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49세(청장년층) 예방접종 실시 안내(8.26., 정례브리핑)
- 예방접종 후 일주일 정도 고강도 운동 및 활동, 음주 삼가 -
◆ 18~49세 예방접종 현황
○ 현재까지 예약률 67.2%, 실제 인구대비 약 81.5% 접종 참여 전망
○ 아직 예약을 하지 않은 대상자는 9.18.(토) 18시까지 예약 가능
○ 추석 이후 날짜로 예약하신 대상 중 예약일을 당기고자 하는 경우 예약 취소 후 더 빠른 날짜로 조정 가능
◆ 18~49세 예방접종 실시 및 안전접종 안내
○ 오늘(8.26.)부터 전국 위탁의료기관과 예방접종센터에서 접종 실시
○ 예방접종 후 일주일 정도 고강도 운동 및 활동, 음주 삼가
○ 심근염/심낭염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히 의료기관 진료
|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8월 26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예방접종을 1회 이상 실시한 사람이 27,076,636명으로 전 국민의 52.7%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 이 중 접종완료자(얀센 백신 1회 접종자 포함)는 13,358,239명으로, 전 국민의 26.0%이다.
○ 연령대별 인구 대비 접종률은 1차 접종 기준으로 60대 92.5%, 70대 92.1%, 50대 83.8% 순으로 높았고, 18~49세 청장년층은 기존 우선접종 대상군 및 잔여백신 등을 통하여 이미 접종받은 대상이 약 35.6% 수준이다.
【연령대별 접종현황 (8.26. 0시 기준)】
구분
|
인구(명)*
|
1차 접종
|
접종 완료
|
1차접종자(명)
|
인구 대비 접종률(%)
|
접종완료자(명)
|
인구 대비 접종률(%)
|
계
|
51,349,116
|
27,076,636
|
52.7
|
13,358,239
|
26.0
|
연
령
|
80세 이상
|
2,255,736
|
1,851,524
|
82.1
|
1,769,287
|
78.4
|
70∼79
|
3,757,129
|
3,458,988
|
92.1
|
2,875,571
|
76.5
|
60∼69
|
7,140,703
|
6,603,008
|
92.5
|
3,301,954
|
46.2
|
50∼59
|
8,570,076
|
7,178,262
|
83.8
|
1,185,469
|
13.8
|
40∼49
|
8,109,221
|
2,804,698
|
34.6
|
1,286,222
|
15.9
|
30∼39
|
6,686,639
|
2,514,116
|
37.6
|
1,472,837
|
22.0
|
18∼29
|
7,619,756
|
2,650,759
|
34.8
|
1,454,205
|
19.1
|
12~17
|
2,768,836
|
15,281
|
0.6
|
12,694
|
0.5
|
* ’20.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거주자) 기준
※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
○ 18~49세 청장년층 중 사전예약 대상자의 예약률은 67.2%(총 1,510만 명 중 1,014만 명)이며, 이미 접종받았거나 다른 대상군으로 예약한 분들(814만 명)을 고려하면 현재까지 실제 인구(약 2241.5만 명) 대비 약 81.5%가 접종에 참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 한편, 아직까지 접종 예약을 하지 않으신 분들은 9월 18일(토) 18시까지 예약할 수 있다.
○ 당초 추석 이후 날짜로 예약하신 분들 중 예약 일정을 앞당기고자 하시는 분들은 예약 취소 후 다시 예약하여 더 빠른 날짜로 일정을 조정할 수 있다.
- 백신 배송을 위해 9월 둘째 주(9.6.~12.) 예약은 8월 26일 24시까지 실시하며, 8월 27일부터는 9월 셋째 주 이후(9.13.~10.2.) 예약 및 변경이 가능하다.
2. 18-49세 예방접종 실시 및 안전접종 안내
|
□ 18~49세 연령층 예방접종이 오늘(8.26.)부터 전국 위탁의료기관과 예방접종센터에서 실시된다.
○ 8월 26일(목)부터 9월 5일(일)까지의 예약자는 지역과 관계없이 화이자 백신으로 접종받게 되며, 대상자별 백신 종류는 백신 공급 상황에 따라 주 단위로 순차적으로 개별 안내할 예정이다.
* 8.26.∼29. 예약자에 대해서는 백신 종류가 문자 안내되었으며, 8.30.∼9.5. 예약자에 대해서는 오늘 중 문자 안내 예정
○ 다만, 백신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당일 접종기관 상황에 따라 안내된 것과 다른 종류의 mRNA 백신으로 변경될 수 있다.
□ 추진단은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해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발생할 수 있는 이상반응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모든 접종 완료자는 예방접종 후 15~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러 이상반응 발생 여부를 관찰하고, 귀가 후에도 적어도 3시간 이상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하며, 접종 후 최소 3일간은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고, 고열이 있거나 평소와 다른 신체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의사 진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
- 특히, 다음과 같은 중증 알레르기 반응(아나필락시스)이 나타나면 즉시 119로 연락하거나 가까운 응급실로 내원해야 한다.
【아나필락시스 의심증상】
|
• 피부가 전신적으로 붉어지거나
• 두드러기가 생김
• 숨이 차고 쌕쌕거림
• 혀가 부음
• 목이 붓고 조이는 것 같음
|
• 말하기 힘들고 목소리가 잠김
• 쌕쌕거리거나 기침을 계속 함
• 계속 어지럽거나 의식이 없음
• 창백하거나 늘어짐
|
○ 화이자, 모더나 백신은 접종 후 심근염/심낭염 이상반응이 드물게 발생할 수 있어,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일주일 정도 고강도 운동 및 활동, 음주를 삼가하고, 가슴통증, 호흡곤란 등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히 의료기관 진료를 받을 것을 당부했다.
【심근염 및 심낭염 의심증상】
◈ 예방접종 후 아래와 같은 증상이 새롭게 발생하거나 악화되어 지속되는 경우
① 가슴 통증, 압박감, 불편감
② 호흡곤란 또는 숨가쁨, 호흡시 통증
③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두근거림
④ 실신
|
□청장년층(20~49세)의 코로나19 발생현황은 ‘21.8.26. 기준으로 총 119,509명 확진(전체 확진자의 49.1%)이며, 연령군별로는 20대 44,375명(18.2%, 인구 10만 명당 652명), 30대 36,478명(14.9%, 인구 10만 명당 531명), 40대 38,656명(15.89%, 인구 10만 명당 466명)이다.
< 연령대별 확진자 현황(8.26. 0시 기준) >
연령대
|
확진자 누계(명)
|
(%)
|
인구10만 명당 발생률(명)*
|
계
|
243,317
|
100
|
469
|
80세 이상
|
6,708
|
2.76
|
335
|
70-79세
|
12,211
|
5.02
|
330
|
60-69세
|
29,289
|
12.04
|
434
|
50-59세
|
42,632
|
17.52
|
493
|
40-49세
|
38,656
|
15.89
|
466
|
30-39세
|
36,478
|
14.99
|
531
|
20-29세
|
44,375
|
18.24
|
652
|
10-19세
|
20,425
|
8.39
|
426
|
0-9세
|
12,543
|
5.16
|
316
|
○ 청장년층(20~49세)의 사망자 발생현황은 ‘21.8.26. 기준으로 총 41명(전체 사망자의 1.8%)이며, 연령군별로는 20대 8명(치명률 0.02%), 30대 11명(0.03%), 40대 22명(0.06%)이다.
< 연령대별 사망자 현황(8.26. 0시 기준) >
연령대
|
사망자 누계(명)
|
(%)
|
치명률(%)
|
계
|
2,257
|
100
|
0.93
|
80세 이상
|
1,175
|
52.06
|
17.52
|
70-79세
|
627
|
27.78
|
5.13
|
60-69세
|
300
|
13.29
|
1.02
|
50-59세
|
114
|
5.05
|
0.27
|
40-49세
|
22
|
0.97
|
0.06
|
30-39세
|
11
|
0.49
|
0.03
|
20-29세
|
8
|
0.35
|
0.02
|
10-19세
|
0
|
0.00
|
0.00
|
0-9세
|
0
|
0.00
|
0.00
|
○ 청장년층(20~49세)의 위중증 환자 발생현황은 ‘21.8.26. 기준으로 총 719명(전체 위중증 환자의 12.77%)이며, 연령군별로는 20대 67명(위중증률 0.15%), 30대 193명(0.53%), 40대 459명(1.19%)이다.
< 연령대별 위중증 환자 현황(8.26. 0시 기준) >
연령대
|
위중증 환자 누계(명)
|
(%)
|
위중증률(%)
|
계
|
5,630
|
100
|
2.31
|
80세 이상
|
1,000
|
17.76
|
14.91
|
70-79세
|
1,398
|
24.83
|
11.45
|
60-69세
|
1,429
|
25.38
|
4.88
|
50-59세
|
1,078
|
19.15
|
2.53
|
40-49세
|
459
|
8.15
|
1.19
|
30-39세
|
193
|
3.43
|
0.53
|
20-29세
|
67
|
1.19
|
0.15
|
10-19세
|
5
|
0.09
|
0.02
|
0-9세
|
1
|
0.02
|
0.01
|
□최근 7주간(7.4~8.21) 코로나19 국내 발생 환자를 분석한 결과, 20~40대 연령군의 환자발생 비중(8월3주 55.8%, 6,832명)이 가장 높았으며, 일평균 발생률(8월3주 인구10만 명당 4.4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 20~40대 일평균 발생률 : (7월2주) 2.7명 → (7월5주) 3.7명 → (8월3주) 4.4명
< 최근 7주간 연령별 발생률(8.21. 0시 기준) >
구분
|
계(%)
|
19세 이하
|
20-40대
|
50-60대
|
70세 이상
|
7월 2주
(7.4.~7.10.)
|
환자수
|
6,945(100.0%)
|
1,001(14.4%)
|
4,196(60.4%)
|
1,584(22.8%)
|
164(2.4%)
|
일평균발생률
|
1.9
|
1.6
|
2.7
|
1.5
|
0.4
|
7월 3주
(7.11.~7.17.)
|
환자수
|
9,435(100.0%)
|
1,458(15.4%)
|
5,685(60.3%)
|
2,105(22.3%)
|
187(2.0%)
|
일평균발생률
|
2.6
|
2.4
|
3.7
|
2.0
|
0.5
|
7월 4주
(7.18.~7.24.)
|
환자수
|
10,253(100.0%)
|
1,834(17.9%)
|
5,747(56.1%)
|
2,402(23.4%)
|
270(2.6%)
|
일평균발생률
|
2.8
|
3.0
|
3.7
|
2.2
|
0.7
|
7월 5주
(7.25.~7.31.)
|
환자수
|
10,540(100.0%)
|
1,929(18.3%)
|
5,762(54.7%)
|
2,529(24.0%)
|
320(3.0%)
|
일평균발생률
|
2.9
|
3.1
|
3.7
|
2.3
|
0.8
|
8월 1주
(8.1.~8.7.)
|
환자수
|
10,468(100.0%)
|
1,883(18.0%)
|
5,532(52.9%)
|
2,643(25.2%)
|
410(3.9%)
|
일평균발생률
|
2.9
|
3.1
|
3.6
|
2.5
|
1.0
|
8월 2주
(8.8.~8.14.)
|
환자수
|
12,460(100.0%)
|
2,135(17.1%)
|
6,834(54.9%)
|
3,013(24.2%)
|
478(3.8%)
|
일평균발생률
|
3.4
|
3.5
|
4.4
|
2.8
|
1.2
|
8월 3주
(8.15.~8.21.)
|
환자수
|
12,257(100.0%)
|
2,051(16.7%)
|
6,832(55.8%)
|
2,882(23.5%)
|
492(4.0%)
|
일평균발생률
|
3.4
|
3.3
|
4.4
|
2.7
|
1.2
|
*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 = (확진자수)/(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20.12월 기준) × 100,000(명)
<최근 7주간(‘21.7.4.~8.21.) 연령별 발생률 추이 그림 붙임 참조>
○ (감염경로) 20~40대 연령군에서 가족·지인·직장 등 개인 간 접촉감염으로 인한 ‘확진자 접촉’ 비중은 지속적으로 40% 이상이며, 조사 중 비율(33.9%)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20~40대 확진자 접촉 비중 :(7월2주) 40.1%(1,800명) → (7월5주) 43.4%(2,632명) → (8월3주) 47.6%(3,363명)
- 8월3주의 경우, 지역 집단발생(15.1%, 1,067명) 중 사업장 관련(6.8%, 478명), 기타다중이용시설* 관련(5.7%, 405명) 순으로 감염경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 기타다중이용시설 관련: 체육시설, 유흥시설, 일반음식점/카페, 노래연습장, 교육시설 등
< 최근 7주간 20대~40대 주요 감염경로(’21.7.4.~8.21.)>
구 분
|
7월 2주
(7.4.~7.10.)
|
7월 3주
(7.11.~7.17.)
|
7월 4주
(7.18.~7.24.)
|
7월 5주
(7.25.~7.31)
|
8월 1주
(8.1.~8.7.)
|
8월 2주
(8.8.~8.14.)
|
8월 3주
(8.15.~8.21.)
|
전체(명, %)
|
4,485
|
(100)
|
5,919
|
(100)
|
6,246
|
(100)
|
6,063
|
(100)
|
5,806
|
(100)
|
7,119
|
(100)
|
7,065
|
(100)
|
지역집단발생
|
902
|
(20.1)
|
1,405
|
(23.7)
|
1,504
|
(24.1)
|
1,469
|
(24.2)
|
1,313
|
(22.6)
|
1,319
|
(18.5)
|
1,067
|
(15.1)
|
사업장관련
|
148
|
(3.3)
|
339
|
(5.7)
|
391
|
(6.3)
|
500
|
(8.2)
|
415
|
(7.1)
|
414
|
(5.8)
|
478
|
(6.8)
|
가족·지인모임관련
|
50
|
(1.1)
|
73
|
(1.2)
|
140
|
(2.2)
|
139
|
(2.3)
|
123
|
(2.1)
|
114
|
(1.6)
|
89
|
(1.3)
|
종교시설관련
|
17
|
(0.4)
|
30
|
(0.5)
|
14
|
(0.2)
|
16
|
(0.3)
|
101
|
(1.7)
|
93
|
(1.3)
|
53
|
(0.8)
|
요양병원·시설관련
|
0
|
(0.0)
|
10
|
(0.2)
|
7
|
(0.1)
|
0
|
(0.0)
|
2
|
(0.0)
|
10
|
(0.1)
|
11
|
(0.2)
|
의료기관관련
|
16
|
(0.4)
|
10
|
(0.2)
|
19
|
(0.3)
|
35
|
(0.6)
|
28
|
(0.5)
|
17
|
(0.2)
|
21
|
(0.3)
|
교정시설관련
|
0
|
(0.0)
|
0
|
(0.0)
|
1
|
(0.0)
|
1
|
(0.0)
|
0
|
(0.0)
|
0
|
(0.0)
|
0
|
(0.0)
|
군부대관련
|
100
|
(2.2)
|
74
|
(1.3)
|
32
|
(0.5)
|
4
|
(0.1)
|
13
|
(0.2)
|
9
|
(0.1)
|
10
|
(0.1)
|
기타다중이용시설관련*
|
571
|
(12.7)
|
869
|
(14.7)
|
900
|
(14.4)
|
774
|
(12.8)
|
631
|
(10.9)
|
662
|
(9.3)
|
405
|
(5.7)
|
확진자접촉
|
1,800
|
(40.1)
|
2,425
|
(41.0)
|
2,457
|
(39.3)
|
2,632
|
(43.4)
|
2,661
|
(45.8)
|
3,220
|
(45.2)
|
3,363
|
(47.6)
|
해외유입
|
289
|
(6.4)
|
234
|
(4.0)
|
499
|
(8.0)
|
301
|
(5.0)
|
274
|
(4.7)
|
285
|
(4.0)
|
233
|
(3.3)
|
해외유입관련
|
5
|
(0.1)
|
2
|
(0.0)
|
2
|
(0.0)
|
4
|
(0.1)
|
8
|
(0.1)
|
2
|
(0.0)
|
4
|
(0.1)
|
감염경로조사중
|
1,489
|
(33.2)
|
1,853
|
(31.3)
|
1,784
|
(28.6)
|
1,657
|
(27.3)
|
1,550
|
(26.7)
|
2,293
|
(32.2)
|
2,398
|
(33.9)
|
※ 추후 역학조사 결과에 따라 감염경로 세부사항은 변동될 수 있음
○ (위중증) 최근 7주간(7.4~8.21) 20~40대 위중증 환자는 417명(위중중률 1.0%)이었으며, 위중중 환자 중 미접종자가 412명(98.8%)으로 대부분이었으며, 1차 접종자는 4명(1.0%), 접종완료자는 1명(0.2%) 이었다.
< 최근 7주간 20대~40대 위중증 환자의 백신접종력(’21.7.4.~8.21.)>
구 분
|
확진환자
|
위중증환자
(위중증률 %)
|
미접종자
(1차 접종 후 14일 미경과자 포함)
|
1차접종자
(14일 이상 경과자)
|
접종완료자
(14일 이상 경과자)
|
합계
|
42,702
|
417(1.0%)
|
412(98.8%)
|
4(1.0%)
|
1(0.2%)
|
20-29세
|
17,655
|
44(0.2%)
|
44(10.6%)
|
0(0.0%)
|
0(0.0%)
|
30-39세
|
12,501
|
110(0.9%)
|
109(26.1%)
|
0(0.0%)
|
1(0.2%)
|
40-49세
|
12,546
|
263(2.1%)
|
259(62.1%)
|
4(1.0%)
|
0(0.0%)
|
○ (사망) 최근 7주간(7.4~8.21) 코로나19 사망자로 보고된 177명 중 20~40대 사망자는 13명(7.3%)이었으며, 이 중 10명은 기저질환이 있었으며, 주요 기저질환은 악성신생물(4명), 순환기계 질환(4명), 내분비계·대사성 질환(4명) 등이었다.
* 20~40대 사망자(13명) 연령 : 20대 5명, 30대 3명, 40대 5명
□ 18-49세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따른 감염 및 중증 예방효과는 다음과 같다.
◇ 분석대상 : 접종완료자 발생 시작(‘21.4.3.)부터 ‘21.8.14.까지 18-49세 확진자 총 66,489명
ㆍ(위중증) 코로나19 감염자 중 추적관찰기간(28일) 내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의 치료를 받았던 사례
ㆍ(사망) 코로나19 감염자 중 추적관찰기간(28일) 내 사망한 사례
ㆍ(불완전접종군) 코로나19 1차 접종~2차접종 후 14일 미만 경과자
ㆍ(접종완료군) 코로나19 백신별 권장접종횟수 접종 후 14일 이상 경과자
|
○ 접종완료자 발생 시작 시점인 4월 3일부터 8월 14일까지 해당 연령대 확진자의 예방접종력을 분류한 결과 18~49세 확진자 중 93.7%가 미접종자, 4.2%가 불완전접종자, 2.1%가 완전접종자였다.
- 연령대별로는 18-29세의 96.3%, 30-39세의 91.4%, 40-49세의 92.4%가 미접종자였다.
【백신 접종력에 따른 18-49세 확진자수】
(‘21.8.14일 기준, 단위 : 명, %)
|
연령대
|
확진자수
|
예방접종력
|
미접종
|
불완전접종
|
접종완료
|
명
|
%
|
명
|
%
|
명
|
%
|
계
|
66,489
|
62,310
|
93.7%
|
2,808
|
4.2%
|
1,371
|
2.1%
|
18-29세
|
27,172
|
26,174
|
96.3%
|
816
|
3.0%
|
182
|
0.7%
|
30-39세
|
19,256
|
17,601
|
91.4%
|
787
|
4.1%
|
868
|
4.5%
|
40-49세
|
20,061
|
18,535
|
92.4%
|
1,205
|
6.0%
|
321
|
1.6%
|
○ 예방접종에 따른 위중증 및 사망 예방효과 평가를 위해 5월 1일 이후 18-49세 확진자 3만 5,826명을 대상으로 확진 이후 28일 이내 위중증 및 사망 여부를 추적 관찰하여 비교한 결과,
ㆍ분석대상 : ’21년 5.1.∼7.24. 18-49세 확진자 35,826명 (확진 후 28일 관찰기간 경과자)
ㆍ중증화율 : (위중증자 및 사망자 수)/확진자 수 x 100 (%)
|
- (중증예방효과) 미접종자 중 중증화수*는 292명(중증화율 0.85%)인 반면, 접종완료자 중 중증화수*는 1명(중증화율은 0.17%)이었다.
* (중증화수) 위중증자 및 사망자 수
- (사망예방효과) 미접종자 중 사망자는 8명(치명률 0.02%)인 반면, 접종완료자 중 사망자는 없었다.
【백신 접종에 따른 18-49세 확진자의 중증화수 및 중증화율】
(‘21.8.14일 기준, 단위 : 명, %)
|
연령대
|
전체
|
미접종자
(1차 접종 후 14일 미경과자 포함)
|
1차접종자
(14일 이상 경과자)
|
접종완료자
(14일 이상 경과자)
|
확진자
(명)
|
중증화수
(명)
|
중증화율
(%)
|
확진자
(명)
|
중증화수
(명)
|
중증화율
(%)
|
확진자
(명)
|
중증화수
(명)
|
중증화율
(%)
|
확진자
(명)
|
중증화수
(명)
|
중증화율
(%)
|
계
|
35,826
|
295
|
0.82
|
34,498
|
292
|
0.85
|
739
|
2
|
0.27
|
589
|
1
|
0.17
|
18-29세
|
13,415
|
33
|
0.25
|
13,235
|
33
|
0.25
|
92
|
0
|
0.00
|
88
|
0
|
0.00
|
30-39세
|
10,839
|
74
|
0.68
|
10,239
|
73
|
0.71
|
214
|
0
|
0.00
|
386
|
1
|
0.26
|
40-49세
|
11,572
|
188
|
1.62
|
11,024
|
186
|
1.69
|
433
|
2
|
0.46
|
115
|
0
|
0.00
|
【백신 접종에 따른 18-49세 확진자의 사망자수 및 치명률】
(‘21.8.14일 기준, 단위 : 명, %)
|
연령대
|
전체
|
미접종자
(1차 접종 후 14일 미경과자 포함)
|
1차접종자
(14일 이상 경과자)
|
접종완료자
(14일 이상 경과자)
|
확진자
(명)
|
사망자
(명)
|
치명률
(%)
|
확진자
(명)
|
사망자
(명)
|
치명률
(%)
|
확진자
(명)
|
사망자
(명)
|
치명률
(%)
|
확진자
(명)
|
사망자
(명)
|
치명률
(%)
|
계
|
35,826
|
8
|
0.02
|
34,498
|
8
|
0.02
|
739
|
0
|
0
|
589
|
0
|
0
|
18-29세
|
13,415
|
1
|
0.01
|
13,235
|
1
|
0.01
|
92
|
0
|
0
|
88
|
0
|
0
|
30-39세
|
10,839
|
3
|
0.03
|
10,239
|
3
|
0.03
|
214
|
0
|
0
|
386
|
0
|
0
|
40-49세
|
11,572
|
4
|
0.03
|
11,024
|
4
|
0.04
|
433
|
0
|
0
|
115
|
0
|
0
|
5. 청장년층 접종 후 이상반응 현황(8.22. 0시 기준)
|
□ 코로나19 백신은 18-49세 대상 10,587,295건이 접종되었고, 이상반응 의심사례는 55,920건이 신고되어 신고율은 0.53%(1차 0.57%, 2차 0.42%)이었다.
○ 신고 사례 중 97.0%(54,224건)는 근육통, 두통 등 일반 이상반응이고, 3.0%는 중대한 이상반응이었으며,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중대한 이상반응 비율은 증가했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일반이상반응 신고율 그림 붙임 참조]
○ 18-49세에서 신고된 주요 이상반응 중 심의한 사례는 총 432건(사망 17건, 중증 69건, 아나필락시스 346건)이었으며, 이중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이 인정된 사례는 129건(사망 2건, 중증 4건, 아나필락시스 123건)이었다.
구분
|
접종 백신
|
추정진단
|
사망
(2건)
|
화이자
|
급성심근염⑴
|
아스트라제네카
|
혈소판감소성혈전증⑴
|
중증
(4건)
|
화이자
|
급성심낭염⑴
|
아스트라제네카
|
혈소판감소성혈전증⑴, 뇌정맥동혈전증⑴,
열성경련⑴
|
아나필락시스
(123건)
|
화이자
|
63건
|
아스트라제네카
|
39건
|
얀센
|
18건
|
모더나
|
3건
|
- 또한 인과성 근거가 불명확한 사례는 13건(사망 1건, 중증 12건)이었다.
* 인과성 근거가 불분명한 사례의 경우 향후 근거가 확보되는 시점에서 재평가할 예정이며, 1천만 원 이내의 중증 이상반응 의료비를 지원하고 있음
구분
|
접종 백신
|
추정진단
|
중증
(12건)
|
화이자
|
급성심근염(4)
|
아스트라제네카
|
길랑-바레증후군(1), 전신염증반응증후군(1), 급성파종성뇌척수염(1), 염증성근육병증(1), 심부정맥혈전증(1)
|
교차접종
|
급성심근염(1)
|
얀센
|
길랑-바레증후군(2)
|
사망
(1건)
|
얀센
|
모세혈관누출증후군(1)
|
□ 코로나19백신 이상반응 신고현황은 mRNA 백신의 경우 1차 접종 후 신고율 0.28%(화이자 0.27%, 모더나 0.30%), 2차 접종 후 신고율 0.38%(화이자 0.36%, 모더나 2.0%)이었으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경우 1차 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율 0.71%, 2차 접종 후 신고율 0.12%이었다.
* (총 접종건수, 8.21일 기준) 화이자백신 18,166,856건, 모더나백신 2,343,396건, 아스트라제네카백신 14,659,668건
[화이자 백신 접종 차수별 이상반응 신고현황 (2.26-8.21)]
접종차수
|
이상반응 신고율(%)
|
전체
|
18-29세
|
30-49세
|
50-74세
|
75세 이상
|
1차
|
0.27
|
0.35
|
0.35
|
0.21
|
0.24
|
2차
|
0.36
|
0.44
|
0.38
|
0.37
|
0.32
|
<관련 그림 붙임 참조>
[모더나 백신 접종 차수별 이상반응 신고현황 (2.26-8.21)]
접종차수
|
이상반응 신고율(%)
|
전체
|
18-29세
|
30-49세
|
50-74세
|
75세 이상
|
1차
|
0.30
|
0.54
|
0.39
|
0.26
|
0.00
|
2차
|
2.00
|
1.99
|
2.03
|
1.88
|
0.00
|
<관련 그림 붙임 참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차수별 이상반응 신고현황 (2.26-8.21)]
접종차수
|
이상반응 신고율(%)
|
전체
|
18-29세
|
30-49세
|
50-74세
|
75세 이상
|
1차
|
0.71
|
3.33
|
0.94
|
0.65
|
0.17
|
2차
|
0.12
|
0.34
|
0.28
|
0.10
|
0.09
|
<관련 그림 붙임 참조>
□ 오늘(8.26), 코백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83.5만 회분이 인천공항에 도착*한다.
* 편명: KE0510, 도착시간 8.26(목) 16:00
○ 이로써 7월 1일부터 8월 26일까지 2,773만 회분의 백신이 공급되었으며 누적 4,635만 회분의 백신이 공급되었다.
○ 또한, 내일(8.27) 개별 계약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04.6만 회분이 안동공장에서 출고될 예정이다.
- 안정적인 백신 공급을 위해 지속적으로 제약사와 긴밀히 협의해 나갈 예정이며, 구체적인 공급 일정은 제약사와 협의 되는대로 신속하게 안내할 계획이다.
【 ’21년 백신 도입 현황 및 계획 (’21.8.26. 기준, 단위: 회분) 】
백신 종류
|
도입 확정
|
도입 완료
|
도입 예정
|
계
|
상반기
|
7.1~8.26
|
8.27~9.5
|
9.6~9.30
|
4분기
|
계
|
1억 9,340만
|
4,635만
|
1,862만
|
2,773만
|
약 1,090만
|
약 4,200만
(협의중)
|
약 9천만
|
아스트라제네카
|
2,000만
|
1,776.2만
|
881.4만
|
894.8만
|
약 490만
(8.27 AZ 104.6만)
|
|
|
화이자
|
6,600만
|
2,108.6만
|
700.2만
|
1,408.3만
|
모더나
|
4,000만
|
347.2만
|
11.2만
|
336.1만
|
600만
|
얀센
|
740만
|
151.4만
|
101.3만
|
50.1만
|
(협의중)
|
노바백스
|
4,000만
|
-
|
-
|
-
|
-
|
코백스
|
아스트라
제네카
|
2,000만
|
210.2만
|
126.7만
|
83.5만
|
-
|
화이자
|
41.4만
|
41.4만
|
-
|
-
|
|
|
|
|
제약사와 공급 일정 협의 중이거나 일정 공개 협의 중(노바백스 백신은 허가 일정 고려)
|
|
|
|
|
|
|
|
|
|
|
|
|
|
|
|
|
|
|
|
|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에서 내려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0시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 ‘일일확진자’ ▶ 다운로드(화살표선택) ▶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 시도별 발생동향 ▶ 시도 선택 ▶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
<붙임>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2.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3. 국내외 이상반응 발생 현황 비교
4. 코로나19 예방접종 전 꼭 알아야 할 5가지
5. 18∼49세 사전예약 관련 Q&A
6. 알아두면 편리한 코로나19 백신 사전예약 꿀팁
7. 코로나19 예방접종 온라인 예약방법 안내(영문)
8.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 및 Q&A
9. 코로나19 백신 관련 심근염 및 심낭염 안내문
10.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포스터
11.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한 안내
12. 검사소 및 진료소 폭염 관련 안내 [일반국민 및 의료인력] Q&A
13. 폭염대비 코로나19 예방수칙(마스크 착용 시, 에어컨 사용 시)
14. 여름철 올바른 환기 방법 안내
15.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방법 안내
16. 코로나19 유증상자 적극 검사 시행 포스터
17.「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코로나19 예방접종 국민행동수칙
2.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 홍보자료
3. 변경된 실내·외 마스크 착용 지침
4.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개편 관련 홍보자료(국‧영문)
5.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6.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7. 가족 감염 최소화를 위한 방역수칙
8. 가족 중 의심환자 발생 시 행동요령 점검표
9.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10.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11.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2.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13.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4. 올바른 소독방법 카드뉴스 1, 2, 3편
15.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내 및 주의사항(환경부)
16. 코로나19 예방 손 씻기 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