 위해 접속 쏠림이 해소되는 20시 30분부터 이용하면 빠르게 예약이 가능하다.
○ 다만, 백신 공급상황이 유동적이어서 추후 백신 수급일정에 변동이 있는 경우 예약하신 날짜의 접종일정 또는 백신종류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변경사항이 있는 경우는 신속하게 안내해 드릴 예정이다.
- mRNA백신의 2차접종일이 6주를 초과한 대상자 역시, 6주 이내로 조정하는 예방접종시스템의 개선을 진행 중에 있다.
□ 8월 9일(월) 20시부터 진행된 18-49세 사전예약 개통 결과, 기존에 발생했던 접속 쏠림 현상은 크게 해소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 사전예약시스템의 이용 대기는 평균 1분 내외로 크게 개선되었으며, 본인인증 역시 접속 초기 일시적인 쏠림현상을 제외하고는 원활하게 진행되었다.
○ 그 간 사전예약시스템 개선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신 여러 기관의 전문가 분들께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사전예약시스템의 미비점은 지속 발굴하여 개선할 예정라고 밝혔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최근 교회 모임을 통한 집단발생 사례가 발생함에 따라 이에 대한 위험요인을 분석하고 주의사항을 당부하였다.
○ 7월 이후 교회 관련 신규 집단감염 사례는 총 13건, 507명*이 발생하였으며, 발생규모는 사례 1건당 평균 39.0명이었다.
* (7월) 10건 244명 → (8월, 진행 중) 3건 232명
○ 최근 발생한 종교시설 관련 주요 집단감염 사례(‘대구 소재 종교시설 관련’)는 교인 및 가족 등 총 202명의 확진자가 발생하였고,
- 이는 예배·찬양 등 교회 활동을 위해 다른 지역 교회(4개)와 잦은 교류 및 친목모임 등을 통해 발생규모가 더욱 커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 대구 소재 종교시설 관련 집단사례 유행곡선(‘21.8.9. 기준) 그림 붙임 참조】
○ 주요 위험요인으로는 △마스크 착용 불량, △예배당 내 환기 미흡, △ 교인들 간의 잦은 상호 교류에 따른, 교회 간 전파 위험 증가 등이 있었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방학기간 동안 평소보다 활발한 종교활동이 예상됨에 따라, 교회 내 방역수칙 준수가 보다 철저히 지켜져야 함을 강조하면서,
- 교인은 △의심 증상이 있으면 다수가 모이는 예배 등의 참석은 자제하고, △즉시 선별진료소에서 검사를 받아야 하며, △교인 간 소모임 금지 등의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켜줄 것을 당부하였다.
- 또한 교회 방역관리 책임자에게는 △대면예배 이외 별도의 모임 및 행사 금지, △대면예배 참석인원 준수 및 관리, △시설 내 주기적 환기 및 예배당 내 거리두기 준수를 요청하였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백신의 효과 평가 목적으로 실시 중인 백신 접종 후 ‘돌파감염 추정’ 사례 현황을 다음과 같이 밝혔다.
○ 8월 5일 기준 국내 접종완료자 6,516,203명 중 돌파감염 추정 사례는 1,540명으로 접종자 10만 명당 23.6명이며,
- 백신종류별로는 아스트라제네카 340명(31.4명/10만 접종자), 화이자 420명(12.2명/10만 접종자), 얀센 746명(65.7명/10만 접종자), 교차접종 34명(4명/10만 접종자)이었다.
- 이 중 위중증 사례는 15명*(돌파감염자의 0.97%), 사망은 2명**(돌파감염자의 0.13%)이었다.
* (연령별) 30대 1명, 40대 1명, 50대 1명, 60대 2명, 70대 4명, 80대 이상 6명
** (사망자) 80대, 화이자, 7.6. 확진(델타변이) → 7.26. 사망
90대, 아스트라제네카, 7.29. 확진 → 7.29. 사망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돌파감염 추정사례 발생률 그림 붙임 참조>
○ 변이바이러스 분석이 완료된 돌파감염 추정사례 379명 중 65.2%(247명)에서 주요변이(알파형 24명, 베타형 1명, 감마형 1명, 델타형 221명)가 확인되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돌파감염 추정사례 누적발생률>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돌파 감염 추정사례 누적발생률 - 백신종류, 접종 완료자, 확진자, 주요변이 분석결과로 구성
(‘21.8.5. 0시 기준, 단위 : 명)
|
백신
종류
|
접종
완료자1)
|
확진자(돌파감염 추정)
|
주요변이
분석결과3)
|
구분
|
계
|
성별
|
남
|
여
|
α
|
β
|
γ
|
δ
|
계
|
6,516,203
|
확진자수
|
1,540
|
972
|
568
|
24
|
1
|
1
|
221
|
발생률2)
|
23.6
|
31.3
|
16.6
|
아스트라제네카
|
1,082,716
|
확진자수
|
340
|
127
|
213
|
4
|
-
|
-
|
43
|
발생률2)
|
31.4
|
38.2
|
28.4
|
화이자
|
3,446,024
|
확진자수
|
420
|
173
|
247
|
10
|
1
|
-
|
54
|
발생률2)
|
12.2
|
12.2
|
12.2
|
얀센
|
1,136,108
|
확진자수
|
746
|
661
|
85
|
10
|
-
|
1
|
123
|
발생률2)
|
65.7
|
67.2
|
55.8
|
모더나
|
5,991
|
확진자수
|
-
|
-
|
-
|
-
|
-
|
-
|
-
|
발생률2)
|
-
|
-
|
-
|
교차
접종
|
845,364
|
확진자수
|
34
|
11
|
23
|
-
|
-
|
-
|
1
|
발생률2)
|
4.0
|
3.0
|
4.8
|
1) 백신종류별 권장횟수 접종 후 14일 경과자
2) 접종완료자(백신종류별 권장횟수 접종 후 14일 경과자) 10만 명당 확진자 수
3) 1,540명 중 변이분석 완료 379명, 1,161명 분석예정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접종완료자가 늘어남에 따라 돌파감염 사례는 지속 늘어날 수 있다고 하면서,
○ 돌파감염 발생 가능성은 0.02%로 극히 낮은 수준이며, 감염되더라도 높은 중증 및 사망예방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권장 접종 시기에 맞춰 접종 완료 필요성을 지속 강조하였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최근 발생한 요양병원 돌파감염 사례 및 향후 대응방안에 대해서도 설명하였다.
○ 최근 부산, 김해 등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률 80% 이상인 시설에서 2차 접종 완료 후 6주 이상 경과한 입소자 중심으로 돌파감염자가 다수 발생하였다.
- ▲고연령·기저질환자의 낮은 면역 형성, ▲델타변이의 전파력, ▲밀집, 밀폐환경에서의 장기간 노출, ▲의심증상자 검사 지연 등이 집단발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하였다.
* 외국에서도 요양병원 돌파감염 위험은 높게 보고되어, 고위험군 대상 추가접종 검토 중(델타변이가 유행한 요양시설 입소자에서 돌파감염률 평균 49%로 보고, 유럽질병통세센터 7.26.)
○ 방역당국은 요양병원·시설 등의 돌파감염 예방·관리를 위한 조치를 신속히 추진할 계획으로
- 백신 미접종자 및 1회 접종자에 대한 접종을 신속히 완료하고, 예방접종 효과 평가*를 통해 추가접종 시행방안에 대하여 검토할 예정이다.
* ▴대상 집단별 발병률, ▴접종 후 시기별 감염·중증·사망 예방효과, ▴접종 후 중화항제 지속기간 등
- 더불어 ▲출입자 관리 강화(업무상 출입자 최소화, 비접촉 면회), ▲방역수칙 준수(접종력과 상관 없이 마스크 착용 등) 점검 강화, ▲유증상자 즉시 검사, ▲입소자·종사자 선제검사 강화 등 대책을 시행할 예정이다.
□ 현재까지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의 발생상황은 다음과 같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변이바이러스 감시 강화를 위해 분석을 지속 확대하고 있으며, 최근 1주일간 변이바이러스 분석률*은32.3%(국내 31.1%, 해외 59.5%)이다.
* 분석률 = 기간 내 변이바이러스 분석건수 / 기간 내 확진자수
- 최근 1주 국내감염 사례의 주요 변이바이러스 검출률은 75.6%로 전주 대비 8.0% 증가하였고, 델타형 변이*의 검출률은 73.1%로 전주대비 11.6% 증가하였다.(8.7. 0시 기준)
* (델타변이) 국내 61.5%(7월4주) → 73.1%(8월1주)
해외유입 91.6%(7월4주) → 94.7%(8월1주)
【 국내감염 주요 변이바이러스 분석률 및 검출률(8.7 기준) 】
국내감염 주요 변이바이러스 분석률 및 검출률(8.7 기준) 에 대한 표 - 분석주차, 분석건수, 분석률 (%), 주요 변이 , 알파형, 베타형, 델타형으로 구성
분석주차
|
분석
건수
|
분석률
(%)
|
주요 변이
|
알파형
|
베타형
|
델타형
|
건
|
검출률(%)
|
건
|
검출률(%)
|
건
|
검출률(%)
|
건
|
검출률(%)
|
6월4주
|
642
|
18.7
|
196
|
30.5
|
175
|
27.3
|
-
|
-
|
21
|
3.3
|
7월2주
|
2,124
|
23.3
|
1,000
|
47.1
|
281
|
13.2
|
-
|
-
|
719
|
33.9
|
7월3주
|
2,249
|
22.5
|
1,233
|
54.8
|
153
|
6.8
|
-
|
-
|
1,080
|
48.0
|
7월4주
|
2,765
|
26.2
|
1,869
|
67.6
|
168
|
6.1
|
-
|
-
|
1,701
|
61.5
|
8월1주
|
3,175
|
31.1
|
2,399
|
75.6
|
78
|
2.5
|
-
|
-
|
2,321
|
73.1
|
- 최근 1주 추가 확인된 변이바이러스는 2,641건으로, ‘20년 12월 이후 현재까지 확인된 변이바이러스는 총 10,766건*이다.
* 총 10,766건(+2,641): 알파형 3,129명(+84), 베타형 148명(+0), 감마형 22명(+2), 델타형 7,467명(+2,555)
- 이 중, 242건은 해외유입 사례, 2,399건은 국내감염 사례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에서 내려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0시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 ‘일일확진자’ > 다운로드(화살표선택) >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 시도별 발생동향 > 시도 선택 >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
<붙임>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2.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3.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현황
4. 18∼49세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일정 및 예약 안내
5. 18∼49세 사전예약 관련 Q&A
6. 알아두면 편리한 코로나19 백신 사전예약 꿀팁
7. 코로나19 예방접종 온라인 예약방법 안내(영문)
8. mRNA 백신 2차접종일 예약 관련 Q&A
9.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 및 Q&A
10. 코로나19 백신 관련 심근염 및 심낭염 안내문
11.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포스터
12.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한 안내
13. 검사소 및 진료소 폭염 관련 안내 [일반국민 및 의료인력] Q&A
14. 폭염대비 코로나19 예방수칙(마스크 착용 시, 에어컨 사용 시)
15. 여름철 올바른 환기 방법 안내
16.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방법 안내
17. 코로나19 유증상자 적극 검사 시행 포스터
18.「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코로나19 예방접종 국민행동수칙
2.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 홍보자료
3. 변경된 실내·외 마스크 착용 지침
4.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개편 관련 홍보자료(국‧영문)
5.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6.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7. 가족 감염 최소화를 위한 방역수칙
8. 가족 중 의심환자 발생 시 행동요령 점검표
9.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10.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11.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2.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13.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4. 올바른 소독방법 카드뉴스 1, 2, 3편
15.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내 및 주의사항(환경부)
16. 코로나19 예방 손 씻기 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