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49세 연령층 예방접종 신속 추진(8.24., 정례브리핑)
◆ 18~49세 추석 이후 예약자 앞당겨 재예약 가능
○ 9월 초까지 도입되는 모더나 물량을 활용, 18~49세 연령층의 9월 6일 이후 예약 가능인원 확대
○ 아직 예약하지 못했거나, 추석 이후 예약자 중 일정을 앞당겨 접종을 원하는 경우 9월 6일 이후로 예약 가능
◆ 백신접종 효과 분석
○ 백신접종에 따른 효과 분석 결과 감염예방효과 82.6%, 중증예방효과 85.4%, 사망예방효과 97.3%로 나타나
◆ 코로나19 델타변이 감염력 평가 분석
○ 델타변이 환자 증상발현 초기 높은 바이러스양으로 전파 가능성 높으나 10일 이후에는 기존 유행주와 차이 없어
○ 델타변이 전파 차단을 위해 의심증상 발견 시 즉시 검사, 모임자제, 마스크 착용 등 기본방역수칙 준수가 어느때 보다 중요
◆ 코로나19 국외 발생동향
○ 주요국 대비 우리나라의 발생률, 사망률, 치명률 낮은 수준 유지
○ 인구 100만명당 주간 사망자 0.6명(미국 12명, 영국 9명, 이스라엘 12명)
|
1. 18~49세 추석 이후 예약자 앞당겨 재예약 가능
|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 이하 “추진단”)은 모더나사가 9월 첫주까지의 백신 공급물량을 확대함에 따라, 추석 전 3,600만 명 1차접종 목표를 보다 안정적으로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 모더나 사는 한국 대표단의 미국 본사 방문(8.13일) 이후, 원활한 예방접종을 위해 어제(8.23일) 도착한 101만 회분을 포함하여 9월 첫째 주까지 총 701만 회분을 공급하겠다고 통보(8.21일)한 바 있다.
□ 추진단은 9월 초까지 도입되는 물량을 활용하여 18~49세 연령층 접종을 보다 신속하게 추진하기 위해 9월 6일 이후의 의료기관별 예약 가능 인원을 더 확대하였다.
○ 이에 따라, 18~49세 연령층 중 아직 예약하지 못한 분들 또는 추석 이후로 예약하신 분들 중 예약 일정을 앞당겨 접종하기를 원하시는 경우는 일정을 일부 조정하여 더 빠른 날짜에 접종받을 수 있게 된다.
○ 오늘부터 새로 예약을 하시는 경우 예약일은 9월 6일 이후로 선택 가능하다.
- 또한, 이미 예약하신 분이 접종일시의 변경을 원하는 경우 사전예약 누리집(https://ncvr.kdca.go.kr)을 통해 기존 예약을 취소한 후 원하는 날짜와 의료기관을 선택하여 재예약하면 된다.
* 8월 24일(화) 0시 기준 약 1,523만 명 중 1,012만 명(예약률 66.4%) 예약 완료
- 다만, 백신 배송일정 등을 감안하여 오늘부터 예약이 가능한 날짜는 9월 6일 이후이므로, 그 이전 날짜로 예약하신 분들이 예약 변경을 위해 기존 예약을 취소할 경우에도 9월 6일 이후로만 재예약이 가능하다. (30p 붙임4. 18~49세 사전예약 관련 Q&A 참조)
* 백신 배송 일정을 감안하여 9월 둘째주(9.6.∼12.) 예약은 8.26일까지, 9월 셋째주(9.13.∼19.) 예약은 9.2일까지 예약 실시 후 마감
□ 추진단은 9월 초까지 모더나 백신 공급 물량이 확대됨에 따라 더 많은 분들이 안정적으로 접종받으실 수 있으며, 아직까지 예약하지 않으신 분들은 9월 18일(토)까지 예약이 가능하나, 가급적 빨리 예약을 완료하여 조기에 접종을 받으실 것을 당부했다.
2. 발달장애인,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이용자 등 예방접종 시행
|
□ 추진단은 방역수칙 이행이 어려운 발달장애인, 중증 진행 위험이 높은 심장·간 등 장애인, 집단생활로 감염 위험이 높은 직업재활시설 이용자 등을 대상으로 예방접종을 시작한다.
○ 접종은 예방접종센터 또는 위탁의료기관에서 8월 26일(목)부터 mRNA 백신(화이자 또는 모더나)으로 시행된다.
- 발달장애인 등의 원활한 접종을 위하여 미예약자는 추가로 8월 28일(토) 18시까지 누리집, 콜센터(1339, 지자체) 및 보건소 현장예약(보호자 가능)을 통해 사전예약이 가능하다.
- 아울러, 접종대상자의 장애 종류와 정도에 따라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장애인이동지원센터, 지자체 자원봉사자 등을 활용하여 지자체별로 이동편의 제공 서비스를 지원할 예정이다.
□ 8월 25일(수)에 개별 계약된 화이자 백신 159.9만 회분이 인천공항에 도착 예정이다.
* 편명: KE8518, 도착시간 8.25(수) 11:15
○ 이로써 내일 도입되는 화이자 백신을 포함하여 7월 1일부터 8월 25일까지 2,689만 회분의 백신이 공급되며, 누적 4,551만 회분의 백신이 공급된다.
○ 안정적인 백신 공급을 위해 지속적으로 제약사와 긴밀히 협의해 나갈 예정이며, 구체적인 공급 일정은 제약사와 협의 되는대로 신속하게 안내할 계획이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최근 다양한 연령대가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에서의 집단사례 발생이 빈번함에 따라, 해당 시설 및 이용자들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21년 7월 이후 음식점, 카페와 관련하여 발생한 집단감염 사례는 총 38건(930명)으로 건당 평균 24명(5~85명)의 확진자가 발생하였다.
|
< 7.1~·8.23일 기준 집단발생 및 확진자 현황 >
|
|
구분
|
총계
|
집단사례(건)
|
확진자 수(명)
|
집단사례
|
확진자
|
7월
|
8.1~8.23일
|
7월
|
8.1~8.23일
|
총합계
|
38
|
930
|
20
|
18
|
645
|
285
|
음식점
|
35
|
813
|
19
|
16
|
596
|
217
|
카페
|
3
|
117
|
1
|
2
|
49
|
68
|
|
○ 음식점, 카페 등 적절한 마스크 착용이 곤란한 시설에서는
- △유증상자 시설 이용 자제, △혼잡한 시간 피하기 △음식점 내 상시(식사시 제외) 마스크 착용 및 거리두기 준수, △이용시간 최소화해 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 또한 시설 관계자는 △방문자 증상 체크 및 방명록 관리, △주기적 환기, △종사자가 아프면 검사받고 집에서 쉬기 등 감염 예방에 주의를 기울여 줄 것을 강조하였다.
□ 현재까지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의 발생상황은 다음과 같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변이바이러스 감시 강화를 위해 분석을 지속 확대하고 있으며, 최근 1주일간 변이바이러스 분석률*은26.7%(국내 26.2%, 해외 40.3%)이다.
* 분석률 = 기간 내 변이바이러스 분석건수 / 기간 내 확진자수
- 최근 1주 국내감염 사례의 주요 변이바이러스 검출률은 90.4%로 전주 대비 3.5% 증가하였고, 델타형 변이*의 검출률은 89.6%로 전주대비 4.3% 증가하였다.(8.21. 0시 기준)
* (델타변이) 국내 85.3%(8월2주) → 89.6%(8월3주)
해외유입 96.1%(8월2주) → 97.5%(8월3주)
【 국내감염 주요 변이바이러스 분석률 및 검출률(8.21. 기준) 】
분석주차
|
분석
건수
|
분석률
(%)
|
주요 변이
|
알파형
|
베타형
|
델타형
|
건
|
검출률(%)
|
건
|
검출률(%)
|
건
|
검출률(%)
|
건
|
검출률(%)
|
6월4주
|
642
|
18.7
|
196
|
30.5
|
175
|
27.3
|
-
|
-
|
21
|
3.3
|
7월4주
|
2,765
|
26.2
|
1,869
|
67.6
|
168
|
6.1
|
-
|
-
|
1,701
|
61.5
|
8월1주
|
3,175
|
31.1
|
2,399
|
75.6
|
78
|
2.5
|
-
|
-
|
2,321
|
73.1
|
8월2주
|
3,235
|
26.8
|
2,812
|
86.9
|
53
|
1.6
|
-
|
-
|
2,759
|
85.3
|
8월3주
|
3,206
|
26.2
|
2,899
|
90.4
|
25
|
0.8
|
-
|
-
|
2,874
|
89.6
|
- 추가 확인된 변이바이러스는 3,062건으로, ‘20년 12월 이후 현재까지 확인된 변이바이러스는 총 16,842건*이다.
* 총 16,842건(+3,062): 알파형 3,217명(+29), 베타형 149명(+0), 감마형 22명(+0), 델타형 13,454명(+3,033)
- 이 중, 163건은 해외유입 사례, 2,899건은 국내감염 사례이었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최근 국내 발생 델타변이 환자의 초기 전파력을 살펴보기 위해 증상발현일 이후 코로나19로 확진된 호흡기 검체의 바이러스 양을 분석하였다.
○ 이 분석은 델타변이 1,848건과 비교군으로 기존 유행주(S/V*, GH**유전형) 22,106건 검체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 1차 유행 시 주요 유전형
** 2∼3차 유행 시 주요 유전형
- 확진된 시점을 기준으로 역학정보에 기반하여 대상자의 증상발현일로부터 확진까지 소요된 일수로 구분하고 증상당일인 0일부터 증상발현 후 14일까지의 일별 평균 검사값(Ct value)을 바이러스 양으로 환산하여 분석하였다.
- 분석결과, 증상당일(0일) 델타변이 환자가 기존 유행주(1차 유행) 환자대비 약 300배 이상 바이러스 양이 많았으며 4일째 약 30배, 9일째 약 10배 이상 등으로 그 차이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10일 이후는 분석대상자 모두 바이러스 양에 차이가 없어 기존 유행주와 마찬가지로 바이러스양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 붙임자료 참조> <(그림) 증상일별 바이러스 양 >
○ 이는 델타변이 환자의 경우 증상발현 초기 높은 바이러스 양을 보임에 따라 높은 전파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 델타변이가 유행중인 현재 상황에서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코로나 증상이 의심될 경우 즉시 검사를 받고, 타인과의 접촉 및 모임을 피하며, 마스크를 항상 착용하는 등 기본 방역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어느때보다 중요하다고 설명하였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번 연구결과를 국내·외 연구진들과 공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우리나라의 주간 발생률, 주간 사망률, 누적 치명률은 주요 국가에 비해 낮은 상황이 유지되고 있다.
○ WHO기준(’21.8.15.~8.21.) 우리나라는 100만 명당 주간 확진자가 244명이며, 미국은 2,979명, 영국이 3,132명, 이스라엘은 5,578명으로 주요 국가들에서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다.
- 100만 명당 주간 사망자의 경우에도 우리나라는 0.6명이며, 미국은 12명, 영국은 9명, 이스라엘은 12명인 상황이다. 특히, 미국,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에서 최근 증가세가 보이고, 우리나라는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 누적 치명률의 경우, 우리나라는 0.9%로 이스라엘(0.7%) 다음으로 낮은 수준으로 보고되었으며,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다.
< 붙임자료 참조> <(그림) 주요 7개국 주간 확진자 수(인구 100만 명당) 변화(’21.5.30.∼’21.8.21., WHO), 주요 7개국 주간 사망자 수(인구 100만 명당) 변화(’21.5.30.∼’21.8.21., WHO), 주요 7개국 누적 치명률 변화(’21.5.30.∼’21.8.21., WHO) >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백신의 감염 및 중증 예방효과 분석 결과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 분석대상 : 접종완료자 발생 시작(‘21.4.3.)부터 ‘21.8.14.까지 18세 이상 확진자 총 105,255명
ㆍ(위중증) 코로나19 감염자 중 추적관찰기간(28일) 내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의 치료를 받았던 사례
ㆍ(사망) 코로나19 감염자 중 추적관찰기간(28일) 내 사망한 사례
ㆍ(미접종군) ‘20.12월 기준 18세 이상 주민등록인구 중 미접종자
ㆍ(불완전접종군) 코로나19 1차 접종~2차접종 후 14일 미만 경과자
ㆍ(접종완료군) 코로나19 백신별 권장접종횟수 접종 후 14일 이상 경과자
|
○ 우선, 4월부터 8월 14일까지 확진자와 위중증 및 사망자들의 예방접종력 분포를 분류한 결과 확진자 중 87.9%, 위중증 환자 중 84.9%, 사망자 중 82.4%는 미접종자였다.
(‘21.8.14일 기준, 단위 : 명, %)
|
구분
|
계
|
미접종
|
불완전 접종
|
접종완료
|
명
|
%
|
명
|
%
|
명
|
%
|
확진자
|
105,255
|
92,500
|
87.9
|
10,372
|
9.9
|
2,383
|
2.3
|
위중증자*
|
2,301
|
1,954
|
84.9
|
324
|
14.1
|
23
|
1.0
|
사망자*
|
323
|
266
|
82.4
|
46
|
14.2
|
11
|
3.4
|
* 위중증 및 사망자의 백신접종력은 향후 확진자 추적관찰기간 연장에 따라 변동 가능
○ (감염예방효과) 동일한 기간 동안 18세 이상 전체인구(‘21.12월 기준) 4,411만 8,077명 중 미접종자 2,190만 8,930명을 비교집단으로 접종완료자와 코로나19 발병률을 비교한 결과 미접종군 대비 접종완료군에서 백신의 감염예방효과는 82.6%였다.
- 접종완료군에서 확진자는 2,383명으로, 10만 인일* 당 발생률은 0.55명이었고, 미접종군에서는 92,500명이 확진되어 10만 인일 당 발생률은 3.18명이었다.
* 인일(人日, person-days): 각 개인에 대한 추적관찰기간의 합을 뜻하는 단위
- 연령대 감염예방효과는 60세 이상에서 96.5%, 60세 미만에서 69.0%으로 나타났고, 60세 미만에서 감염예방효과가 낮은 것은 젊은 층에서의 유행상황과 동 연령대의 낮은 접종률 등의 영향으로 추정하였다.
【접종완료자의 감염예방효과】
(‘21.8.14일 기준, 단위 : 명, %)
|
구분
|
미접종군(N=21,908,930)
|
접종완료군(N=7,153,903)
|
감염
예방
효과3)
|
미접종자
|
확진자
|
추적관찰기간
(인일)1)
|
발생률2)
|
접종
완료자
|
확진자
|
추적관찰기간
(인일)1)
|
발생률2)
|
전체
|
21,908,930
|
92,500
|
2,908,787,829
|
3.18
|
7,153,903
|
2,383
|
430,956,589
|
0.55
|
82.6%
|
60세
이상
|
973,003
|
11,302
|
128,419,883
|
8.80
|
3,807,336
|
790
|
255,267,143
|
0.31
|
96.5%
|
60세
미만
|
20,935,927
|
81,198
|
2,780,367,946
|
2.92
|
3,346,567
|
1,593
|
175,689,446
|
0.91
|
69.0%
|
1) 각 개인에 대한 추적관찰기간의 합을 뜻하는 단위(person-day)
2) 발생률 : 코로나19 확진자 수 / 10만 인일
3) 감염예방 효과: 1 - (접종군 발생률) / (미접종군 발생률)
○ 한편, 5월 이후 확진자 중 위중증 및 사망 여부 확인을 위한 28일 동안 추적관찰기간이 종료된 사례를 65,347명 대상으로 예방접종력에 따른 중증도를 비교한 결과
ㆍ분석대상 : ’21년 5.1.∼7.24. 확진자 65,347명 (확진 후 28일 관찰기간 경과자)
ㆍ연령표준화 : 미접종, 접종자간 연령분포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확진자의 연령구성비를 표준화한 방법
ㆍ중증화율 : (위중증 및 사망자 수)/확진자 수 x 100
ㆍ중증 및 사망예방효과 : 1- (접종자 중증화‧치명률 / 미접종자 중증화‧치명률)
|
- (중증예방효과) 전체 중증화율은 2.17%, 연령표준화 중증화율은 미접종군 2.40%, 1차접종군 0.97%, 접종완료군 0.35%로 나타나 중증예방효과 85.4%로 분석되었고,
- (사망예방효과) 전체 치명률 0.33%, 연령표준화 치명률은 미접종군 0.42%, 1차접종군 0.09%, 접종완료군 0.01%로 확인되어 사망예방효과는 97.3%로 분석되었다.
【백신 접종에 따른 연령별 중증화수 및 중증화율】
(‘21.7.24일 기준, 단위 : 명, %)
|
구분
|
전체
|
미접종자
(1차 접종 후 14일 미경과자 포함)
|
1차접종완료자
(14일 이상 경과자)
|
2차접종완료자
(14일 이상 경과자)
|
확진자
|
중증화수
|
중증화율
|
확진자
|
중증화수
|
중증화율
|
확진자
|
중증화수
|
중증화율
|
확진자
|
중증화수
|
중증화율
|
19세이하
|
9,508
|
3
|
0.03
|
9,503
|
3
|
0.03
|
2
|
-
|
0.00
|
3
|
-
|
0.00
|
20-29세
|
13,415
|
33
|
0.25
|
13,235
|
33
|
0.25
|
92
|
-
|
0.00
|
88
|
-
|
0.00
|
30-39세
|
10,839
|
74
|
0.68
|
10,239
|
73
|
0.71
|
214
|
-
|
0.00
|
386
|
1
|
0.26
|
40-49세
|
11,572
|
188
|
1.62
|
11,024
|
186
|
1.69
|
433
|
2
|
0.46
|
115
|
-
|
0.00
|
50-59세
|
11,209
|
393
|
3.51
|
10,652
|
386
|
3.62
|
471
|
6
|
1.27
|
86
|
1
|
1.16
|
60-69세
|
6,063
|
364
|
6.00
|
4,465
|
304
|
6.81
|
1,565
|
60
|
3.83
|
33
|
-
|
0.00
|
70-79세
|
1,979
|
212
|
10.71
|
1,415
|
178
|
12.58
|
484
|
33
|
6.82
|
80
|
1
|
1.25
|
80세이상
|
762
|
148
|
19.42
|
522
|
129
|
24.71
|
138
|
13
|
9.42
|
102
|
6
|
5.88
|
전체(조율)
|
65,347
|
1,415
|
2.17
|
61,055
|
1,292
|
2.12
|
3,399
|
114
|
3.35
|
893
|
9
|
1.01
|
전체(표준화율)
|
Ref.
|
61,055
|
1,4621)
|
2.40
|
3,399
|
331)
|
0.97
|
893
|
31)
|
0.35
|
【백신 접종에 따른 연령별 사망자 수 및 치명률】
(‘21.7.24일 기준, 단위 : 명, %)
|
구분
|
전체
|
미접종자
(1차 접종 후 14일 미경과자 포함)
|
1차접종완료자
(14일 이상 경과자)
|
2차접종완료자
(14일 이상 경과자)
|
확진자
|
사망자
|
치명률
|
확진자
|
사망자
|
치명률
|
확진자
|
사망자
|
치명률
|
확진자
|
사망수
|
치명률
|
19세이하
|
9,508
|
0
|
0.00
|
9,503
|
0
|
0.00
|
2
|
0
|
0.00
|
3
|
0
|
0.00
|
20-29세
|
13,415
|
1
|
0.01
|
13,235
|
1
|
0.01
|
92
|
0
|
0.00
|
88
|
0
|
0.00
|
30-39세
|
10,839
|
3
|
0.03
|
10,239
|
3
|
0.03
|
214
|
0
|
0.00
|
386
|
0
|
0.00
|
40-49세
|
11,572
|
4
|
0.03
|
11,024
|
4
|
0.04
|
433
|
0
|
0.00
|
115
|
0
|
0.00
|
50-59세
|
11,209
|
27
|
0.24
|
10,652
|
27
|
0.25
|
471
|
0
|
0.00
|
86
|
0
|
0.00
|
60-69세
|
6,063
|
50
|
0.82
|
4,465
|
45
|
1.01
|
1,565
|
5
|
0.32
|
33
|
0
|
0.00
|
70-79세
|
1,979
|
51
|
2.58
|
1,415
|
45
|
3.18
|
484
|
6
|
1.24
|
80
|
0
|
0.00
|
80세이상
|
762
|
80
|
10.50
|
522
|
76
|
14.56
|
138
|
3
|
2.17
|
102
|
1
|
0.98
|
전체(조율)
|
65,347
|
216
|
0.33
|
61,055
|
201
|
0.33
|
3,399
|
14
|
0.41
|
893
|
1
|
0.11
|
전체(표준화율)
|
Ref.
|
61,055
|
2541)
|
0.42
|
3,399
|
31)
|
0.09
|
893
|
01)
|
0.01
|
1) 각 접종군에 따른 연령분포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확진자의 연령구성비를 기준으로 표준화한 기대 사망자 수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백신의 효과 평가 목적으로 실시 중인 백신 접종 후 ‘돌파감염 추정’ 사례 현황을 다음과 같이 밝혔다.
○ 누적 돌파감염 추정사례는 국내 접종완료자 740만 7,767명 중 0.035%(35.1명/10만 접종자)에 해당하는 2,599명으로(8월 18일 기준),
- (연령대별) 30대가 0.076%(76.0명/10만 접종자)로 발생률이 가장 높았고, 연령대가 증가함에 따라 돌파감염 발생률은 감소하였다.
- (백신종류별) 얀센 백신 접종자 중 발생률은 0.098%(97.8명/10만 접종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자 중 0.055%(55.0명/10만 접종자), 화이자 백신 접종자 중 0.018%(18.4명/10만 접종자) 순이며, 교차접종자* 중 발생률은 0.012%(11.8명/10만 접종자)이었다.
<붙임자료 참조> <(그림) * 교차접종자: 1차 접종과 2차 접종에 서로 다른 종류의 백신을 접종한 대상자>
【백신종류별/연령대별 10만 접종자당 돌파감염발생률】
- (변이현황) 변이바이러스 분석을 완료한 703명 중 74.8%(526명)에서 주요변이(델타형 498명, 알파형 26명, 베타형/감마형 각 1명)가 확인되었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에서 내려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0시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 ‘일일확진자’ > 다운로드(화살표선택) >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 시도별 발생동향 > 시도 선택 >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
<붙임>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2.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3.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현황
4. 18∼49세 사전예약 관련 Q&A
5. 알아두면 편리한 코로나19 백신 사전예약 꿀팁
6. 코로나19 예방접종 온라인 예약방법 안내(영문)
7.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 및 Q&A
8. 코로나19 백신 관련 심근염 및 심낭염 안내문
9.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포스터
10.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한 안내
11. 검사소 및 진료소 폭염 관련 안내 [일반국민 및 의료인력] Q&A
12. 폭염대비 코로나19 예방수칙(마스크 착용 시, 에어컨 사용 시)
13. 여름철 올바른 환기 방법 안내
14.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방법 안내
15. 코로나19 유증상자 적극 검사 시행 포스터
16.「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코로나19 예방접종 국민행동수칙
2.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 홍보자료
3. 변경된 실내·외 마스크 착용 지침
4.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개편 관련 홍보자료(국‧영문)
5.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6.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7. 가족 감염 최소화를 위한 방역수칙
8. 가족 중 의심환자 발생 시 행동요령 점검표
9.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10.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11.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2.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13.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4. 올바른 소독방법 카드뉴스 1, 2, 3편
15.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내 및 주의사항(환경부)
16. 코로나19 예방 손 씻기 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