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49세 10부제 예약 659만 명 예약 완료(8.17., 정례브리핑) ※ 12쪽 구분 순서 수정(17:00)
- 10부제 사전예약 대상자들은 순서에 따라 예약을 해주시기를 당부 -
◆ 지자체 자율접종(3회차) 접종 시작
○ 지역 예방접종센터에서 화이자 백신으로 8.17.(화)부터 9.11.(토)까지 접종
○ 8.17. 0시 기준 약 137만 명 사전예약 완료
◆ 18~49세 예약 현황
○ 8.17.(월) 0시 기준으로 659만 명이 예약 완료(예약률 60.3%)
○ 10부제 예약이 종료된 이후에도 9.18(토) 18시까지 추가 예약이 가능하므로 예약률은 더 높아질 전망
◆ 백신 도입 현황
○ 오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10만 회분 출고 완료(8.17), 내일 화이자 백신 160.1만 회분 도입 및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03.6만 회분 출고 예정(8.18)
○ 8월 1일부터 8월 18일까지 총 1,415.3만 회분의 백신 도입 완료
|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추진단(단장: 정은경, 이하 “추진단”)은 오늘부터 지자체 자율접종 3회차 접종이 시작된다고 밝혔다.
○ 지자체 자율접종*은 방역상황 등을 고려하여 지자체에서 접종 대상자를 선정하였으며, 자율접종 1·2회차에 약 99만 명을 대상으로 예방접종을 추진하였다.
* 1회차 34만 명(7.13~7.31.), 2회차 65만 명(7.26.~8.14.), 3회차 200만 명(8.17.~9.11.)
○ 누리집, 1339 콜센터 등을 통해 예약을 완료한 지자체 자율접종 3회차 대상자는 약 137만 명이며(8.17. 0시 기준), 지역 예방접종센터에서 화이자 백신으로 8월 17일(화)부터 9월 11일(토) 까지 접종받으실 수 있다.
□ 추진단은 8월 17일(화) 18시까지는 생일 끝자리(주민등록상)가 ‘6’인 18-49세 연령층 예약이 마무리되고, 20시부터는 끝자리가 ‘7’인 분을 대상으로 사전예약이 실시된다고 밝혔다.
【18~49세 10부제 사전예약 일정】
예약기간
|
예약대상* (주민등록상
생일 끝자리)
|
예약기간
|
예약대상* (주민등록상
생일 끝자리)
|
8월 9일 20시~8월 10일 18시
|
9
|
8월 14일 20시~8월 15일 18시
|
4
|
8월 10일 20시~8월 11일 18시
|
0
|
8월 15일 20시~8월 16일 18시
|
5
|
8월 11일 20시~8월 12일 18시
|
1
|
8월 16일 20시~8월 17일 18시
|
6
|
8월 12일 20시~8월 13일 18시
|
2
|
8월 17일 20시~8월 18일 18시
|
7
|
8월 13일 20시~8월 14일 18시
|
3
|
8월 18일 20시~8월 19일 18시
|
8
|
* 예) 81년 7월 12일생인 사람 : 생일 끝자리 2 / 8월 12일 20시부터 8월 13일 18시까지 예약 가능
○ 8월 17일(월) 0시 기준 10부제 사전예약기간이 종료된 약 1,093만 명* 중 659만 명이 예약을 완료하여 예약률은 60.3%를 기록하였다.
* 생일 끝자리(주민등록상) 끝자리가 9, 0, 1, 2, 3, 4, 5인 사람
○ 18~49세 연령층 인구 전체 2,241만 명 중, 그동안 잔여 백신, 얀센 백신, 사회필수요원 등으로 이미 접종을 받으신 분들은 671만 명으로, 접종률은 약 30%다.
- 이는, 40대 이하 연령층 전체 인구의 접종 의향은 이미 접종을 완료하신 분들에, 이번 10부제 기간 중 사전예약을 하신 분들을 더한 추계 값으로 미루어볼 때 약 71%이며,
- 향후 10부제 예약이 종료된 이후에도 9월 18일(토) 18시까지 추가 예약이 가능하므로, 예약률은 더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
【18~49세 10부제 예약현황】
|
|
|
(명, %)
|
구분 (예약기간)
|
예약대상* (주민등록상 생일 끝자리)
|
접종대상자(A)
|
접종예약자(B)
|
|
예약률(B/A)
|
18~49세 청장년층 전체 (8.9~)
|
15,438,541
|
7,327,262
|
47.5
|
|
예약기간 종료
|
10,934,181
|
6,589,776
|
60.3
|
|
8월 9일 20시~8월 10일 18시
|
9
|
1,404,627
|
831,002
|
59.2
|
|
8월 10일 20시~8월 11일 18시
|
0
|
1,644,060
|
998,459
|
60.7
|
|
8월 11일 20시~8월 12일 18시
|
1
|
1,731,396
|
1,048,285
|
60.5
|
|
8월 12일 20시~8월 13일 18시
|
2
|
1,485,141
|
906,320
|
61.0
|
|
8월 13일 20시~8월 14일 18시
|
3
|
1,506,505
|
900,949
|
59.8
|
|
8월 14일 20시~8월 15일 18시
|
4
|
1,407,125
|
831,412
|
59.1
|
|
8월 15일 20시~8월 16일 18시
|
5
|
1,755,327
|
1,073,349
|
61.1
|
※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 추진단은, “예방접종은 코로나19를 극복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으로, 남은 10부제 순서에 따라 예약 대상자들께서는 예약 시기에 맞추어 예약해 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 또한,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한 지나친 우려보다, “본인과 주변의 안전을 위해 예약된 일정에 꼭 예방접종을 받으시도록 당부 드린다”고 전했다.
□ 오늘(8.17.), 개별 계약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10만 회분이 안동공장에서 출고 되었다.
○ 8월 18일(수)에는 개별 계약된 화이자 백신 160.1만 회분이 인천공항에 도착 예정이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03.6만 회분은 안동공장에서 출고 예정이다.
○ 이로써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671.9만 회분, 화이자 백신 573.1만 회분을 포함하여 8월 1일부터 8월 18일까지 1,415.3만 회분의 백신이 공급된다.
○ 안정적인 백신 공급을 위해 지속적으로 제약사와 긴밀히 협의해 나갈 예정이며, 구체적인 공급 일정은 제약사와 협의 되는대로 신속하게 안내할 계획이다.
4. 요양병원/요양시설 집단사례 역학조사 결과
|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최근 요양병원/요양시설에서 집단사례가 발생에 따라 발생 특성과 위험요인을 분석하여 결과를 발표하였다.
○ 7월 말 이후 요양시설 집단발생 사례 9건(요양병원 4, 요양원 3, 주간보호센터 2)이며, 이 중 7건에 대해 예방접종률, 발병률, 돌파감염률, 중증도를 분석하였다.
- 7개 시설 입소자와 종사자 중 83.0%(724명/872명)가 접종완료하였고, 5개 시설은 아스트라제네카(90% 이상), 2개 시설은 화이자(100%) 백신을 접종하였다.
- 8.16. 기준 평균 발생률은 18.2%(5.7%∼68.9%, 159명)였고, 입소자 평균 24.4%(7.3∼82.4%), 종사자 평균 7.2%(1.9∼50%)이었다.
- 접종완료자 중 돌파감염률은 평균 18.5%(134명, 5.2~60%)였고, 입소자에서 평균 25.4%(7.3∼42.1%), 종사자에서 평균 7.7%(1.7∼50%)이었다.
- 확진자(159명) 중 위중증률은 4.4%(7명*)였고, 치명률은 1.8%(3명)로 확인되었다.
* 접종완료자 3%(4명/134명), 미접종자(불완전접종 포함) 12.0%(3명/24명)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번 조사를 통해 예방접종 완료자의 위중증 비율이 미접종자 및 접종미완료자에 비해 1/4 수준으로 이는 요양병원과 시설에서 백신을 통한 중증 예방효과가 75%에 이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 또한 과거 요양병원/요양시설 유행사례를 비교하여 볼 때 예방접종률인 높아진 최근 사례들은 치명률이 낮아지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 2020년 3월 경기도 요양원 유행 : 치명률 32.0%, 2020년 12월 울산 요양병원 유행 : 치명률 14.0%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최근 요양시설 집단발생의 경우 완전접종률 80% 이상인 집단임에도 ① 델타변이, ② 고령의 기저질환자, ③ 3밀 환경에서 장기간 지속 노출 등으로 인해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평가하면서,
○ 요양기관은 다른 장소보다 돌파감염의 위험이 높고 돌파감염자에 의한 추가 전파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예방접종력과 관계없이 의심증상시 즉시 검사, △신규 입소자·종사자 대상 신속한 백신접종 완료를 지속적으로 시행할 것이며, △출입자 관리 강화 및 마스크 착용, 개인위생, 환기 등 방역수칙 준수가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현재까지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의 발생상황은 다음과 같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변이바이러스 감시 강화를 위해 분석을 지속 확대하고 있으며, 최근 1주일간 변이바이러스 분석률*은27.5%(국내 26.8%, 해외 50.5%)이다.
* 분석률 = 기간 내 변이바이러스 분석건수 / 기간 내 확진자수
- 최근 1주 국내감염 사례의 주요 변이바이러스 검출률은 86.9%로 전주 대비 11.3% 증가하였고, 델타형 변이*의 검출률은 85.3%로 전주대비 12.2% 증가하였다.(8.14. 0시 기준)
* (델타변이) 국내 73.1%(8월1주) → 85.3%(8월2주)
해외유입 94.7%(8월1주) → 96.1%(8월2주)
【 국내감염 주요 변이바이러스 분석률 및 검출률(8.14. 기준) 】
분석주차
|
분석
건수
|
분석률
(%)
|
주요 변이
|
알파형
|
베타형
|
델타형
|
건
|
검출률(%)
|
건
|
검출률(%)
|
건
|
검출률(%)
|
건
|
검출률(%)
|
6월4주
|
642
|
18.7
|
196
|
30.5
|
175
|
27.3
|
-
|
-
|
21
|
3.3
|
7월3주
|
2,249
|
22.5
|
1,233
|
54.8
|
153
|
6.8
|
-
|
-
|
1,080
|
48.0
|
7월4주
|
2,765
|
26.2
|
1,869
|
67.6
|
168
|
6.1
|
-
|
-
|
1,701
|
61.5
|
8월1주
|
3,175
|
31.1
|
2,399
|
75.6
|
78
|
2.5
|
-
|
-
|
2,321
|
73.1
|
8월2주
|
3,235
|
26.8
|
2,812
|
86.9
|
53
|
1.6
|
-
|
-
|
2,759
|
85.3
|
- 추가 확인된 변이바이러스는 3,014건으로, ‘20년 12월 이후 현재까지 확인된 변이바이러스는 총 13,780건*이다.
* 총 13,780건(+3,014): 알파형 3,188명(+59), 베타형 149명(+1), 감마형 22명(+0), 델타형 10,421명(+2,954)
* AY.1계통의 델타형 변이(델타플러스) 1건 확인(필리핀發), 현재까지 델타플러스 총 3건
- 이 중, 202건은 해외유입 사례, 2,812건은 국내감염 사례이었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백신의 효과 평가 목적으로 실시 중인 백신 접종 후 ‘돌파감염 추정’ 사례 현황을 다음과 같이 밝혔다.
○ 국내 코로나19 백신접종이 시작된 ’21년 2월 26일부터 8월 12일 까지 확진자는 총 12만 9,683명이었고, 이중 백신 미접종자는 91.1%(118,099명), 불완전접종자*는 7.3%(9,473명), 완전접종자**는 1.6%(2,111명)였다.
* 불완전접종자: 1차 접종자 또는 권장횟수 접종 후 14일이 경과하지 않은 접종자
** 완전접종자: 백신별 권장횟수 접종완료 후 14일 이상 경과한 접종자
○ 누적 돌파감염 추정사례는 국내 접종완료자 708만 356명 중 0.030%(29.8명/10만 접종자)에 해당하는 2,111명으로(8월 12일 기준),
- (연령대별) 30대가 0.066%(66.1명/10만 접종자)로 발생률이 가장 높았고, 연령대가 증가함에 따라 돌파감염 발생률은 감소하였다.
* 젊은 연령대의 경우 활동량이 상대적으로 많고, 접종률이 상대적으로 낮아 감염 기회가 많았을 것으로 추정
- (백신종류별) 얀센 백신 접종자 중 발생률은 0.082%(82.0명/10만 접종자), 아스트라제네카는 0.046%(46.0명/10만 접종자), 화이자는 0.015%(15.4명/10만 접종자) 순 이었으며, 교차접종자* 중 발생률은 0.008%(8명/10만 접종자)이었다.
* 교차접종자: 1차 접종과 2차 접종에 서로 다른 종류의 백신을 접종한 대상자
< 백신종류별/연령대별 10만 접종자당 돌파감염발생률 그림 붙임 참조>
- (중증도) 위중증 사례는 19명*(돌파감염자의 0.9%), 사망은 2명**(돌파감염자의 0.09%)이었다.
* (연령별) 30대 1명, 40대 1명, 50대 1명, 60대 2명, 70대 4명, 80대 이상 10명
** (사망자) 80대, 화이자, 7.6. 확진(델타변이) → 7.26. 사망
90대, 아스트라제네카, 7.29. 확진 → 7.29. 사망
- (변이분석결과) 변이바이러스 분석을 완료한 돌파감염 추정사례 555명 중 70.2%(390명)에서 주요변이(델타형 363명, 알파형 25명, 베타형/감마형 각 1명)가 확인되었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예방접종률 증가에 따라 돌파감염자 발생은 지속 증가할 수 있다고 하면서, 현재까지 돌파감염률은 낮은 수준으로 지속 유지되고 있으며, 예방접종 후 확진되더라도 위중증 및 사망할 확률 또한 미접종자와 비교해서 극히 낮다고 평가하였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에서 내려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0시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 ‘일일확진자’ > 다운로드(화살표선택) >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 시도별 발생동향 > 시도 선택 >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
<붙임>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2.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3.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현황
4. 18∼49세 사전예약 관련 Q&A
5. 알아두면 편리한 코로나19 백신 사전예약 꿀팁
6. 코로나19 예방접종 온라인 예약방법 안내(영문)
7.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 및 Q&A
8. 코로나19 백신 관련 심근염 및 심낭염 안내문
9.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포스터
10.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한 안내
11. 검사소 및 진료소 폭염 관련 안내 [일반국민 및 의료인력] Q&A
12. 폭염대비 코로나19 예방수칙(마스크 착용 시, 에어컨 사용 시)
13. 여름철 올바른 환기 방법 안내
14.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방법 안내
15. 코로나19 유증상자 적극 검사 시행 포스터
16.「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코로나19 예방접종 국민행동수칙
2.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 홍보자료
3. 변경된 실내·외 마스크 착용 지침
4.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개편 관련 홍보자료(국‧영문)
5.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6.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7. 가족 감염 최소화를 위한 방역수칙
8. 가족 중 의심환자 발생 시 행동요령 점검표
9.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10.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11.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2.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13.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4. 올바른 소독방법 카드뉴스 1, 2, 3편
15.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내 및 주의사항(환경부)
16. 코로나19 예방 손 씻기 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