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70대 연령층 91.7% 1차접종 완료 ※ 4쪽 백신 도입예정 물량 수치 정정(16:57)
- 18~49세 청장년층 사전예약은 9.18(토)까지 추가예약 가능 -
◆ 예방접종 현황 및 18~49세 예약 안내
○ 연령대별 1차접종률 60~70대 91.7%, 80세 이상 81.8%, 50대 76.0%
○ 18~49세 청장년층 사전예약은 9.18(토)까지 추가 예약 가능
◆ 국제항해종사자(선원) 예방접종 추진
○ 국내 단기체류로 인해 사전예약이 어렵거나 접종일정을 맞추지 못하는 내국인 선원 약 1만여명을 대상으로 실시
○ 8.23(월)부터 9.30(금)까지 지정된 보건소 및 접종센터에서 접종
◆ 백신 도입 현황 및 계획
○ 오늘(8.23), 모더나 백신 101.7만 회분 인천공항 도착
◆ 이상반응, 피해조사 주간 보고
○ 이상반응 신고율은 0.42%로 접종초기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유지
◆ 코로나19 주간발생 동향 및 대응방안
○ 최근 1주간(8.15~8.21) 국내 발생 신규환자 일평균 1,751.1명으로 전주 대비 1.6% 감소
○ 학교내 마스크 착용 및 잦은 환기 실시, 휴가 복귀 시 진단검사 실시 당부
|
1. 예방접종 현황 및 18~49세 예약 안내
|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8월 23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예방접종을 1회 이상 실시한 사람이 25,910,685명으로 전 국민의 50.5%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 이 중 접종완료자(얀센 백신 1회 접종자 포함)는 11,565,121명으로, 전 국민의 22.5%이다.
○ 연령대별 인구 대비 접종률은 1차 접종 기준으로 60대 및 70대가 91.7%로 가장 높았고, 80세 이상 81.8%이며, 7월 마지막주부터 접종이 시작된 50대*는 76.0%가 1차접종을 완료하였다.
* 50대 연령층 사전예약률은 84.0%, 7.26.(월)∼8.28..(토)까지 접종 진행중
구분
|
인구(명)*
|
1차 접종
|
접종 완료
|
1차접종자(명)
|
인구 대비 접종률(%)
|
접종완료자(명)
|
인구 대비 접종률(%)
|
계
|
51,349,116
|
25,910,685
|
50.5
|
11,565,121
|
22.5
|
연
령
|
80세 이상
|
2,255,736
|
1,846,122
|
81.8
|
1,765,298
|
78.3
|
70∼79
|
3,757,129
|
3,446,974
|
91.7
|
2,683,749
|
71.4
|
60∼69
|
7,140,703
|
6,551,118
|
91.7
|
1,970,186
|
27.6
|
50∼59
|
8,570,076
|
6,509,190
|
76.0
|
1,080,805
|
12.6
|
40∼49
|
8,109,221
|
2,624,335
|
32.4
|
1,178,430
|
14.5
|
30∼39
|
6,686,639
|
2,399,229
|
35.9
|
1,428,880
|
21.4
|
18∼29
|
7,619,756
|
2,518,444
|
33.1
|
1,445,177
|
19.0
|
12~17
|
2,768,836
|
15,273
|
0.6
|
12,596
|
0.5
|
* ’20.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거주자) 기준
※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
□ 아울러 추진단은, 현재 18~49세 연령층 대상 사전예약이 진행중이며, 9월 18일(토) 18시까지 추가 예약이 가능하다고 다시 한 번 안내했다.
○ 아직까지 예약을 못한 분들께서는 예약에 동참하시어 접종을 꼭 받으실 수 있도록 당부드린다.
2. 국제항해종사자(선원) 예방접종 시작 백신 접종 시작
|
□ 코로나19 예방접종추진단은 국제항해종사자(선원)에 대한 예방접종을 8.23(월)부터 실시한다.
○ 국내 단기 체류로 인해, 18~49세 예방접종 사전예약이 어렵거나, 접종일정을 맞추지 못하는 내국인 선원에 대한 예방접종이며,
- 장기간 선상 생활, 3밀(밀집·밀접·밀폐) 환경으로 집단발생 위험이 높아 별도 접종을 추진하였다.
○ 접종 대상자는 약 1만명이며 지정된* 보건소 및 접종센터에서 8.23(월) ~9.30(금)까지 접종받을 수 있다.
* 부산, 인천, 전남(여수, 목포) 지정 보건소 5곳, 예방접종센터 14곳
- 또한, 접종 백신은 30세 이상은 얀센 백신, 30세 미만은 화이자 백신이다.
□ 오늘(8.23), 모더나 백신 101.7만 회분이 인천공항에 도착*한다.
* 편명: KE0256, 도착시간 8.23(월) 14:40
○ 이로써 7월 1일부터 8월 23일까지 2,529만 회분의 백신이 공급되었으며 누적 4,392만 회분의 백신이 공급되었다.
- 안정적인 백신 공급을 위해 지속적으로 제약사와 긴밀히 협의해 나갈 예정이며, 구체적인 공급 일정은 제약사와 협의 되는대로 신속하게 안내할 계획이다.
【 ’21년 백신 도입 현황 및 계획 (’21.8.23. 기준, 단위: 회분) 】
백신 종류
|
도입 확정
|
도입 완료
|
도입 예정
|
계
|
상반기
|
7.1~8.23
|
8.24~9.5
|
9.6~9.30
|
4분기
|
계
|
1억 9,340만
|
4,392만
|
1,862만
|
2,529만
|
약 1,333만
|
약 4,200만
(협의중)
|
약 9천만
|
아스트라제네카
|
2,000만
|
1,776.2만
|
881.4만
|
894.8만
|
약 650만
|
|
|
화이자
|
6,600만
|
1,948.6만
|
700.2만
|
1,248.4만
|
모더나
|
4,000만
|
347.2만
|
11.2만
|
336.1만
|
약 599만
|
얀센
|
740만
|
151.4만
|
101.3만
|
50.1만
|
(협의중)
|
노바백스
|
4,000만
|
-
|
-
|
-
|
-
|
코백스
|
아스트라
제네카
|
2,000만
|
126.7만
|
126.7만
|
-
|
83.5만
|
화이자
|
41.4만
|
41.4만
|
-
|
-
|
* 제약사와 공급 일정 협의 중이거나 일정 공개 협의 중(노바백스 백신은 허가 일정 고려)
4. 이상반응 신고현황 주간 분석결과 (25주차)
|
□ 추진단은 코로나19 예방접종 시작 이후 현재까지 신고된 이상반응 의심사례에 대한 주간(25주차, 8.22. 0시 기준)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 전체 예방접종 36,299,704건 중 이상반응은 153,183건(25주 신규 신고건수 12,839건)이 신고되어 신고율은 0.42%(1차 0.48%, 2차 0.28%)으로,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율(접종일 기준)은 접종 초기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는 추세이다.
- 신고 사례 중 근육통, 두통 등 일반 이상반응은 95.5%(146,215건), 중대한 이상반응은 4.5%(6,968건)이었으며, 백신별 신고율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0.56%, 화이자 백신 0.30%, 얀센 백신 0.68%, 모더나 백신 0.35%이였다.
[누적 예방접종건수 대비 이상반응 의심사례 신고율] ※ 이미지 본문 참조
□ 추진단은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해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발생할 수 있는 이상반응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모든 접종 완료자는 예방접종 후 15~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러 이상반응 발생 여부를 관찰하고, 귀가 후에도 적어도 3시간 이상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하며, 접종 후 최소 3일간은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고, 고열이 있거나 평소와 다른 신체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의사 진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
- 특히, 중증 알레르기 반응(아나필락시스)이 나타나면 즉시 119로 연락하거나 가까운 응급실로 내원해야 한다.
○ 화이자, 모더나 백신 접종 후 다음과 같은 심근염/심낭염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히 의료기관 진료를 받도록 당부했다.
【심근염 및 심낭염 의심증상】
◈ 예방접종 후 아래와 같은 증상이 새롭게 발생하거나 악화되어 지속되는 경우
① 가슴 통증, 압박감, 불편감
② 호흡곤란 또는 숨가쁨, 호흡시 통증
③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두근거림
④ 실신
|
○ 또한,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백신 접종 후 드물지만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또는 길랑-바레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어 다음과 같은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혈소판소성 혈전증 의심증상】
◈ 아데노바이러스벡터 코로나19 백신(아스트라제네카, 얀센) 접종 후 4일에서 주 사이에 아래와 같은 증상이 있는 경우
① 심한 또는 2일 이상의 지속적인 두통이 발생하며, 진통제에 반응하지 않거나 조절되지 않는 경우 또는 구토를 동반하거나 시야가 흐려지는 경우
② 호흡곤란, 흉통, 지속적인 복부 통증, 팔·다리 부기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 경우
③ 접종부위가 아닌 곳에서 멍이나 출혈이 생긴 경우 등
|
【길랑-바레증후군 의심증상】
① 사물이 두 개로 보이거나 눈동자를 움직이기 어려운 경우
② 삼키기, 말하기, 씹기 어렵거나, 걷기 등 몸의 움직임을 조정하기 어려운 경우
③ 손과 발의 저린 감각 및 팔다리, 몸통, 얼굴의 약화
방광조절 및 장기능 장애
|
○ 아울러,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의심 환자를 진료한 의료기관은 심근염, 심낭염,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길랑-바레증후군 등 신속한 진단·치료 및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를 철저히 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5. 예방접종 피해조사반의 이상반응 사례평가 결과 분석 (~8.20.)
|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조사반의 이상반응 사례 평가결과(8.20. 기준)>
구분*
|
심의건수
|
인과성 평가 결과
|
인정
|
불명확
|
불인정
|
보류
|
합계
|
1,833(+98)
|
212(+17)
|
25(+1)
|
1,583(+78)
|
13(+2)
|
사망
|
536(+26)
|
21)
|
2
|
523(+25)
|
9(+1)
|
중증
|
737(+29)
|
52)
|
23(+1)
|
705(+27)
|
4(+1)
|
아나필락시스3)
|
560(+43)
|
205(+17)
|
0
|
355(+26)
|
0
|
*피해조사반 평가 시점 기준으로 분류
1) 혈소판감소성혈전증 1례(아스트라제네카), 급성심근염 1례(화이자)
2) 혈소판감소성혈전증 2례(아스트라제네카), 뇌정맥동혈전증 1례(아스트라제네카), 발열 후 경련으로 인한 혈압저하 1례(아스트라제네카), 급성심낭염 1례(화이자)
3) 아나필락시스 심의 사례 中 중증 아나필락시스는 14건(인과성 인정 11건·불인정 3건)
|
□ 예방접종피해조사반(반장 김중곤 교수)은 현재까지 총 27차례 회의를 개최하여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발생한 이상반응 신고사례에 대한 인과성을 심의하였다.
○ 신고사례 총 1,833건(사망 536건, 중증 737건, 아나필락시스 560건) 중 212건(사망 2건, 중증 5건, 아나필락시스 205건)이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이 인정되었고, 25건(사망 2건, 중증 23건)은 근거가 불명확한 사례*로 평가되었다.
* 근거가 불분명한 사례의 경우 향후 근거가 확보되는 시점에서 재평가할 예정이며, 1천만원 이내의 중증 이상반응 의료비를 지원하고 있음
□ 예방접종피해조사반 제27차 회의(8.20.)에서는 신규 55건 및 재심의 1건을 포함하여 총 99건(사망 26건, 중증 30건, 아나필락시스 43건)을 심의하였다.
○ 아나필락시스 17건에 대해 인과성이 인정되었고, 중증 1건(길랑-바레 증후군 1건)은 근거가 불명확한 사례로 평가되었다.
○ 그 외 사망 및 중증 53건, 아나필락시스 26건에 대해서는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이 인정되지 않았고, 사망 1건 및 중증 2건은 재평가하기로 하였다.
□ 예방접종피해조사반 제27차 회의(8.20.)에 제출된 신규 사망 및 중증 이상반응 사례를 분석한 결과,
○ 신규 사망 신고사례 26건의 평균 연령은 77.6세(범위 56~100세)였고, 이 중 25건(96%)에서 기저질환*이 있었으며, 접종한 백신은 화이자(16건)와 아스트라제네카(10건)였다.
*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허혈심장질환 등
○ 신규 중증 신고사례 29건의 평균 연령은 62.1세(범위 17-84세)였고, 이 중 29명(100%)에서 기저질환이 있었으며, 접종 후부터 증상 발생까지 평균 소요기간은 9.3일(범위 13시간∼57일), 접종한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17건), 화이자(8건), 교차접종(1건), 얀센(3건) 이었다.
□최근 1주간(’21.8.15∼8.21.) 코로나19 국내 발생 신규환자는 일평균 1,751.1명(국내 발생 12,258명)으로 전주(일평균 1,780명) 대비 1.6%(28.9명) 감소하였다.
○ 수도권은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에도 불구 휴가 등의 영향으로, 최근 1주간 일평균 1,101.0명(전체 환자 수 7,710명)을 기록하며, 전주(일평균 1,076.9명) 대비 2.2% 증가하였다.
○ 비수도권은 최근 1주간 일평균 650.1명(전체 환자 수 4,548명) 발생하여 전주(일평균 703.1명) 대비 7.5% 감소하였다.
○ 주간 감염재생산지수(Rt)는 전국 1.02로 전주(1.10) 대비 감소하였고, 수도권은 1.03, 비수도권은 1.01이었다.
* 전국 Rt : 1.04(7월4주) → 0.99(8월1주) → 1.10(8월2주) → 1.02(8월3주)
○ (위중증·사망) 주간 평균 위중증 환자수는 375명으로 지난주와 유사하며, 사망자는 54명으로 전주(32명) 대비 큰폭으로 증가 하였다.
* 주별 평균 위중증 환자 규모 :(8월1주) 347명→(8월2주) 377명→(8월3주) 375명
* 주간 사망 환자 수 : (8월1주) 21명→(8월2주) 32명→(8월3주) 54명
* 즉시가용 중환자실 :(8월1주) 312개→(8월2주) 287개→(8월3주) 273개
○ (해외유입) 해외유입 사례는 일 평균 53명(총 374명)으로 전주대비 (60.3명→53.4명) 감소하였다.
< 최근 한달 간 주간 위험도 평가지표 >
구 분
|
7월 4주
(7.25.~7.31.)
|
8월 1주
(8.1.~8.7.)
|
8월 2주
(8.8.~8.14.)
|
8월 3주
(8.15.~8.21.)
|
일일 평균
확진환자 수(명)
|
국내발생
|
1,505.7
|
1,495.4
|
1,780.0
|
1,751.1(-1.6%)
|
|
수도권
|
959.6
|
936.6
|
1,076.9
|
1,101.0(+2.2%)
|
비수도권
|
546.1
|
558.8
|
703.1
|
650.1(-7.5%)
|
해외유입
|
63.4
|
59.9
|
60.3
|
53.4
|
전 체
|
1,569.1
|
1,555.3
|
1,840.3
|
1,804.6
|
감염경로 조사중 분율(%)(건)
|
국내발생
|
25.8
(2,716/10,540)
|
25.5
(2,665/10,468)
|
30.3
(3,770/12,460)
|
34.2
(4,195/12,258)
|
방역망 내 관리 분율(%)
|
국내발생
|
42.1
|
41.1
|
38.8
|
35.6
|
감염재생산지수(Rt)
|
1.04
|
0.99
|
1.10
|
1.02
|
신규 집단발생 건수(건)
|
98(▲8)
|
95(△14)
|
97(△5)
|
37*
|
주별 평균 위중증 환자 규모(명)
|
280
|
347
|
377
|
375
|
주간 사망 환자 수(명)
|
27
|
21
|
32
|
54
|
즉시 가용 중환자실(개)
|
360
|
312
|
287
|
273
|
* 역학조사 진행 중으로 이후 증가할 수 있음
○ (연령군) 20대 연령군에서 인구 10만 명당 5.9명(전주 6.1명), 30대 연령군에서 인구 10만 명당 4.3명(전주 4.3명)으로 계속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고, 70대 이상 연령군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 전국 연령별 발생률(8.21. 0시 기준) >
구분
|
계
|
0-9세
|
10-19세
|
20-29세
|
30-39세
|
40-49세
|
50-59세
|
60-69세
|
70-79세
|
80세이상
|
7월 4주
(7.25.~7.31.)
|
환자수
|
10,540
|
695
|
1,234
|
2,274
|
1,660
|
1,828
|
1,742
|
787
|
231
|
89
|
일평균발생률
|
2.9
|
2.5
|
3.7
|
4.8
|
3.5
|
3.1
|
2.9
|
1.7
|
0.9
|
0.6
|
8월 1주
(8.1.~8.7.)
|
환자수
|
10,468
|
706
|
1,177
|
2,245
|
1,589
|
1,698
|
1,781
|
862
|
287
|
123
|
일평균발생률
|
2.9
|
2.5
|
3.5
|
4.7
|
3.3
|
2.9
|
2.9
|
1.8
|
1.1
|
0.9
|
8월 2주
(8.8.~8.14.)
|
환자수
|
12,460
|
776
|
1,359
|
2,893
|
2,066
|
1,875
|
1,992
|
1,021
|
311
|
167
|
일평균발생률
|
3.4
|
2.8
|
4.1
|
6.1
|
4.3
|
3.2
|
3.3
|
2.2
|
1.2
|
1.2
|
8월 3주
(8.15.~8.21.)
|
환자수
|
12,258
|
802
|
1,249
|
2,818
|
2,064
|
1,951
|
1,885
|
997
|
329
|
163
|
일평균발생률
|
3.4
|
2.9
|
3.7
|
5.9
|
4.3
|
3.4
|
3.1
|
2.1
|
1.3
|
1.2
|
*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 = (확진자수)/(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20.12월 기준) × 100,000(명)
○ (감염경로) 가족·지인·직장 등 개인 간 접촉감염으로 인한 ‘확진자 접촉’ 비중은 지속적으로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8월 3주 51.0%, 총 6,446명), 조사 중 비율(33.2%)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확진자 접촉 비중 :(7월4주) 45.3%(4,974명) → (8월1주) 47.3%(5,146명)→ (8월2주) 48.0%(6,189명) → (8월3주) 51.0%(6,446명)
< 최근 4주간 감염경로*(’21.7.25.~8.21.)>
구 분
|
7월 4주
(7.25.~7.31.)
|
8월 1주
(8.1.~8.7.)
|
8월 2주
(8.8.~8.14.)
|
8월 3주
(8.15.~8.21.)
|
전체
|
10,984명
|
(100%)
|
10,887명
|
(100%)
|
12,882명
|
(100%)
|
12,632명
|
(100%)
|
확진자 접촉
|
4,974명
|
(45.3%)
|
5,146명
|
(47.3%)
|
6,189명
|
(48.0%)
|
6,446명
|
(51.0%)
|
지역 집단발생
|
2,733명
|
(24.9%)
|
2,518명
|
(23.1%)
|
2,364명
|
(18.4%)
|
1,500명
|
(11.9%)
|
병원 및 요양시설 등
|
111명
|
(1.0%)
|
128명
|
(1.2%)
|
134명
|
(1.0%)
|
114명
|
(0.9%)
|
해외유입
|
444명
|
(4.0%)
|
419명
|
(3.8%)
|
422명
|
(3.3%)
|
374명
|
(3.0%)
|
해외유입 관련
|
6명
|
(0.1%)
|
11명
|
(0.1%)
|
3명
|
(0.0%)
|
3명
|
(0.0%)
|
조사중(미분류)
|
2,716명
|
(24.7%)
|
2,665명
|
(24.5%)
|
3,770명
|
(29.3%)
|
4,195명
|
(33.2%)
|
수도권 지역
조사중(미분류)
|
2,016명
|
(21.3%)
|
1,905명
|
(20.1%)
|
2,620명
|
(27.7%)
|
2,930명
|
(30.9%)
|
* 역학조사 진행에 따라 감염경로는 재분류 될 수 있음
○ (집단감염) 신규 집단감염은 총 37건으로 사업장 14건, 가족·지인모임 6건, 다중이용시설(도소매업, PC방, 사회복지시설, 실내체육시설 등) 7건, 의료기관·요양시설(병원, 요양병원 등) 3건, 교육시설(학교·학원·어린이집 등) 5건, 기타 2건이 발생하였다.
○ (위중증·사망자 접종현황) ’21년 5월∼7.24일 확진자 총 65,347명 중 백신 미접종자는 93.4%(61,055명), 1차 접종자는 5.2%(3,399명), 2차 접종완료자는 1.4%(893명)이었다.
- 위중증 및 사망자는 1,415명(2.2%)이었으며, 미접종자 91.3%(1,292명/1,415명), 1차 접종자 8.1%(114명), 2차 접종완료자 0.6%(9명)이었다.
- 60세 미만에서는 미접종자 98.6%(681명/691명), 1차 접종자 1.2%(8명), 2차 접종완료자 0.3%(2명)이였으며, 60세 이상에서는 미접종자 84.4%(611명/724명), 1차 접종자는 14.6%(106명), 2차 접종완료자는 1.0%(7명)이었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지난 주 개학 및 휴가 후 일상 복귀로 지역 내 감염 확산이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개학으로 학생들간 접촉 빈도가 늘어나면, 최근 젊은 층 감염율 및 무증상 비율이 높은 점을 고려할 때 철저한 방역 수칙 준수가 필요하다.
- 이에 방역 당국은 학생 및 교사 등 학교 이용자들에게 학교 내에서 마스크를 필수적으로 착용하고, 잦은 환기 실시 및 점검표 등을 통한 실적 기록 등을 당부하였다.
○더불어 7월 들어 소폭 감소하던 이동량이 8월 휴가철을 맞아 코로나 이전 이동량 평균을 상회하고 있어, 휴가지에서 감염되어 여러 지역으로 확산될 우려가 있다.
- 휴가지에서 복귀 시, 유증상자는 필수적으로 검사를 받고, 증상이 없는 경우라도 고속도로 휴게소, KTX 역 등에 설치된 임시선별검사소에서 감염여부 확인을 통해 지역 사회 내 전파를 미리 차단할 수 있으므로, 증상여부에 관계없이 검사를 받을 것을 당부하였다.
- 8.13. ∼ 8.18. 동안 안성(경부선), 화성(서해안선), 이천(중부선), 용인(영동선) 휴게소에 설치한 임시선별검사소를 추석연휴 종료까지 연장하고, 타 지역과도 협의하여 추가적으로 설치 예정이다.
□8월 23일부터 수도권 식당·카페 이용가능한 사적모임 인원 기준이 오후 6시 이후 2명에서 백신접종자 2명 포함 시 최대 4인으로 변경되는 바, 기준변경으로 인해 지역사회 산발적 감염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식당·카페 방역관리자는 2인 초과 모임 추가인원의 백신접종 여부를 철저히 확인할 것을 요청드리며, 국민 여러분들께도 9시 이후에는 영업장 내 취식이 금지된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협조해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 최근 질병관리청 예방접종 증명서를 사칭하여 개인정보 및 금융정보를 요구하는 스미싱 사건이 보고되어 주의를 당부하였다.
○ 우선, 질병관리청은 사전 예약 시스템을 통한 경우 외에는 개인정보를 일체 요구하지 않는다.
○ 전자 예방접종 증명서는 본인이 직접 앱스토어 등에서 내려 받아야 하며, 질병관리청이 별도로 접속주소(링크)를 보내지 않는다.
○ 또한, 질병관리청에서 보내드리는 문자는 1339 또는 질병관리청 전화번호 등으로만 발송되며 010으로 시작하는 전화번호로는 문자를 발송하지 않는다.
○ 관련 내용은 한국인터넷진흥원 누리집에 공지하였으며 질병관리청은 향후 사건 접수 시 경찰청과 협력하여 적극적으로 대처할 것을 밝혔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에서 내려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0시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 ‘일일확진자’ > 다운로드(화살표선택) >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 시도별 발생동향 > 시도 선택 >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
<붙임>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2.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3. 코로나19 주간 발생 현황
4.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주간 분석 결과(24주차)
5.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조사반 사례평가 결과
6. 18∼49세 사전예약 관련 Q&A
7. 알아두면 편리한 코로나19 백신 사전예약 꿀팁
8. 코로나19 예방접종 온라인 예약방법 안내(영문)
9.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 및 Q&A
10. 코로나19 백신 관련 심근염 및 심낭염 안내문
11.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포스터
12.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한 안내
13. 검사소 및 진료소 폭염 관련 안내 [일반국민 및 의료인력] Q&A
14. 폭염대비 코로나19 예방수칙(마스크 착용 시, 에어컨 사용 시)
15. 여름철 올바른 환기 방법 안내
16.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방법 안내
17. 코로나19 유증상자 적극 검사 시행 포스터
18.「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 별첨> 1. 코로나19 예방접종 국민행동수칙
2.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 홍보자료
3. 변경된 실내·외 마스크 착용 지침
4.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개편 관련 홍보자료(국‧영문)
5.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6.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7. 가족 감염 최소화를 위한 방역수칙
8. 가족 중 의심환자 발생 시 행동요령 점검표
9.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10.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11.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2.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13.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4. 올바른 소독방법 카드뉴스 1, 2, 3편
15.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내 및 주의사항(환경부)
16. 코로나19 예방 손 씻기 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