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코로나19 신규 발생 소폭 감소(9.2., 정례브리핑) ※ 5쪽 예방접종피해조사반 평가 건수 일부 수정(16:10)
- 독일, 일본, 베트남 발생 증가 지속, 우리나라는 주요국 대비 발생 낮아 -
◆ 백신 도입 현황 및 계획
○ 9월 2일, 화이자 백신(루마니아) 52.65만 회분, 개별 계약 모더나 백신 102.1만 회분 도입, 누적 5,282만 회분 도입 완료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백혈병 관련 안내
○ 코로나19 백신이 급성백혈병을 유발 또는 촉발한다는 근거 없어
○ 미국, 유럽 등에서도 백신과 급성백혈병의 인과성은 입증되지 않음
◆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결과
○ 피해보상 신청 사례 총 551건 중 193건(35.0%)에 대해 보상 결정
○ 인과성 근거 불충분으로 제외된 중증 환자는 1인당 1천만 원까지 의료비 지원
◆ 코로나19 국외 발생동향 및 예방접종 현황
○ 독일, 일본, 베트남에서 지속 증가 양상
○ 국내 발생률, 사망률 모두 주요 국가 대비 낮은 수준 유지 중
|
□ 9월 2일(목)에 화이자 백신(루마니아 구매) 52.65만 회분과 개별 계약된 모더나 백신 102.1만 회분이 인천공항에 도착 예정이다.
* 화이자 백신 편명: DB2005, 도착시간 9.2(목) 15:00
* 모더나 백신 편명: KE262, 도착시간 9.2(목) 16:25
○ 이로써 오늘 도입되는 모더나 백신과 화이자 백신을 포함하여 9월 1일부터 9월 2일까지 423만 회분의 백신이 공급되며, 누적 5,282만 회분의 백신이 공급된다.
○ 안정적인 백신 공급을 위해 지속적으로 제약사와 긴밀히 협의해 나갈 예정이며, 구체적인 공급 일정은 제약사와 협의 되는대로 신속하게 안내할 계획이다.
【 ’21년 백신 도입 현황 및 계획 (’21.9.2. 기준, 단위: 회분) 】
백신 종류
|
도입 확정
|
도입 완료
|
도입 예정
|
계
|
상반기
|
7~8월
|
9.1~9.2
|
9.3~9.30
|
4분기
|
계
|
1억 9,490만
|
5,282만
|
1,862만
|
2,997만
|
423만
|
약 4,700만
(협의중)
|
약 9천만
|
아스트라제네카
|
2,000만
|
2,000만
|
881.4만
|
1,118.6만
|
|
|
|
화이자
|
6,705만*
|
2,429.4만
|
700.2만
|
1,408.3만
|
320.8만
|
모더나
|
4,045만*
|
449.3만
|
11.2만
|
336.1만
|
102.1만
|
얀센
|
740만
|
151.4만
|
101.3만
|
50.1만
|
|
노바백스
|
4,000만
|
-
|
-
|
-
|
|
코백스
|
아스트라
제네카
|
2,000만
|
210.2만
|
126.7만
|
83.5만
|
|
화이자
|
41.4만
|
41.4만
|
-
|
|
|
|
|
|
제약사와 공급 일정 협의 중이거나 일정 공개 협의 중(노바백스 백신은 허가 일정 고려)
|
|
|
|
|
|
|
|
|
|
|
|
|
|
|
|
|
|
|
|
|
*
|
루마니아와의 백신 협력을 통한 도입 물량 포함(화이자 105.3만 회분, 모더나 45만 회분)
|
- 한-루 백신 협력으로 구매한 화이자 백신 루마니아 출발(9.1)* 관련 사진 붙임 참조-
* 현지시각 9.1일 22:30분 (사진 출처: 주루마니아대사관)
2.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백혈병 관련 안내
|
□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 대한혈액학회(이사장 이제환) 자문 등을 통해, 현재까지 코로나19 백신이 백혈병을 유발 또는 촉발한다는 근거는 없음을 설명하였다.
○ 대한혈액학회는 ①접종 후 단기간 내 백혈병 발생은 기존의 이론과 일치하지 않으며*, ②코로나19 백신 또는 인플루엔자 백신 등 기존 백신과 백혈병의 인과성은 현재까지 보고된 바 없다고 밝혔다.
* 약물(항암제)로 인한 백혈병은 수년 이후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아울러, 국가 암등록 통계에 따르면 국내에서는 매년 약 3,500여명의 환자가 새롭게 백혈병 진단을 받고 있고, 60세 이후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백혈병 발생에 대한 우려는 불필요하므로, 개인의 건강상태를 고려하여 코로나19 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권고하였다.
□ 또한,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 이하‘식약처’)는 급성백혈병 관련 국내 이상반응 보고건수는 매우 미미한 수준이고, 현재까지 미국, 유럽 등에서도 백신과의 인과성은 입증되지 않았다고 설명하며,
○ 국내 이상반응 사례 및 해외 조치사항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고 필요 시 안전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추진단은 향후에도 관련 학회 및 식약처와 함께 국외 최신동향 등을 면밀히 검토하고, 국내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감시를 지속하면서 코로나19 백신 안전성 검토 및 정보 공유를 지속할 예정이다.
3. 예방접종 피해조사반의 이상반응 사례평가 결과 분석 (~8.27.)
|
□ 예방접종피해조사반(반장 김중곤 교수)은 현재까지 총 28차례 회의를 개최하여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발생한 이상반응 신고사례에 대한 인과성을 평가하였다.
○ 신고사례 총 1,983건(사망 579건, 중증 781건, 아나필락시스 623건) 중 229건(사망 2건, 중증 5건, 아나필락시스 222건)이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이 인정되었고, 31건(사망 3건, 중증 28건)은 근거가 불충분한 사례*로 평가하였다.
* 근거가 불충분한 사례의 경우 향후 근거가 확보되는 시점에서 재평가할 예정이며, 1천만 원 이내의 중증 이상반응 의료비를 지원하고 있음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조사반의 이상반응 사례 평가결과(8.27. 기준)>
구분*
|
누적사례수
|
인과성 평가 결과
|
인정
|
불충분
|
불인정
|
보류
|
합계
|
1,983(+150)
|
229(+17)
|
31(+6)
|
1,710(+127)
|
13
|
사망
|
579(+43)
|
21)
|
3(+1)
|
563(+40)
|
11(+2)
|
중증
|
781(+44)
|
52)
|
28(+5)
|
746(+41)
|
2(-2)
|
아나필락시스3)
|
623(+63)
|
222(+17)
|
0
|
401(+46)
|
0
|
*피해조사반 평가 시점 기준으로 분류
1) 혈소판감소성혈전증 1례(아스트라제네카), 급성심근염 1례(화이자)
2) 혈소판감소성혈전증 2례(아스트라제네카), 뇌정맥동혈전증 1례(아스트라제네카), 발열 후 경련으로 인한 혈압저하 1례(아스트라제네카), 급성심낭염 1례(화이자)
3) 아나필락시스 심의 사례 中 중증 아나필락시스는 14건(인과성 인정 11건·불인정 3건)
|
□ 예방접종피해조사반 제28차 회의(8.27.)에서는 신규 87건 및 재심의 5건을 포함하여 총 155건(사망 46건, 중증 46건, 아나필락시스 63건)을 평가하였다.
○ 아나필락시스 17건에 대해 인과성이 인정되었고, 사망 1건(심근심낭염 1건) 및 중증 5건(길랑-바레증후군 1건, 혈소판감소증 2건, 급성심근염 2건)은 근거가 불충분한 사례로 평가하였다.
○ 그 외 사망 및 중증 82건, 아나필락시스 46건에 대해서는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이 인정되지 않았고, 사망 4건은 재평가하기로 하였다.
□ 예방접종피해조사반 제28차 회의(8.27.)에 제출된 신규 사망 및 중증 이상반응 사례를 분석한 결과,
○ 신규 사망 신고사례 43건의 평균 연령은 76.6세(범위 21~103세)였고, 이 중 38건(90%)에서 기저질환*이 있었으며, 접종한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21건), 화이자(18건), 얀센(1건), 모더나(2건) 및 교차접종(1건)였다.
* 고혈압, 뇌졸중, 당뇨, 고지혈증, 허혈심장질환 등
○ 신규 중증 신고사례 44건의 평균 연령은 70.9세(범위 17-99세)였고, 이 중 35명(79%)에서 기저질환이 있었으며, 접종 후부터 증상 발생까지 평균 소요기간은 2.4일(범위: 직후∼74일), 접종한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21건), 화이자(20건), 모더나(2건), 교차접종(1건)이었다.
4. 제8차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결과
|
□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위원장: 김중곤)는 8월 31일 제8차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이하 “보상위원회”)를 열고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피해보상 신청된 사례 총 551건을 심의하였다.
* 임상의사, 법의학자, 감염병·면역학·미생물학 전문가, 변호사 및 시민단체가 추천한 전문가 등 15명 등으로 구성
○ 의무기록 및 역학조사 등을 바탕으로 기저질환 및 과거력·가족력, 접종 후 이상반응까지의 임상경과 등을 종합적으로 심의한 결과,
- 예방접종 후 발열, 두통, 근육통, 어지럼증, 알레르기 반응 등의 이상반응으로 치료를 받은 사례 등 총 193건(35.0%)에 대해 보상 결정하였다.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기각 사례】
▵ (사례1) 예방접종과 이상반응과의 시간적 개연성이 떨어짐(접종 18일 후 팔다리 저림, 12일 후 어지럼증, 9일 후 근육통, 5일 후 두드러기 발생 등)
▵ (사례2) 백신보다는 기저 질환과 전신상태(대동맥박리, 뇌부종, 뇌출혈, 폐렴, 심근경색, 폐색전증, 담낭염에 의한 패혈증, 당뇨환자로 저혈당에 의한 실신 등)로 인하여 발생한 증상
▵ (사례3) 면역저하 등 다른 원인에 의한 발생 가능성이 높음(2개월간 지속되는 전신피부발진, 1개월 지속되는 발열과 두통, 2주간 지속되는 어지러움 등)
|
○ 전체 예방접종 43,823,599 건 중 이상반응으로 의심되어 신고된 사례는 총 180,677건이었고(9.1. 0시 기준), 이 중 의료기관을 방문할 정도의 이상반응으로서 피해보상을 신청하여 보상위원회에서 제8차까지 심의한 건수는 총 2,851건(1.6%)이었으며 이 중에서 1,544건(54.2%)이 보상 결정되었다.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심의 현황】
구분
|
심의건수
|
보상위원회 심의결과
|
보상구분2)
|
보상
|
기각
|
보류1)
|
계
|
진료비 및 간병비
|
장애인
일시보상금
|
사망일시보상금 및 장제비
|
누계
|
차수
|
2,851
|
1,544
|
1,305
|
2
|
1,544
|
1,544
|
-
|
-
|
8월(2)
|
제8차
|
551
|
193
|
356
|
2
|
193
|
193
|
-
|
-
|
8월(1)
|
제7차
|
746
|
368
|
378
|
-
|
368
|
368
|
-
|
-
|
7월(2)
|
제6차
|
551
|
256
|
287
|
8
|
256
|
256
|
-
|
-
|
7월(1)
|
제5차
|
300
|
202
|
98
|
-
|
202
|
202
|
-
|
-
|
6월(2)
|
제4차
|
291
|
172
|
117
|
2
|
172
|
172
|
-
|
-
|
6월(1)
|
제3차
|
223
|
183
|
40
|
-
|
183
|
183
|
-
|
-
|
5월
|
제2차
|
190
|
166
|
24
|
-
|
166
|
166
|
-
|
-
|
4월
|
제1차
|
9
|
4
|
5
|
-
|
4
|
4
|
-
|
-
|
1) 제4차(6월(2)) 및 제6차(7월(2)) 보상위원회에서 보류된 건은 이 후 보상위원회에서 심의 완료
2)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9조에 따른 보상의 종류로 구분
□ 한편 추진단은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인과성 근거가 불충분하여 보상에서 제외된 중증 환자에 대해서도 의료비 지원사업을 신설하여 1인당 1천만 원까지 진료비를 지원하고 있다.
〈 중증 환자 의료비 지원사업 〉
△ (지원대상)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중증 이상반응이 발생 하였으나, 피해조사반 또는 피해보상전문위원회 검토 결과 인과성 인정을 위한 근거자료가 불충분하여 피해보상에서 제외된 환자(심의기준, ④-1 해당 시에만 지원)」
* ④-1 판정기준 : 예방접종 후 발생한 이상반응이 접종 전에 이를 유발할 만한 기저질환, 유전질환 등이 불충분하고, 이상반응을 유발한 소요시간이 개연성은 있으나, 백신과 이상반응 인과성 인정 관련 문헌이 거의 없는 경우
* 중증 이상반응 : 사망, 중환자실 치료 또는 이에 준하는 치료, 장애 등 발생 경우
△ (지원내용)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발생한 질병의 진료비*로서 1인당 1,000만원 한도에서 지원하되, 기존의 기저질환 치료비 및 장제비는 제외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발생한 질환 관련 필수적인 비급여 포함하여 지원
* 실제 간병비가 발생한 경우에 한하여 1일당 5만원 범위에서 간병비 지원
|
○ 현재까지 의료비 지원대상으로 확정된 인원은 총 32명이며, 이 중 지원을 신청한 5명에 대해서는 의료비 지원이 완료되었다.
○ 다른 대상자 분들도 관할 시·군·구 보건소를 통해 지원신청 하는 대로 신속하게 지원해드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전 세계 코로나19 발생에 대해 9주 연속 증가 이후 최근 주간 신규 발생은 소폭 감소하였고, 독일, 일본, 베트남에서 발생 증가가 지속되고 있음을 밝혔다.
○ 최근 1주간(8.23.∼8.29.) 전 세계 신규환자는 441만명(WHO 기준)으로 전주(455만명) 대비 소폭 감소하였다.
* (33주) 확진 4,557,959명, 사망 68,765명 → (34주) 확진 4,415,822명(-3%), 사망 67,106명(-2%)
- 미국은 9주 연속 발생이 급증한 이후 최근 1주 감소세를 보였으나, 사망자는 5주 연속 증가하였다.
* 미국: (34주) 확진 938,014명(-8.0%), 사망 7,323명(+9.1%)
- 독일은 8주 연속 확진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접종완료자에게 실내 식당 및 카페 이용을 허용하는 등 접종을 독려하고 있다.
* 독일: 확진 64,350명(+36.4%), 사망 154명(+41.3%)
- 일본은 10주 연속 발생이 급증하였으며 위중증 환자 수가 역대 최대(8.29. 2,075명)를 기록하고 있다.
* 일본: (34주) 확진 156,931명(+5.3%), 사망 300명(+53.1%)
* 긴급사태발령 지역 총 21개 현(일본 전체 인구의 약 75%)으로 확장(8.27.∼9.12.)
- 베트남은 낮은 접종률(1회 접종: 17.1%, 접종완료: 2.4%, 8.27.)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최근 확진자 및 사망자가 급증(7월1주 9,160명 → 8월4주 85,762명)하였다.
* 베트남: (34주) 확진 85,762명(+20.4%), 사망 2,865명(+36.2%)
○ 전 세계적으로 델타변이로 인해 높은 발생이 지속되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다른 주요 국가 대비 발생이 낮은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 우리나라의 100만 명당 주간 확진자는 238명으로 지난주 대비 소폭 감소하였다. 미국은 2,834명, 프랑스는 1,743명으로 전 주 대비 감소한 상황이나 영국은 3,499명, 독일은 774명, 이스라엘은 6,933명, 일본은 1,241명으로 증가하였다.
- 100만 명당 주간 사망자의 경우 우리나라는 지난주와 유사하며, 미국 22.1명, 영국 11.6명, 이스라엘 19.5명, 일본 2.4명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7개국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8.29. 0시 기준)】
구분
|
누적 발생(명)
|
인구100만명당 누적발생(명)
|
인구100만명당
최근 7일간 발생
(8.23.∼8.29.)
|
예방접종률 (%)
|
확진자 수
|
사망자 수
|
확진자 수
|
사망자 수
(치명률)
|
확진자 수
|
사망자 수
|
1회
이상
|
접종
완료
|
미국
|
38,343,343
|
629,782
|
115,840
|
1,903(1.6%)
|
2,834
|
22.1
|
60.7
|
51.5
|
프랑스
|
6,539,707
|
112,503
|
100,550
|
1,730(1.7%)
|
1,743
|
8.4
|
71.0
|
57.7
|
영국
|
6,698,490
|
132,376
|
98,673
|
1,950(2.0%)
|
3,499
|
11.6
|
70.3
|
62.3
|
독일
|
3,932,547
|
92,130
|
47,285
|
1,108(2.3%)
|
774
|
1.9
|
64.3
|
59.6
|
이스라엘
|
1,046,952
|
6,982
|
120,957
|
807(0.7%)
|
6,933
|
19.5
|
67.7
|
62.2
|
일본
|
1,434,370
|
15,896
|
11,341
|
126(1.1%)
|
1,241
|
2.4
|
55.0
|
43.9
|
한국
|
248,564
|
2,279
|
4,848
|
45(0.9%)
|
238
|
1.2
|
55.8
|
28.5
|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에서 내려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0시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 ‘일일확진자’ ▶ 다운로드(화살표선택) ▶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 시도별 발생동향 ▶ 시도 선택 ▶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
<붙임>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2.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3. 해외 주요 국가 방역 현황(8.29. 기준)
4. 코로나19 예방접종 전 꼭 알아야 할 5가지
5. 알아두면 편리한 코로나19 백신 사전예약 꿀팁
6. 코로나19 예방접종 온라인 예약방법 안내(영문)
7.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 및 Q&A
8. 코로나19 백신 관련 심근염 및 심낭염 안내문
9.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포스터
10.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한 안내
11. 여름철 올바른 환기 방법 안내
12.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방법 안내
13. 코로나19 유증상자 적극 검사 시행 포스터
14.「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코로나19 예방접종 국민행동수칙
2.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 홍보자료
3. 변경된 실내·외 마스크 착용 지침
4.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개편 관련 홍보자료(국‧영문)
5.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6.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7. 가족 감염 최소화를 위한 방역수칙
8. 가족 중 의심환자 발생 시 행동요령 점검표
9.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10.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11.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2.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13.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4. 올바른 소독방법 카드뉴스 1, 2, 3편
15.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내 및 주의사항(환경부)
16. 코로나19 예방 손 씻기 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