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49세 연령층 10부제 사전예약 실시 중(8.12., 정례브리핑)
- 8.12.(목) 18시까지 주민번호 생년월일 끝자리 ‘ 1 ’인 대상자 예약 실시 -
◆ 백신 도입 현황
○ 8월 13일(금), 개별 계약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02.8만 회분 공급 예정
◆ 18~49세 연령층 사전예약 현황
○ 8.18.(목) 18시까지 주민번호 생년월일 끝자리 ‘1’인 대상 예약, 20시부터는 끝자리 ‘2’인 대상자 예약 실시
○ 8.12.(목) 0시 기준으로 총 270만 여명이 예약하여 예약률 56.4% 달성
◆ 제7차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 총 746건을 심의하여 368건(49.3%)에 대해 보상 결정
○ 인과성 근거 불충분(④-1)으로 보상에서 제외된 중증 환자는 17명이며 이 중 지원을 신청한 4명에 대해서는 의료비 지원이 완료
◆ 코로나19 국외 발생동향 및 예방접종 현황
○ 전 세계 주간 발생 7주 연속 증가
- 미국, 이스라엘, 일본에서 발생 급증 양상
◆ 2020년 국내 주요 감염병 발생 현황
○ 코로나19을 제외하면 주요 감염병 발생 감소(2020 감염병 감시연보)
|
□ 8월 13일(금) 개별 계약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02.8만 회분이 안동공장에서 출고될 예정이다.
○ 이로써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458.3만 회분을 포함하여 8월 1일부터 8월 13일까지 1,001.6만 회분의 백신이 공급된다.
- 안정적인 백신 공급을 위해 지속적으로 제약사와 긴밀히 협의해 나갈 예정이며, 구체적인 공급 일정은 제약사와 협의 되는대로 신속하게 안내할 계획이다.
【 ’21년 백신 도입 현황 및 계획 (’21.8.12. 기준, 단위: 회분) 】
백신 종류
|
도입 확정
|
도입 완료
|
도입 예정
|
계
|
상반기
|
7.1~8.12
|
8.13~8.31
|
9월
|
4분기
|
계
|
1억 9,300만
|
3,669만
|
1,862만
|
1,807만
|
약 1,960만
(일부 협의중)
|
약 4,200만
|
약 9천만
|
아스트라제네카
|
2,000만
|
1,355.7만
|
881.4만
|
474.3만
|
약 960만
(8.13
AZ 102.8만)
|
|
|
화이자
|
6,600만
|
1,788.6만
|
700.2만
|
1,088.3만
|
|
모더나
|
4,000만
|
245.5만
|
11.2만
|
234.3만
|
915.8만
(협의중)
|
|
얀센
|
700만
|
111.4만
|
101.3만
|
10.1만
|
(협의중)
|
|
노바백스
|
4,000만
|
-
|
-
|
-
|
-
|
|
코백스
|
아스트라
제네카
|
2,000만
|
126.7만
|
126.7만
|
-
|
83.5만
|
|
화이자
|
41.4만
|
41.4만
|
-
|
-
|
|
|
|
|
|
제약사와 공급 일정 협의 중이거나 일정 공개 협의 중(노바백스 백신은 허가 일정 고려)
|
|
|
|
|
|
|
|
|
|
|
|
|
|
|
|
|
|
|
|
|
□ 추진단은 8월 12일(목) 18시까지는 주민등록번호 생년월일 끝자리가 ‘1’인 18-49세 연령층 예약이 마무리되고, 20시부터는 끝자리가 ‘2’인 분을 대상으로 사전예약이 실시된다고 밝혔다.
【18~49세 10부제 사전예약 일정】
예약기간
|
예약대상* (주민번호 생년월일 끝자리)
|
예약기간
|
예약대상* (주민번호 생년월일 끝자리)
|
8월 9일 20시~8월 10일 18시
|
9
|
8월 14일 20시~8월 15일 18시
|
4
|
8월 10일 20시~8월 11일 18시
|
0
|
8월 15일 20시~8월 16일 18시
|
5
|
8월 11일 20시~8월 12일 18시
|
1
|
8월 16일 20시~8월 17일 18시
|
6
|
8월 12일 20시~8월 13일 18시
|
2
|
8월 17일 20시~8월 18일 18시
|
7
|
8월 13일 20시~8월 14일 18시
|
3
|
8월 18일 20시~8월 19일 18시
|
8
|
* 예) 81년 7월 12일생인 사람 : 생일 끝자리 2 / 8월 12일 20시부터 8월 13일 18시까지 예약 가능
○ 8월 12일(목) 0시 기준 총 4,808,287명* 중 2,712,180명이 사전예약을 완료하여 예약률은 56.4%를 기록하였으며, 이 중 끝자리가 ‘1’인 분들은 오늘 저녁 6시까지 사전예약이 가능하다.
* 주민등록번호 생년월일 끝자리가 9, 0, 1인 사람
- 사전예약 첫 날인 8월 9일(월) 20시부터 10일(화) 18시까지는, 주민등록번호 생년월일 끝자리가 ‘9’인 분들부터 사전예약을 실시했으며 약 84만 명(예약률 59.4%)이 예약을 완료하였고,
- 8월 10일(화) 20시부터 11일(수) 18시까지는 끝자리가 ‘0’인 분들 중 총 약 101만 명(예약률 61.0%)이 예약을 마쳤다.
【18~49세 10부제 예약현황】
|
|
|
(명, %)
|
구분 (예약기간)
|
예약대상* (주민번호 생일 끝자리)
|
접종대상자(A)
|
접종예약자(B)
|
|
예약률(B/A)
|
18~49세 청장년층 전체 (8.9~)
|
15,764,481
|
2,712,180
|
17.2
|
|
8월 9일 20시~8월 10일 18시
|
9
|
1,413,083
|
839,582
|
59.4
|
|
8월 10일 20시~8월 11일 18시
|
0
|
1,654,773
|
1,009,662
|
61.0
|
|
8월 11일 20시~8월 12일 18시
|
1
|
1,740,431
|
862,936
|
49.6
|
※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 추진단은, 18~49세 연령층 사전예약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으며, 보다 원활한 예약을 위해 개통 직후를 피해 20시 30분부터 이용하면 빠르게 예약이 가능하다고 안내했다.
○ 또한, 예방접종은 코로나19를 예방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으로, 10부제 순서에 따라 본인의 사전예약 가능 기간에 예약을 완료하여 본인과 주변의 안전을 위해 예방접종에 꼭 참여해주시기를 당부 드린다고 전했다.
3. 제7차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결과
|
□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위원장: 김중곤)는 8월 10일 제7차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이하 “보상위원회”)를 열고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피해보상 신청된 사례 총 746건을 심의하였다.
* 임상의사, 법의학자, 감염병·면역학·미생물학 전문가, 변호사 및 시민단체가 추천한 전문가 등 15명 등으로 구성
○ 의무기록 및 역학조사 등을 바탕으로 기저질환 및 과거력·가족력, 접종 후 이상반응까지의 임상경과 등을 종합적으로 심의한 결과,
- 예방접종 후 발열, 두통, 근육통, 어지럼증, 알레르기 반응 등의 이상반응으로 치료를 받은 사례 등 총 368건(49.3%)에 대해 보상 결정하였고,
- 밀러 피셔 증후군*으로 추정된 1건에 대해서는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의 근거가 불명확한 경우(Unlikely-indeterminate, 현재까지 총 17건)로 평가하였다.
* 안구운동장애, 운동능력상실, 심부건반사 소실 등을 주 증상으로 하는 말초신경병증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기각 사례】
▵ (사례1) 예방접종과 이상반응과의 시간적 개연성이 떨어짐(접종 14일 후 발생한 두통, 6일 후 근육통, 10일 후 어지러움, 7일 후 두드러기 발생 등)
▵ (사례2) 백신보다는 기저 질환과 전신상태(폐렴, 간질환, 심부전, 심근경색, 뇌동맥류 파열로 인한 지주막하출혈 등)로 인하여 발생한 증상
▵ (사례3) 접종과의 인과성 평가 근거 불충분한 사례*(심의기준 ④-1, indeterminate)로 관련 근거가 축적되면 재평가 예정(밀러 피셔 증후군)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인과성 불충분한 중증 환자 의료비 지원사업’ 대상
|
○ 전체 예방접종 28,568,312건 중 이상반응으로 의심되어 신고된 사례는 총 133,037건이었고(8.11. 0시 기준), 이 중 의료기관을 방문할 정도의 이상반응으로서 피해보상을 신청하여 보상위원회에서 제7차까지 심의한 건수는 총 2,300건(1.7%)이었으며 이 중에서 1,351건(58.7%)이 보상 결정되었다.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심의 현황】
구분
|
심의건수1)
|
보상위원회 심의결과
|
보상구분2)
|
보상
|
기각
|
보류
|
계
|
진료비 및 간병비
|
장애인
일시보상금
|
사망일시보상금 및 장제비
|
누계
|
차수
|
2,300
|
1,351
|
949
|
-
|
1,351
|
1,351
|
-
|
-
|
8월(1)
|
제7차
|
746
|
368
|
378
|
-
|
368
|
368
|
-
|
-
|
7월(2)
|
제6차
|
551
|
256
|
287
|
8
|
256
|
256
|
-
|
-
|
7월(1)
|
제5차
|
300
|
202
|
98
|
-
|
202
|
202
|
-
|
-
|
6월(2)
|
제4차
|
291
|
172
|
117
|
2
|
172
|
172
|
-
|
-
|
6월(1)
|
제3차
|
223
|
183
|
40
|
-
|
183
|
183
|
-
|
-
|
5월
|
제2차
|
190
|
166
|
24
|
-
|
166
|
166
|
-
|
-
|
4월
|
제1차
|
9
|
4
|
5
|
-
|
4
|
4
|
-
|
-
|
1) 제4차 및 제6차 보상위원회에서 보류된 건은 이 후 보상위원회에서 심의 완료
2)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9조에 따른 보상의 종류로 구분
□ 한편 추진단은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인과성 근거가 불충분하여 보상에서 제외된 중증 환자에 대해서도 의료비 지원사업을 신설하여 1인당 1천만 원까지 진료비를 지원하고 있다.
〈 중증 환자 의료비 지원사업 〉
△ (지원대상)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중증 이상반응이 발생 하였으나, 피해조사반 또는 피해보상전문위원회 검토 결과 인과성 인정을 위한 근거자료가 불충분하여 피해보상에서 제외된 환자(심의기준, ④-1 해당 시에만 지원)」
* ④-1 판정기준 : 예방접종 후 발생한 이상반응이 접종 전에 이를 유발할 만한 기저질환, 유전질환 등이 불명확하고, 이상반응을 유발한 소요시간이 개연성은 있으나, 백신과 이상반응 인과성 인정 관련 문헌이 거의 없는 경우
* 중증 이상반응 : 사망, 중환자실 치료 또는 이에 준하는 치료, 장애 등 발생 경우
△ (지원내용)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발생한 질병의 진료비*로서 1인당 1,000만원 한도에서 지원하되, 기존의 기저질환 치료비 및 장제비는 제외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발생한 질환 관련 필수적인 비급여 포함하여 지원
* 실제 간병비가 발생한 경우에 한하여 1일당 5만원 범위에서 간병비 지원
|
○ 현재까지 의료비 지원대상으로 확정된 인원은 총 17명이며, 이 중 지원을 신청한 4명에 대해서는 의료비 지원이 완료되었다.
○ 다른 대상자 분들도 관할 시·군·구 보건소를 통해 지원신청 하는 대로 신속하게 지원해드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전 세계 코로나19 발생이 7주 연속 증가하였으며, 델타 변이 영향으로 미국, 이스라엘, 일본 등에서 발생이 크게 증가하고 있음을 밝혔다.
○ 최근 1주간(8.2.∼8.8.) 전 세계 신규환자는 437만 명(WHO 기준)으로 전주(412만 명) 대비 약 25만명이 증가하였고, 사망자는 약 2천명이 증가하였다.
* (30주) 확진 412만 명, 사망 6만 5천명 → (31주) 확진 437만 명(+6%), 사망 6만 7천명(+3%)
- 지역별로는 서태평양(+19%), 미주(+13%), 중동(9%), 유럽(+2%) 순으로 주간 발생이 증가하였고, 사망자의 경우 서태평양(+46%), 유럽(+30%), 중동(+12%) 순으로 증가한 상황이다.
- 미국은 확진자와 입원환자(8.7. 기준, 66,000명 이상) 발생이 6개월 만에 최대치를 보이며 미접종자가 많은 0~20세에서 뚜렷한 증가를 보였다.
* 주간 신규 0∼20세 확진자: 약 39,000명(7.15.∼7.22.) → 약 72,000명(7.22.∼7.29.)
* 미국: (31주) 확진 734,354명(+35.1%), 사망 3,391명(+38.1%)
- 이스라엘은 6월 초에 주간 발생 86명 수준에서 발생이 급증하여 지난 주간 24,768명이 확진되었으며, 최근 60세 이상 대상으로 부스터 접종(8.8. 기준, 42만명 접종)을 시작하였다.
* 이스라엘: (31주) 확진 24,768명(+60.3%), 사망 70명(+150%)
- 일본도 7주 연속 환자 발생이 급증하면서 도쿄올림픽 종료 이후 역대 최대 발생(8.7. 기준 일일 확진 15,590명)을 보이며 누적발생 1백만 명을 돌파하였다.
* 일본: (31주) 확진 90,958명(+51.2%), 사망 81명(+19.1%)
【주요 7개국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8.9. 0시 기준】
구분
|
누적 발생
|
인구100만 명당 누적발생
|
인구100만 명당
최근 7일간 발생
(8.2∼8.8)
|
예방접종률 (%)
|
확진자수
|
사망자수
|
확진자수
|
사망자수
|
확진자수
|
사망자수
|
1회이상
|
접종완료
|
미국
|
35,501,261
|
611,502
|
107,254
|
1,847
|
2,219
|
10.0
|
58.1
|
49.7
|
프랑스
|
6,135,106
|
111,076
|
94,329
|
1,708
|
2,194
|
4.0
|
65.1
|
49.4
|
영국
|
6,042,256
|
130,281
|
89,006
|
1,919
|
2,736
|
9.2
|
69.2
|
57.8
|
독일
|
3,790,766
|
91,782
|
45,580
|
1,104
|
235
|
1.5
|
61.9
|
54.1
|
이스라엘
|
901,187
|
6,542
|
104,117
|
756
|
2,853
|
6.4
|
67.1
|
62.3
|
일본
|
1,016,781
|
15,273
|
8,039
|
121
|
719
|
0.6
|
45.9
|
32.9
|
한국
|
210,956
|
2,121
|
4,115
|
41
|
218
|
0.4
|
40.8
|
15.1
|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2020년 국가감염병감시시스템(National Infectious Disease Surveillance System)을 통해 신고된 법정감염병 현황을 분석‧정리한 「2020 감염병 감시연보」 를 통해 지난해 코로나19 외 주요 감염병이 감소하였다고 밝혔다.
○ 2020년 법정감염병 신고 환자 수*는 145,966명(인구 10만 명당 282명)이며 2019년 159,496명(인구 10만 명당 308명) 대비 8.5% 감소하였으며
* 결핵, 후천성면역결핍증은 별도 통계 작성 및 공표하여 제외, 표본감시 감염병 제외
- 신종감염병증후군**(코로나19)을 제외(60,727명)하면 신고 환자 수는 85,239명(인구 10만 명당 165명)으로 전년 대비 46.6% 감소하였다.
- 특히, 제2급감염병 중 호흡기 전파 감염병 환자 수*가 64,062명으로 전년(131,442명) 대비 51.3% 감소하였으며, 이는 코로나19 유행에 따른 올바른 손씻기, 마스크 착용 등 개인위생 개선과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사람 간 접촉 빈도 감소, 해외여행 감소 등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 결핵, 수두, 홍역, 백일해,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b형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 페렴구균감염증, 성홍열
□ 해외유입 감염병 현황을 살펴보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0년 이후 매년 400~700명 내외로 신고 되고 있었으나, 2020년에는 5,495명이 신고 되어 2019년(755명) 대비 627.8% 증가하였다.
○ 그러나, 신종감염병증후군(코로나19)을 제외(5,379명)하면 신고 환자 수는 116명으로 전년 대비 84.6% 감소하였으며, 이는 코로나19 유행으로 국제선 여객수 급감*에 따른 결과로 판단된다.
* (2019) 90,385,640명 → (2020) 14,239,922명(△84.2%, 출처 통계청)
○ 2020년에 신고된 주요 해외유입 감염병은 주로 신종감염병증후군 (코로나19, 97.9%)이었고, 일부 뎅기열(0.8%), 말라리아(0.5%), 세균성이질(0.2%) 등이 있었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현재 코로나19를 포함하여 해외에서 발생하는 감염병의 국내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해외 감염병 모니터링 및 철저한 입국 검역 등 방역 대응을 지속해 나가고 있다면서,
○ 앞으로도 코로나19 대유행 상황을 조속히 통제하고, 모두가 일상을 회복하여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방역 대응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아울러, 마스크 착용‧자주 손 씻기 등은 코로나19뿐만 아니라 다른 감염병을 예방하는 매우 중요한 방역수칙이라고 강조하면서, 국민들께 개인위생수칙을 철저히 지켜주실 것도 함께 당부하였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에서 내려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0시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 ‘일일확진자’ > 다운로드(화살표선택) >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 시도별 발생동향 > 시도 선택 >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
<붙임>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2.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3. 코로나19 주요 집단 발생 양상 카드뉴스
4. 18∼49세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일정 및 예약 안내
5. 18∼49세 사전예약 관련 Q&A
6. 알아두면 편리한 코로나19 백신 사전예약 꿀팁
7. 코로나19 예방접종 온라인 예약방법 안내(영문)
8. mRNA 백신 2차접종일 예약 관련 Q&A
9.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 및 Q&A
10. 코로나19 백신 관련 심근염 및 심낭염 안내문
11.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포스터
12.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한 안내
13. 검사소 및 진료소 폭염 관련 안내 [일반국민 및 의료인력] Q&A
14. 폭염대비 코로나19 예방수칙(마스크 착용 시, 에어컨 사용 시)
15. 여름철 올바른 환기 방법 안내
16.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방법 안내
17. 코로나19 유증상자 적극 검사 시행 포스터
18.「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코로나19 예방접종 국민행동수칙
2.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 홍보자료
3. 변경된 실내·외 마스크 착용 지침
4.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개편 관련 홍보자료(국‧영문)
5.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6.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7. 가족 감염 최소화를 위한 방역수칙
8. 가족 중 의심환자 발생 시 행동요령 점검표
9.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10.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11.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2.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13.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4. 올바른 소독방법 카드뉴스 1, 2, 3편
15.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내 및 주의사항(환경부)
16. 코로나19 예방 손 씻기 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