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74세 고령층 2차 접종률 99.3%(8.16., 정례브리핑) ※ 1쪽 수치, 17쪽 항체양성률 수치 수정(15:58)
- 2차접종 예약 인원 대비 접종률 99.3%로 높은 참여율 보여 -
◆ 오늘부터 50~54세 예방접종 시작
○ 8.16.(월)부터 8.28.(토)까지 50~54세 연령층에 대한 예방접종 실시
◆ 60~74세 미접종자 예약 및 2차접종 현황
○ 1차접종 예약 153만여 명 중 35만여 명 예약(23.1%, 8.16일 기준)
○ 예약인원 1,035,780명 중 1,028,211명 2차 예방접종 완료(접종률 99.3%)
◆ 18~49세 예약현황
○ 8.16.(월) 18시까지 주민등록상 생일 끝자리 ‘5’인 대상 예약, 20시 부터는 끝자리 ‘6’인 대상으로 사전예약 실시
○ 8.16.(월) 0시 기준으로 사전 예약률은 60.2%, 10부제를 통해 하루씩 예약이 가능함에 따라 향후 예약률 높아질 전망
◆ 이상반응 신고현황 주간분석 결과
○ 이상반응 신고율은 0.45%로 접종초기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유지
◆ 지역사회 항체보유율 조사 결과
○ `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참여자 항체보유율 0.33%, 6월 군 입영장정 항체보유율 0.52%로 확인
|
1. 오늘부터 50〜54세 연령층 예방접종 시작
|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이하 “추진단”)은「코로나19 예방접종 8~9월 시행계획」(7.30.)에 따라 오늘부터 8월 28일(토)까지 50~54세 연령층에 대한 예방접종이 시작된다고 안내했다.
○ 이번 접종은 전국 위탁의료기관(약 13천개소) 및 예방접종센터(약 280개소)에서 사전예약한 일정에 따라 mRNA백신(화이자, 모더나 백신)으로 실시한다.
* (8.16∼22) 수도권지역 위탁의료기관 화이자 백신, 그 외 지역 위탁의료기관 모더나 백신 접종
□ 한편, 8월 넷째주(8.23~8.28)에 시행되는 50대 연령층 접종은 지역 구분 없이 화이자 백신으로 시행하며, 모더나 백신만 접종하는 위탁의료기관(726개소)의 경우에는 모더나 백신으로 접종하게 된다.
○ 8월 넷째주에 예방접종 사전예약을 완료하신 분들께는 접종일 전에 백신 종류 등을 문자로 개별 안내할 예정이다.
□ 추진단은 8월에 접종이 예정된 50대 연령층 대상자 분들께서는 예약한 일정에 맞춰 접종기관을 방문하여 예방접종을 받으실 것을 당부하였다.
2. 60~74세 미접종자 예약 및 2차접종 현황
|
□ 추진단은 60~74세 연령층 중 미접종자들을 대상으로 8월 2일(월)부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차접종 예약을 받고 있고, 아울러 1차접종을 실시했던 60~74세 고령층의 2차접종이 8월 12일(목)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 8월 2일(월)부터 시작된 1차 접종 예약은 8월 16일(월) 0시 기준으로 미접종자 153만여 명 중 35만여 명이 예약하여 23.1%의 예약률을 보이고 있으며, 8월 5일(목)부터 접종이 시작되어 25일(수)까지 진행된다.
○ 8월 12일(목)부터 15일(일)까지 나흘간 진행된 2차접종에서는 당초 예약된 인원 1,035,780명 중 1,028,211명이 접종하여 99.3%의 접종률을 보여, 1차접종한 60~74세 고령층의 경우 2차 접종률도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델타 바이러스 변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1차접종을 마친 모든 사람들이 2차접종을 완료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 특히 60대 이상 연령층은 코로나19 고위험군으로 예방접종을 통해 본인의 감염과 중증·사망 예방 효과는 물론, 가족에게 추가 전파를 차단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 60~74세 연령층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2차 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율은 0.05%로 1차 접종 후의 신고율(0.58%)보다 낮은 양상이다(8월 15일 0시 기준).
○ 이에, 60대 이상 고위험군은 2차 접종 후 이상반응 등에 대한 지나친 우려보다, 본인의 건강상태를 고려하시어 2차 접종 기간에 접종을 완료하실 것을 당부 드린다.
○ 아울러, 예약 이력이 없거나, 아직까지 접종을 받지 않으신 60세 이상 연령층 분들은 온라인 또는 전화예약 등으로 사전예약*을 하시거나, 예방접종센터에 전화 또는 방문**하여 접종받으시길 다시 한 번 더 당부 드린다.
* (60∼74세) 사전예약기간: 8.2∼8.18 / 접종기간ㆍ장소: 8.9.∼8.25.ㆍ위탁의료기관
** (75세 이상) 지속 시행
□ 추진단은 8월 16일(월) 18시까지는 생일 끝자리(주민등록상)가 ‘5’인 18-49세 연령층 예약이 마무리되고, 20시부터는 끝자리가 ‘6’인 분을 대상으로 사전예약이 실시된다고 밝혔다.
【18~49세 10부제 사전예약 일정】
예약기간
|
예약대상* (주민등록상
생일 끝자리)
|
예약기간
|
예약대상* (주민등록상
생일 끝자리)
|
8월 9일 20시~8월 10일 18시
|
9
|
8월 14일 20시~8월 15일 18시
|
4
|
8월 10일 20시~8월 11일 18시
|
0
|
8월 15일 20시~8월 16일 18시
|
5
|
8월 11일 20시~8월 12일 18시
|
1
|
8월 16일 20시~8월 17일 18시
|
6
|
8월 12일 20시~8월 13일 18시
|
2
|
8월 17일 20시~8월 18일 18시
|
7
|
8월 13일 20시~8월 14일 18시
|
3
|
8월 18일 20시~8월 19일 18시
|
8
|
* 예) 81년 7월 12일생인 사람 : 생일 끝자리 2 / 8월 12일 20시부터 8월 13일 18시까지 예약 가능
○ 8월 16일(월) 0시 기준 10부제 사전예약기간이 종료된 9,204,647명* 중 5,543,059명이 사전예약을 완료하여 예약률은 60.2%를 기록하였다.
* 생일 끝자리(주민등록상) 끝자리가 9, 0, 1, 2, 3, 4인 사람
【18~49세 10부제 예약현황】
|
|
|
(명, %)
|
구분 (예약기간)
|
예약대상* (주민등록상 생일 끝자리)
|
접종대상자(A)
|
접종예약자(B)
|
|
예약률(B/A)
|
18~49세 청장년층 전체 (8.9~)
|
15,486,092
|
6,393,765
|
41.3
|
|
예약기간 종료
|
9,204,647
|
5,543,059
|
60.2
|
|
8월 9일 20시~8월 10일 18시
|
9
|
1,408,173
|
834,722
|
59.3
|
|
8월 10일 20시~8월 11일 18시
|
0
|
1,648,443
|
1,003,022
|
60.8
|
|
8월 11일 20시~8월 12일 18시
|
1
|
1,736,568
|
1,053,742
|
60.7
|
|
8월 12일 20시~8월 13일 18시
|
2
|
1,489,344
|
910,656
|
61.1
|
|
8월 13일 20시~8월 14일 18시
|
3
|
1,511,076
|
905,404
|
59.9
|
|
8월 14일 20시~8월 15일 18시
|
4
|
1,411,043
|
835,513
|
59.2
|
※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 추진단은, “예방접종은 4차 유행을 극복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으로, 10부제 순서에 따라 예약대상자들께서는 서둘러 예약에 동참해 주시기를 부탁 드린다”고 당부했다.
○ 18~49세 연령층의 화이자 또는 모더나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율은 0.71% 수준이며,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날 수 있는 근육통, 두통, 어지러움 등이 97.5%로 대부분이었다(8.15일 0시 기준).
○ 이에,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한 지나친 우려보다, “본인과 주변의 안전을 위해 예약된 일정에 꼭 예방접종을 받으시도록 당부 드린다”고 전했다.
□ 8월 17일(화) 개별 계약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10만 회분이 안동공장에서 출고될 예정이다.
○ 이로써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568.3만 회분을 포함하여 8월 1일부터 8월 17일까지 1,151.6만 회분의 백신이 공급된다.
- 안정적인 백신 공급을 위해 지속적으로 제약사와 긴밀히 협의해 나갈 예정이며, 구체적인 공급 일정은 제약사와 협의 되는대로 신속하게 안내할 계획이다.
【 ’21년 백신 도입 현황 및 계획 (’21.8.16. 기준, 단위: 회분) 】
백신 종류
|
도입 확정
|
도입 완료
|
도입 예정
|
계
|
상반기
|
7.1~8.16
|
8.17~8.31
|
9월
|
4분기
|
계
|
1억 9,340만
|
3,812만
|
1,862만
|
1,950만
|
약 1,860만
(일부 협의중)
|
약 4,200만
|
약 9천만
|
아스트라제네카
|
2,000만
|
1,458.5만
|
881.4만
|
577.1만
|
약 860만
(8.17
AZ 110만)
|
|
|
화이자
|
6,600만
|
1,788.6만
|
700.2만
|
1,088.3만
|
|
모더나
|
4,000만
|
245.5만
|
11.2만
|
234.3만
|
915.8만
(협의중)
|
|
얀센
|
740만*
|
151.4만
|
101.3만
|
50.1만
|
(협의중)
|
|
노바백스
|
4,000만
|
-
|
-
|
-
|
-
|
|
코백스
|
아스트라
제네카
|
2,000만
|
126.7만
|
126.7만
|
-
|
83.5만
|
|
화이자
|
41.4만
|
41.4만
|
-
|
-
|
|
|
|
|
|
제약사와 공급 일정 협의 중이거나 일정 공개 협의 중(노바백스 백신은 허가 일정 고려)
|
|
|
|
|
|
|
|
|
|
|
|
|
|
|
|
|
|
|
|
|
*
|
개별 계약 600만 회분, 미국 공여 141.3만 회분(6.5일 101.3만 회분, 8.15일 40만 회분)
|
5. 이상반응 신고현황 주간 분석 결과 (24주차)
|
□ 추진단은 코로나19 예방접종 시작 이후 현재까지 신고된 이상반응 의심사례에 대한 주간(24주차, 8.15. 0시 기준)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 전체 예방접종 30,974,836건 중 이상반응은 140,345건(24주 신규 신고건수 12,132건)이 신고되어 신고율은 0.45%(1차 0.52%, 2차 0.29%)으로,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율(접종일 기준)은 접종 초기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는 추세이다.
- 신고 사례 중 근육통, 두통 등 일반 이상반응은 95.4%(133,851건), 중대한 이상반응은 4.6%(6,494건)이었으며, 백신별 신고율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0.61%, 화이자 백신 0.30%, 얀센 백신 0.67%, 모더나 백신 0.62%이였다.
[누적 예방접종건수 대비 이상반응 의심사례 신고율 그림 붙임 참조]
□ 추진단은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해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발생할 수 있는 이상반응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모든 접종 완료자는 예방접종 후 15~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러 이상반응 발생 여부를 관찰하고, 귀가 후에도 적어도 3시간 이상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하며, 접종 후 최소 3일간은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고, 고열이 있거나 평소와 다른 신체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의사 진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
- 특히, 중증 알레르기 반응(아나필락시스)이 나타나면 즉시 119로 연락하거나 가까운 응급실로 내원해야 한다.
○ 화이자, 모더나 백신 접종 후 다음과 같은 심근염/심낭염이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히 의료기관 진료를 받도록 당부했다.
【심근염 및 심낭염 의심증상】
◈ 예방접종 후 아래와 같은 증상이 새롭게 발생하거나 악화되어 지속되는 경우
① 가슴 통증, 압박감, 불편감
② 호흡곤란 또는 숨가쁨, 호흡시 통증
③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두근거림
④ 실신
|
○ 또한,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백신 접종 후 드물지만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또는 길랑-바레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어 다음과 같은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의심증상】
◈ 아데노바이러스벡터 코로나19 백신(아스트라제네카, 얀센) 접종 후 4일에서 4주 사이에 아래와 같은 증상이 있는 경우
① 심한 또는 2일 이상의 지속적인 두통이 발생하며, 진통제에 반응하지 않거나 조절되지 않는 경우 또는 구토를 동반하거나 시야가 흐려지는 경우
② 호흡곤란, 흉통, 지속적인 복부 통증, 팔·다리 부기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 경우
③ 접종부위가 아닌 곳에서 멍이나 출혈이 생긴 경우 등
|
【길랑-바레증후군 의심증상】
① 사물이 두 개로 보이거나 눈동자를 움직이기 어려운 경우
② 삼키기, 말하기, 씹기 어렵거나, 걷기 등 몸의 움직임을 조정하기 어려운 경우
③ 손과 발의 저린 감각 및 팔다리, 몸통, 얼굴의 약화
방광조절 및 장기능 장애
|
○ 아울러,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의심 환자를 진료한 의료기관은 심근염, 심낭염,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길랑-바레증후군 등 신속한 진단·치료 및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를 철저히 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6. 예방접종 피해조사반 사례평가 결과 분석 (8.8.~8.13.)
|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조사반 평가결과(8.13. 기준)>
구분*
|
심의건수
|
평가결과
|
인정
|
불명확
|
불인정
|
보류
|
합계
|
1,735
|
195
|
24
|
1,505
|
11
|
사망
|
510
|
21)
|
2
|
498
|
8
|
중증
|
708
|
52)
|
22
|
678
|
3
|
아나필락시스
|
517
|
188
|
0
|
329
|
0
|
(중증아나필락시스)
|
(14)
|
(11)
|
-
|
(3)
|
-
|
*피해조사반 평가 시점 기준으로 분류
1) 혈소판감소성혈전증 1례(아스트라제네카), 급성심근염 1례(화이자)
2) 혈소판감소성혈전증 2례(아스트라제네카), 뇌정맥동혈전증 1례(아스트라제네카), 발열 후 경련으로 인한 혈압저하 1례(아스트라제네카), 급성심낭염 1례(화이자)
|
□ 예방접종피해조사반(반장 김중곤 교수)은 현재까지 총 26차례 회의를 개최하여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발생한 이상반응 신고사례에 대한 인과성을 심의하였다.
○ 신고사례 총 1,735건(사망 510건, 중증 708건, 아나필락시스 517건) 중 195건(사망 2건, 중증 5건, 아나필락시스 188건)이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이 인정되었고, 24건(사망 2건, 중증 22건)은 근거가 불명확한 사례*로 평가되었다.
* 근거가 불분명한 사례의 경우 향후 근거가 확보되는 시점에서 재평가할 예정이며, 1천만원 이내의 중증 이상반응 의료비를 지원하고 있음
□ 예방접종피해조사반 제26차 회의(8.13.)에서는 신규 108건 및 재심의 5건을 포함하여 총 113건(사망 22건, 중증 49건, 아나필락시스 42건)을 심의하였다.
○ 아나필락시스 22건에 대해 인과성이 인정되었고, 중증 8건(심근염 5건, 길랑바레증후군 3건)은 근거가 불명확한 사례로 평가되었다.
○ 그 외 사망 및 중증 60건, 아나필락시스 20건에 대해서는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이 인정되지 않았고, 사망 2건과 중증 1건은 재평가하기로 하였다.
□ 예방접종피해조사반 제26차 회의(8.13.)에 제출된 신규 사망 및 중증 이상반응 사례를 분석한 결과,
○ 신규 사망 신고사례 20건의 평균 연령은 73.8세(범위 30~96세)였고, 이 중 14건(70%)에서 기저질환*이 있었으며, 접종한 백신은 화이자(12건)와 아스트라제네카(8건)였다.
* 고혈압, 당뇨, 신부전, 치매 등
○ 신규 중증 신고사례 46건의 평균 연령은 66.1세(범위 18-94세)였고, 이 중 40명(86.9%)에서 기저질환이 있었으며, 접종 후부터 증상 발생까지 평균 소요기간은 9.2일(범위 8시간∼38일), 접종한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21건), 화이자(21건), 교차접종(1건), 얀센(2건), 모더나(1건)이었다.
□최근 1주간(’21.8.8∼8.14.) 코로나19 국내 발생 신규환자는 일평균 1,780.3명(국내 발생 12,462명)으로 전주(일평균 1,495.4명) 대비 19% 증가하였다.
○ 수도권은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 등으로 발생 정체를 보이다, 휴가 등의 영향으로 최근 1주간 일평균 1,077.1명(전체 환자 수 7,540명)을 기록하며 전주(일평균 936.6명) 대비 15% 증가하였다.
○ 비수도권도 최근 1주간 일평균 703.1명(전체 환자 수 4,922명) 발생하여 전주(일평균 558.8명) 대비 25.8%가 증가하였다.
○ 주간 감염재생산지수(Rt)는 전국 1.10로 전주(0.99) 대비 증가하였고, 수도권은 1.07, 비수도권은 1.16이었다.
* 전국 Rt : 1.09(7월3주) → 1.04(7월4주) → 0.99(8월1주) → 1.10(8월2주)
○ (위중증·사망) 주간 평균 위중증 환자 규모는 377명, 사망자는 32명으로 환자 수가 늘어남에 따라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40∼50대 연령층에서 위중증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 주별 평균 위중증 환자 규모 :(7월4주) 280명→(8월1주) 347명→(8월2주) 377명
* 주간 사망 환자 수 : (7월4주) 27명→(8월1주) 21명→(8월2주) 32명
* 즉시가용 중환자실 :(7월4주) 360개→(8월1주) 312개→(8월2주) 287개
<최근 5주간 재원 중인 연령군별 위중증 환자수 및 사망자수 그림 붙임 참조>
○ (해외유입) 해외유입 사례는 일 평균 60명(총 423명)으로 전주와 유사한 (59.9명→60.4명) 수준이다.
< 최근 한달 간 주간 위험도 평가지표 >
구 분
|
7월 3주
(7.18.~7.24.)
|
7월 4주
(7.25.~7.31.)
|
8월 1주
(8.1.~8.7.)
|
8월 2주
(8.8.~8.14.)
|
일일 평균
확진환자 수(명)
|
국내발생
|
1,464.9
|
1,505.7
|
1,495.4
|
1,780.3(+19.0%)
|
|
수도권
|
966.3
|
959.6
|
936.6
|
1,077.1(+15.0%)
|
비수도권
|
498.6
|
546.1
|
558.8
|
703.1(+25.8%)
|
해외유입
|
87.0
|
63.4
|
59.9
|
60.4
|
전 체
|
1,551.9
|
1,569.1
|
1,555.3
|
1,840.7
|
감염경로 조사중 분율(%)(건)
|
국내발생
|
28.3
(2,907/10,254)
|
25.8
(2,720/10,540)
|
25.5
(2,669/10,468)
|
32.6
(4,060/12,462)
|
방역망 내 관리 분율(%)
|
국내발생
|
40.3
|
42.0
|
41.0
|
37.4
|
감염재생산지수(Rt)
|
1.09
|
1.04
|
0.99
|
1.10
|
신규 집단발생 건수(건)
|
99(▲4)
|
90(▲10)
|
109(▲79)
|
102*
|
주별 평균 위중증 환자 규모(명)
|
213
|
280
|
347
|
377
|
주간 사망 환자 수(명)
|
13
|
27
|
21
|
32
|
즉시 가용 중환자실(개)
|
450
|
360
|
312
|
287
|
* 역학조사 진행 중으로 이후 증가할 수 있음
< 전국/수도권/비수도권(’20.11.29.~’21.8.14.) 주간 일일평균 확진자수 및 위중증, 사망자수 그림 붙임 참조>
○ (연령군)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률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20대 연령군에서 인구 10만 명당 6.1명(전주 4.7명), 30대 연령군에서 인구 10만 명당 4.3명(전주 3.3명)으로 계속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고, 60대 이상 연령군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 전국 연령별 발생률(8.14. 0시 기준) >
구분
|
계
|
0-9세
|
10-19세
|
20-29세
|
30-39세
|
40-49세
|
50-59세
|
60-69세
|
70-79세
|
80세이상
|
7월 3주
(7.18.~7.24.)
|
환자수
|
10,254
|
742
|
1,092
|
2,328
|
1,641
|
1,779
|
1,745
|
657
|
201
|
69
|
일평균발생률
|
2.8
|
2.7
|
3.3
|
4.9
|
3.4
|
3.1
|
2.9
|
1.4
|
0.8
|
0.5
|
7월 4주
(7.25.~7.31.)
|
환자수
|
10,540
|
695
|
1,234
|
2,274
|
1,660
|
1,828
|
1,742
|
787
|
231
|
89
|
일평균발생률
|
2.9
|
2.5
|
3.7
|
4.8
|
3.5
|
3.1
|
2.9
|
1.7
|
0.9
|
0.6
|
8월 1주
(8.1.~8.7.)
|
환자수
|
10,468
|
706
|
1,177
|
2,245
|
1,589
|
1,698
|
1,781
|
862
|
287
|
123
|
일평균발생률
|
2.9
|
2.5
|
3.5
|
4.7
|
3.3
|
2.9
|
2.9
|
1.8
|
1.1
|
0.9
|
8월 2주
(8.8.~8.14.)
|
환자수
|
12,462
|
776
|
1,359
|
2,895
|
2,066
|
1,875
|
1,992
|
1,021
|
311
|
167
|
일평균발생률
|
3.4
|
2.8
|
4.1
|
6.1
|
4.3
|
3.2
|
3.3
|
2.2
|
1.2
|
1.2
|
*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 = (확진자수)/(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20.12월 기준) × 100,000(명)
○ (감염경로) 가족·지인·직장 등 개인 간 접촉감염으로 인한 ‘확진자 접촉’ 비중은 지속적으로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8월 2주 49.8%, 총 6,419명), 조사 중 비율(31.5%)도 증가하였다.
* 확진자 접촉 비중 :(7월3주) 41.4%(4,493명) → (8월1주) 47.7%(5,189명)→ (8월2주) 49.8%(6,419명)
< 최근 4주간 감염경로*(’21.7.18.~8.14.)>
구 분
|
7월 3주
(7.18.~7.24.)
|
7월 4주
(7.25.~7.31.)
|
8월 1주
(8.1.~8.7.)
|
8월 2주
(8.8.~8.14.)
|
전체
|
10,863명
|
(100%)
|
10,984명
|
(100%)
|
10,887명
|
(100%)
|
12,885명
|
(100%)
|
확진자 접촉
|
4,493명
|
(41.4%)
|
4,980명
|
(45.3%)
|
5,189명
|
(47.7%)
|
6,419명
|
(49.8%)
|
지역 집단발생
|
2,783명
|
(25.6%)
|
2,723명
|
(24.8%)
|
2,472명
|
(22.7%)
|
1,877명
|
(14.6%)
|
병원 및 요양시설 등
|
67명
|
(0.6%)
|
111명
|
(1.0%)
|
127명
|
(1.2%)
|
103명
|
(0.8%)
|
해외유입
|
609명
|
(5.6%)
|
444명
|
(4.0%)
|
419명
|
(3.8%)
|
423명
|
(3.3%)
|
해외유입 관련
|
4명
|
(0.0%)
|
6명
|
(0.1%)
|
11명
|
(0.1%)
|
3명
|
(0.0%)
|
조사중(미분류)
|
2,907명
|
(26.8%)
|
2,720명
|
(24.8%)
|
2,669명
|
(24.5%)
|
4,060명
|
(31.5%)
|
수도권 지역
조사중(미분류)
|
2,163명
|
(24.8%)
|
2,019명
|
(23.1%)
|
1,906명
|
(21.8%)
|
2,647명
|
(30.3%)
|
* 역학조사 진행에 따라 감염경로는 재분류 될 수 있음
○ (집단감염) 신규 집단감염은 총 102건으로 다중이용시설(음식점, 체육시설, 목욕탕, 유흥주점 등) 32건, 사업장(직장 등) 30건, 가족/지인모임 20건, 교육시설(학원, 학교) 9건, 종교시설 5건, 의료기관/ 주간보호센터 4건, 공공기관 1건, 기타 1건이 발생하였다.
○ (위중증·사망자 접종현황) ’21년 5월∼8.2일 확진자 총 78,992명 중 미접종자는 92.2%(72,845명), 1차 접종자는 6.1%(4,790명), 2차 접종완료자는 1.7%(1,357명)이었다.
- 위중증 및 사망자는 1,742명(2.2%)이었으며, 접종 현황은 미접종자 89.8%(1,565명/1,742명), 1차 접종자 9.1%(159명), 2차 접종완료자 1.0%(18명)이었다.
- 60세 미만에서는 미접종자 98.3%(891명/906명), 1차 접종자 1.3%(12명), 2차 접종완료자 0.3%(3명)이였으며, 60세 이상에서는 미접종자 80.6%(674명/836명), 1차 접종자는 17.6%(147명), 2차 접종완료자는 1.8%(15명)이었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델타형 변이의 우세변이화로 코로나19 유행상황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확산세 억제를 위해 예방접종을 목표대로 차질 없이 시행하는 한편, 고강도 방역 대책을 병행할 계획이다.
-▲거리두기 이행력을 높이기 위한 현장점검 강화 및 위반 시 무관용 처분, ▲무증상·경증 조기 발견을 위한 선제적 검사 강화, ▲광범위한 접촉자 범위 설정·밀접접촉자 추적관리 강화, ▲요양병원·시설 출입자 관리 강화, ▲고위험사업장·다중이용시설·종교시설 등의 현장점검을 강화할 예정이다.
○ 정부는 여전히 마스크 착용, 손 씻기, 환기 자주하기, 3밀 환경 개선 등 방역수칙 준수는 델타 변이바이러스 감염예방에 효과적이며, 예방접종도 여전히 감염 및 위중증 사망 예방에 큰 효과를 보인다고 밝혔다.
- 따라서, 국민들은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마스크 착용 및 손 씻기, ▲1시간마다 10분 이상 환기, ▲지역 간 이동‧모임‧외출 등 최대한 자제, ▲불요불급한 약속 및 집단행사 취소 등 기본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켜주시고,
- 조금이라도 의심 증상이 있으면 즉시 검사받고, 적극적으로 예방접종에 참여해주실 것을 거듭 강조하였다.
8. 지역사회 코로나19 항체보유율 조사 결과
|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전국단위 코로나19 항체보유율 확인을 `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참여자 2차 및 6월 군 입영 장정에 대한 항체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 이번 조사는 `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이하 국건영) 참여자 1,200명 및 육군 훈련소 6월 입영 장정 3,47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 항체 생성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 결과, `21년 국건영 참여자 1,200명 중 4명*(0.33%, 기확진 1), 육군 훈련소 입영 장정 3,473명 중 18명**(0.52%, 기확진 12)의 항체양성자를 확인하였다.
* 서울 1명(확진), 경기 2명, 인천 1명
** 경기 6명(확진 4), 대구 3명(확진 1), 인천 2명(확진 1), 서울 1명(확진 1), 광주 1명(확진 1), 충남 1명(확진 1), 세종 1명(확진 1), 울산 1명(확진 1), 경북 1명(확진 1), 제주 1명
【코로나19 항체조사 결과】
구분
|
’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참여자
|
군 입영 장정
|
검체 수집 기간
|
’21.5.11.
~’21.7.16.
|
’21.1.20.
~’21.4.30.
|
’20.4.
~’20.12.
|
’21.6.14.
~’21.6.28.
|
’21.5.17.
~’21.5.31.
|
’21.1.11.
~’21.2.22.
|
’20.9.17
~’20.12.31
|
조사 규모
|
1,200
(충남, 울산, 전남, 전북 제외)
|
2,248
(제주 제외)
|
5,284
|
3,473
|
3,239
|
6,961
|
13,246
|
항체양성자
총건(%)
|
4 (0.33)
|
6 (0.27)
|
5 (0.09)
|
18 (0.52)
|
8 (0.25)
|
13 (0.19)
|
39 (0.29)
|
항체양성자중
기확진자(%)
|
1 (0.05)
|
2 (0.09)
|
3 (0.06)
|
12 (0.35)
|
4 (0.12)
|
8 (0.11)
|
18 (0.14)
|
지역사회 미진단
항체양성자(%)
|
3 (0.25)
|
4 (0.18)
|
2 (0.04)
|
6 (0.17)
|
4 (0.12)
|
5 (0.07)
|
21 (0.16)
|
○ 코로나19 항체 조사 결과, 자연 감염에 의한 항체양성률은 2021년 국건영 참여자 2차 조사에서 0.33%, ’21년 6월 군 입영 장정 조사에서 0.52%로 확인되었다.
- 이는 旣 조사된 ’21년 국건영 1차 항체양성률 0.27% 및 5월 군 입영 장정 항체양성률 0.25%보다 소폭 증가하였으나 큰 변화는 없었다.
- 전문가 자문 결과, 국내는 아직 항체보유율이 낮고, 여전히 일반주민에서 미진단 항체양성자(국건영 0.25%, 군 입영 장정 0.17%)가 확인됨에 따라,
- 적극적인 예방접종으로 집단면역을 형성하고, 방역수칙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고 하였다.
○ 아울러, 수도권 등 유행지역의 일반주민 1만 5천명에 대한 항체 조사도 추가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에서 내려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0시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 ‘일일확진자’ > 다운로드(화살표선택) >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 시도별 발생동향 > 시도 선택 >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
<붙임>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2.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3. 코로나19 주간 발생 현황
4.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주간 분석 결과(24주차)
5.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조사반 사례평가 결과
6. 18∼49세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일정 및 예약 안내
7. 18∼49세 사전예약 관련 Q&A
8. 알아두면 편리한 코로나19 백신 사전예약 꿀팁
9. 코로나19 예방접종 온라인 예약방법 안내(영문)
10.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 및 Q&A
11. 코로나19 백신 관련 심근염 및 심낭염 안내문
12.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포스터
13.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한 안내
14. 검사소 및 진료소 폭염 관련 안내 [일반국민 및 의료인력] Q&A
15. 폭염대비 코로나19 예방수칙(마스크 착용 시, 에어컨 사용 시)
16. 여름철 올바른 환기 방법 안내
17.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방법 안내
18. 코로나19 유증상자 적극 검사 시행 포스터
19.「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코로나19 예방접종 국민행동수칙
2.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 홍보자료
3. 변경된 실내·외 마스크 착용 지침
4.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개편 관련 홍보자료(국‧영문)
5.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6.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7. 가족 감염 최소화를 위한 방역수칙
8. 가족 중 의심환자 발생 시 행동요령 점검표
9.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10.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11.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2.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13.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4. 올바른 소독방법 카드뉴스 1, 2, 3편
15.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내 및 주의사항(환경부)
16. 코로나19 예방 손 씻기 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