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국민의 58.4% 1회 이상 예방접종 실시(9.6., 정례브리핑)
- 55~59세 연령층 9.6.(월)부터 10.9.(토)까지 2차접종 실시 -
◆ 예방접종 추진 현황
○ 전 국민의 58.4% 1회 이상 예방접종 실시(접종완료 34.6%)
○ 접종완료자 70대(88.1%), 60대(84.6%), 80세 이상(78.9%) 순으로 높아
◆ 55~59세 2차접종 실시 안내
○ 55세~59세 연령층 9.6.(월)~10.9.(토)까지 2차 접종 실시
○ 예약한 일정에 따라 접종기관을 방문하여 예방접종을 받으실 것을 당부
◆ 백신 도입 현황 및 계획
○ 오늘(9.6.), 개별 계약 모더나 백신 255.2만 회분 도착
◆ 이상반응, 피해조사 주간 보고
○ 이상반응 신고율 0.41%(1차 0.49%, 2차 0.25%)
○ 근육통, 두통 등 일반 이상반응 95.7%, 중대한 이상반응 4.3%
◆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대응 방안
○ 최근 1주간(8.29.~9.4.) 국내 발생 신규환자 일평균 1,671.2명으로 전주 대비 1.8% 감소
|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9월 6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예방접종을 1회 이상 실시한 사람이 30,005,459명으로 전 국민의 58.4%, 18세 이상 성인의 67.9%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 이 중 접종완료자(얀센 백신 1회 접종자 포함)는 17,751,820명으로, 전 국민의 34.6%이다.
○ 연령대별 인구 대비 접종률은 1차접종 기준으로 60대 93.2%, 70대 92.5%, 50대 91.5% 80세 이상 82.6% 순으로 높았고, 접종 완료 기준으로는 70대 88.1%, 60대 84.6%, 80세 이상 78.9% 순으로 높았다.
- 특히, 8월 12일(목)부터 시작되었던 60~74세 연령층의 2차접종이 일정대로 추진되면서, 60대 연령층의 2차접종률이 80% 이상으로 크게 상승하였다.
【연령대별 접종현황 (9.6. 0시 기준)】
구분
|
인구(명)*
|
1차 접종
|
접종 완료
|
1차접종자(명)
|
인구 대비 접종률(%)
|
접종완료자(명)
|
인구 대비 접종률(%)
|
계
|
51,349,116
|
30,005,459
|
58.4
|
17,751,820
|
34.6
|
연
령
|
80세 이상
|
2,255,736
|
1,863,037
|
82.6
|
1,780,185
|
78.9
|
70∼79
|
3,757,129
|
3,474,049
|
92.5
|
3,309,226
|
88.1
|
60∼69
|
7,140,703
|
6,656,881
|
93.2
|
6,040,407
|
84.6
|
50∼59
|
8,570,076
|
7,843,679
|
91.5
|
1,542,659
|
18.0
|
40∼49
|
8,109,221
|
3,563,988
|
43.9
|
1,709,079
|
21.1
|
30∼39
|
6,686,639
|
3,091,102
|
46.2
|
1,772,048
|
26.5
|
18∼29
|
7,619,756
|
3,497,433
|
45.9
|
1,584,973
|
20.8
|
17세 이하
|
7,209,856
|
15,290
|
0.2
|
13,243
|
0.2
|
* ’20.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거주자) 기준
※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
○ 18~49세 청장년층의 경우, 이미 접종받았거나 다른 대상군으로 예약한 분들을 고려하면 현재까지 인구(약 2241.5만 명) 대비 약 83.6%가 접종에 참여할 것으로 전망되며, 사전예약 대상자의 예약률은 72.3%(총 1,408만 명 중 1,018만 명)이다.
□ 추진단은, 50대 연령층 중 먼저 1차접종을 시작한 55~59세(1962.1.1.~1966.12.31. 출생) 대상 2차접종이 9월 6일(월)부터 10월 9일(토)까지 실시된다고 안내했다.
○ 55~59세 연령층은 지난 7월 26일(월)부터 8월 28일(토)까지 전국의 위탁의료기관 및 예방접종센터에서 mRNA백신으로 1차접종을 받았으며, 341.5만 명 중 304.3만 명이 1차접종을 완료(접종률89.1%)하였다.
○ 50~54세 연령층을 대상으로는 8월 16일(월)부터 8월 28일(토)까지 1차접종을 실시하여, 362.4만 명 중 308만 명이 접종받았으며(접종률 85.0%) 2차접종은 9월 27일(월)부터 10월 9일(토)까지 실시된다.
□ 추진단은 2차접종이 예정된 55~59세 대상자 분들께서는 예약한 일정에 맞춰 접종기관을 방문하여 예방접종을 받으실 것을 당부하였다.
□ 오늘(9.6.), 개별 계약된 모더나 백신 255.2만 회분이 인천공항에 도착하였다.
* 모더나 백신 편명 : KE0256, 도착시간 9.6.(월) 13:55
○ 이로써 9월 1일부터 9월 6일까지 895만 회분의 화이자·모더나 백신이 공급되었으며, 누적 5,754만 회분의 백신이 공급되었다.
○ 정부는 안정적인 백신 공급을 위해 지속적으로 제약사와 긴밀히 협의해 나갈 예정이며, 구체적인 공급 일정은 협의 후 신속하게 안내할 계획이다.
【 ’21년 백신 도입 현황 및 계획 (’21.9.6. 기준, 단위: 회분) 】
백신 종류
|
도입 확정
|
도입 완료
|
도입 예정
|
계
|
상반기
|
7~8월
|
9.1~9.6
|
9.7~9.30
|
4분기
|
계
|
1억 9,490만
|
5,754만
|
1,862만
|
2,997만
|
895만
|
약 4,300만
(협의중)
|
약 9천만
|
아스트라제네카
|
2,000만
|
2,000만
|
881.4만
|
1,118.6만
|
|
|
|
화이자
|
6,705만*
|
2,429.4만
|
700.2만
|
1,408.3만
|
320.8만
|
모더나
|
4,045만*
|
921.3만
|
11.2만
|
336.1만
|
574.1만
|
얀센
|
740만
|
151.4만
|
101.3만
|
50.1만
|
|
노바백스
|
4,000만
|
-
|
-
|
-
|
|
코백스
|
아스트라
제네카
|
2,000만
|
210.2만
|
126.7만
|
83.5만
|
|
화이자
|
41.4만
|
41.4만
|
-
|
|
|
|
|
|
제약사와 공급 일정 협의 중이거나 일정 공개 협의 중(노바백스 백신은 허가 일정 고려)
|
|
|
|
|
|
|
|
|
|
|
|
|
|
|
|
|
|
|
|
|
*
|
루마니아와의 백신 협력을 통한 도입 물량 포함(화이자 105.3만 회분, 모더나 45만 회분)
|
4. 이상반응 신고현황 주간 분석결과(27주차)
|
□ 추진단은 코로나19 예방접종 시작 이후 현재까지 신고된 이상반응 의심사례에 대한 주간(27주차, 9.5. 0시 기준)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 전체 예방접종 46,474,326건 중 이상반응은 191,860건(27주 신규 신고건수 20,706건)이 신고되어 신고율은 0.41%(1차 0.49%, 2차 0.25%)으로,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율(접종일 기준)은 접종 초기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는 추세이다.
- 신고 사례 중 근육통, 두통 등 일반 이상반응은 95.7%(183,552건), 중대한 이상반응은 4.3%(8,308건)이었으며, 백신별 신고율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0.47%(1차 0.72%, 2차 0.15%), 화이자 백신 0.33%(1차 0.32%, 2차 0.36%), 모더나 백신 0.60%(0.56%, 1.34%), 얀센 백신 0.62%이었다.
<누적 예방접종건수 대비 이상반응 의심사례 신고율(2.26.-9.4.) 그림 붙임 참조>
□ 추진단은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해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발생할 수 있는 이상반응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접종받는 사람은 예방접종 후 15~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러 이상반응 발생 여부를 관찰하고, 귀가 후에도 적어도 3시간 이상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하며, 접종 후 최소 3일간은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고, 고열이 있거나 평소와 다른 신체 증상이 나타나면 의사 진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
- 특히, 중증 알레르기 반응(아나필락시스)이 나타나면 즉시 119로 연락하거나 가까운 응급실로 내원해야 한다.
○ 화이자, 모더나 백신 접종 후 다음과 같은 심근염/심낭염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히 의료기관 진료를 받도록 당부했다.
【심근염 및 심낭염 의심증상】
◈ 예방접종 후 아래와 같은 증상이 새롭게 발생하거나 악화되어 지속되는 경우
① 가슴 통증, 압박감, 불편감
② 호흡곤란 또는 숨가쁨, 호흡시 통증
③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두근거림
④ 실신
|
○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백신 접종 후 드물지만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또는 길랑-바레 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어 다음과 같은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의심증상】
◈ 아데노바이러스벡터 코로나19 백신(아스트라제네카, 얀센) 접종 후 4일에서 4주 사이에 아래와 같은 증상이 있는 경우
① 심한 또는 2일 이상의 지속적인 두통이 발생하며, 진통제에 반응하지 않거나 조절되지 않는 경우 또는 구토를 동반하거나 시야가 흐려지는 경우
② 호흡곤란, 흉통, 지속적인 복부 통증, 팔·다리 부기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 경우
③ 접종부위가 아닌 곳에서 멍이나 출혈이 생긴 경우 등
|
【길랑-바레 증후군 의심증상】
① 사물이 두 개로 보이거나 눈동자를 움직이기 어려운 경우
② 삼키기, 말하기, 씹기 어렵거나, 걷기 등 몸의 움직임을 조정하기 어려운 경우
③ 손과 발의 저린 감각 및 팔다리, 몸통, 얼굴의 약화
④ 방광조절 및 장기능 장애
|
○ 아울러,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의심 환자를 진료한 의료기관은 심근염, 심낭염,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길랑-바레증후군 등 신속한 진단·치료 및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를 철저히 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최근 1주간(’21.8.29∼9.4.) 코로나19 국내 발생 신규환자는 일평균 1,671.2명(국내 발생 11,699명)으로 전주(일평균 1,702.0명) 대비 1.8%(30.8명) 소폭 감소하였다.
○ 수도권은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에도 불구, 최근 1주간 일평균 1,156.1명(전체 환자 수 8,096명)으로, 전주(일평균 1,112.4명) 대비 3.9% 증가하였다.
○ 비수도권은 최근 1주간 일평균 515.1명(전체 환자 수 3,603명) 발생하여 전주(일평균 589.6명) 대비 12.6% 감소하였다.
○ 주간 감염재생산지수(Rt)는 전국 0.98로 감소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수도권은 1.02, 비수도권은 0.92이었다.
* 전국 Rt : 1.10(8월2주) → 1.02(8월3주) → 0.99(8월4주) → 0.98(9월1주)
○ 해외유입 사례는 일 평균 38.9명(총 272명)으로 전주대비 (43명→38.9명) 9.5% 감소하였다.
< 전국/수도권/비수도권(’20.11.29.~’21.9.4.) 주간 일일 평균 확진자수 및 위중증, 사망자수 그림 붙임 참조>
< 최근 한달 간 주간 위험도 평가지표 >
구 분
|
8월 2주 (8.8.~8.14.)
|
8월 3주 (8.15.~8.21.)
|
8월 4주
(8.22.~8.28.)
|
9월 1주
(8.29~9.4.)
|
일일 평균
확진환자 수(명)
|
국내발생
|
1,780.0
|
1,750.7
|
1,702.0
|
1,671.2(-1.8%)
|
|
수도권
|
1,076.9
|
1,100.7
|
1,112.4
|
1,156.1(+3.9%)
|
비수도권
|
703.1
|
650.0
|
589.6
|
515.1(-12.6%)
|
해외유입
|
60.1
|
53.0
|
42.9
|
38.9
|
전 체
|
1,840.1
|
1,803.7
|
1,744.9
|
1,710.1
|
감염경로 조사중 분율(%)(건)
|
국내발생
|
29.4
(3,666/12,460)
|
30.9
(3,792/12,255)
|
34.4
(4,093/11,914)
|
38.7
(4,528/11,699)
|
방역망 내 관리 분율(%)
|
국내발생
|
38.6
|
37.8
|
34.3
|
31.2
|
감염재생산지수(Rt)
|
1.10
|
1.02
|
0.99
|
0.98
|
신규 집단발생 건수(건)
|
106
|
106(▲13)
|
99(▲58)
|
39*
|
주별 평균 위중증 환자 규모(명)
|
377
|
375
|
417
|
389
|
주간 사망 환자 수(명)
|
32
|
54
|
74
|
39
|
즉시 가용 중환자실(개)
|
287
|
273
|
362
|
418
|
* 역학조사 진행 중으로 이후 증가할 수 있음
○ (연령군) 20대 연령군에서 인구 10만 명당 5.6명(전주 5.8명), 30대 연령군에서 인구 10만 명당 4.4명(전주 4.3명)으로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60세 이상 연령군은 소폭 증가했다.
< 전국 연령별 발생률(8.28. 0시 기준) >
구분
|
계
|
0-9세
|
10-19세
|
20-29세
|
30-39세
|
40-49세
|
50-59세
|
60-69세
|
70-79세
|
80세이상
|
8월 2주
(8.8.~8.14.)
|
환자수
|
12,460
|
776
|
1,360
|
2,894
|
2,067
|
1,874
|
1,992
|
1,021
|
311
|
165
|
일평균발생률
|
3.4
|
2.8
|
4.1
|
6.1
|
4.3
|
3.2
|
3.3
|
2.2
|
1.2
|
1.2
|
8월 3주
(8.15.~8.21.)
|
환자수
|
12,255
|
802
|
1,249
|
2,817
|
2,065
|
1,950
|
1,884
|
997
|
329
|
162
|
일평균발생률
|
3.4
|
2.9
|
3.7
|
5.9
|
4.3
|
3.4
|
3.1
|
2.1
|
1.3
|
1.2
|
8월 4주
(8.22.~8.28.)
|
환자수
|
11,914
|
774
|
1,184
|
2,760
|
2,078
|
1,951
|
1,734
|
994
|
326
|
113
|
일평균발생률
|
3.3
|
2.8
|
3.5
|
5.8
|
4.3
|
3.4
|
2.9
|
2.1
|
1.3
|
0.8
|
9월 1주
(8.29.~9.4.)
|
환자수
|
11,699
|
740
|
1,113
|
2,664
|
2,132
|
1,899
|
1,663
|
1,070
|
294
|
124
|
일평균발생률
|
3.2
|
2.7
|
3.3
|
5.6
|
4.4
|
3.3
|
2.7
|
2.3
|
1.1
|
0.9
|
*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 = (확진자수)/(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20.12월 기준) × 100,000(명)
○ (감염경로) 가족·지인·직장 등 개인 간 접촉감염으로 인한 ‘확진자 접촉’ 비중은 지속적으로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9월 1주 48.3%, 총 5,778명), 조사 중 비율(37.8%)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 확진자 접촉 비중 :(8월2주) 46.0%(5,928명) → (8월3주) 46.9%(5,916명)→ (8월4주) 47.2%(5,767명) → (9월1주) 48.3%(5,778명)
< 최근 4주간 감염경로*(’21.8.29.~9.4.)>
구 분
|
8월 2주 (8.8.~8.14.)
|
8월 3주 (8.15.~8.21.)
|
8월 4주
(8.22.~8.28.)
|
9월 1주
(8.29.~9.4.)
|
전체
|
12,881명
|
(100%)
|
12,626명
|
(100%)
|
12,214명
|
(100%)
|
11,971명
|
(100%)
|
확진자 접촉
|
5,928명
|
(46.0%)
|
5,916명
|
(46.9%)
|
5,767명
|
(47.2%)
|
5,778명
|
(48.3%)
|
지역 집단발생
|
2,725명
|
(21.2%)
|
2,344명
|
(18.6%)
|
1,862명
|
(15.2%)
|
1,278명
|
(10.7%)
|
병원 및 요양시설 등
|
138명
|
(1.1%)
|
196명
|
(1.6%)
|
191명
|
(1.6%)
|
109명
|
(0.9%)
|
해외유입
|
421명
|
(3.3%)
|
371명
|
(2.9%)
|
300명
|
(2.5%)
|
272명
|
(2.3%)
|
해외유입 관련
|
3명
|
(0.0%)
|
7명
|
(0.1%)
|
1명
|
(0.0%)
|
6명
|
(0.0%)
|
조사중(미분류)
|
3,666명
|
(28.5%)
|
3,792명
|
(30.0%)
|
4,093명
|
(33.5%)
|
4,528명
|
(37.8%)
|
수도권 지역
조사중(미분류)
|
1,876명
|
(18.2%)
|
2,541명
|
(24.6%)
|
2,747명
|
(26.6%)
|
3,154명
|
(30.6%)
|
* 역학조사 진행에 따라 감염경로는 재분류 될 수 있음
○ (집단감염) 신규 집단감염은 총 39건으로 사업장 18건, 다중이용시설(노래방, 수산물직판장, 사우나 등) 7건, 교육시설(학교·학원·유치원 등) 7건, 의료기관(병원, 요양병원) 2건, 가족 지인모인 4건, 기타 1건(대학 동아리 작업실)이 발생하였다.
□ (위중증·사망) 주간 평균 위중증 환자 수는 389명(전주 417명)으로 감소하였으며, 사망자는 39명으로 전주(74명) 대비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 주별 평균 위중증 환자 규모 :(8월3주) 375명→(8월4주) 417명→(9월1주) 389명
* 주간 사망 환자 수 : (8월3주) 54명→(8월4주) 74명 → (9월1주) 39명
* 즉시가용 중환자실 :(8월3주) 273개→(8월4주) 362개→(8월4주) 418개
○ (연령군별 위중증 환자 수) 9월 1주 위중증 환자 수는 40~50대가 197명(50.6%)으로 가장 많았고, 60대이상이 158명(40.6%), 30대 이하가 34명(8.7%)이었다.
○ (연령군별 사망자 수) 9월 1주 사망자 수는 60대 이상이 29명(74.4%)으로 가장 많았고, 40~50대가 9명(23.1%), 30대 이하가 1명(2.6%)이었다.
<최근 5주간 연령군별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 및 최근 5주간 연령군별 사망자수 그림 붙임 참조>
○ (위중증·사망자 접종현황) ’21년 5월∼7.31일까지 확진자 총 77,144명 중 백신 미접종자는 92.2%(71,135명), 1차 접종자는 6.1%(4,700명), 접종완료자는 1.7%(1,309명)이었다.
- 위중증 및 사망자는 1,707명(2.21%)이었으며, 미접종자 89.4%(1,526명/1,707명), 1차 접종자 9.55%(163명), 접종완료자 1.05%(18명)이었다.
- 60세 미만에서는 미접종자 98.3%(869명/884명), 1차 접종자 1.36%(12명), 접종완료자 0.34%(3명)이였으며, 60세 이상에서는 미접종자 79.8%(657명/823명), 1차 접종자는 18.34%(151명), 접종완료자는 1.82%(15명)이었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최근 수도권內 확진자 및 외국인 확진자가 지속 증가하는 가운데 사적모임 기준 완화, 초중고교 등교 확대 및 대학교 개강 등으로 확진자 증가 우려가 있다고 밝히면서, 방역 수칙의 철저한 준수를 당부했다.
○ (수도권 유행) 9월 1일 코로나19 유행 이후 수도권 내 최대 확진자(1,415명)가 발생하는 등 다소 잠잠해지던 수도권 유행이 다시 확산되고 있다.
* 8월 2주 1,076.9명→8월 3주 1,100.7명→8월4주 1,112.4명→9월1주1156.1명
- 이는 휴가철 다소 감소하던 수도권 내 이동량이, 휴가 복귀 후 다시 증가한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이며, 수도권 유행이 지속될 경우 추석 연휴 이동으로 인해 비수도권으로 재확산될 것이 우려된다.
- 이에 방역 당국은 불요불급한 회식·모임 자제, 사적모임 기준 철저 준수, 의심증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즉시 검사 받을 것을 당부하였다.
- 또한, 정부는 젊은 층이 많이 모이는 지역 및 유흥지역을 중심으로 방역수칙을 수시 점검하고, 위반업소에 대한 무관용 처분, 확진자 발생 다수 시군구 주요지역에 임시 선별검사소를 추가 설치할 계획이다.
○ (외국인 확진자 증가) 외국인 확진자가 지속 증가하고 있어, 9월 1주에는 전체 확진자의 15.2%를 차지하는 등 외국인 감염이 지속 확산되고 있다.
- 외국인 확진자가 다수 발생되는 일부 시군구 지역*은 최근 확진자의 50% 이상이 외국인으로 외국인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 (다수 발생 지역)화성시(231명, 55%), 안산시(148명, 50.5%), 논산시(84명, 67.6%) 등
- 정부는 외국인 확진자가 많이 발생하는 이들 시군구를 중심으로 지자체별 위험지역·대상 선정*하여 특별 방역 대책 마련하고, 지자체 자율접종을 통한 외국인 예방접종을 실시 중이다.
* 영세 제조업(기숙사 집단거주), 건설노동자, 계절노동자, 선원, 유흥업 종사자, 집단 거주지역 등
- 또한, 고용부·법무부·여가부 등 관계부처와 함께 외국인 예방접종 안내 및 예약 등을 지원하고 모범사례* 공유·전파도 추진할 예정이다.
*(논산) 외국인 관련단체 포함 민관협의체 구성, 50인 이상 사업장 일제검사 실시 및 백신 70% 접종 계획 수립, (광주) 외국인 친화 접종위탁 의료기관 운영(통역 등 접종지원 자원봉사자 배치), 미등록 외국인 노동자 임시관리번호 발급 등
- 아울러, 정부는 미등록 외국인을 포함하여 국내 체류 중인 외국인들은 신속히 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당부하였다.
○(사적모임 확대) 금일(9.6.)부터 식당·카페·가정에서 4단계 지역은 접종완료자 포함 6인(접종완료자 4인+2인), 3단계 지역은 접종완료자 포함 8인(접종완료자4인+4인)까지 모임이 가능하다.
- 더불어, 4단계 지역의 식당·카페의 매장 내 취식가능 시간을 기존 21시에서 22시로 연장하였다.
- 이로 인해, 가족, 지인·친구, 직장 동료 등 모임이 늘어나면서 지역사회 산발적 전파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방역 당국은 실내 마스크 착용, 손 소독, 모임 인원 기준 등 방역 수칙을 철저히 지켜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 (등교확대) 최근 PC방, 코인노래방 등 학교 외부 활동을 통해 감염되어 학내 및 다른 가족으로 전파하는 집단감염 사례가 다수 발생하였으며, 9월 들어 초·중·고교 등교 확대 및 대학교 개강에 따라 더욱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 8.26. 기준 총 12,066개교 중 등교(10,023개교), 원격수업(72개교), 방학(1,971개교) 9. 2. 기준 총 12,077개교 중 등교(11,124개교), 원격수업(322개교), 방학(631개교)
- 이에, 정부는 교육현장에서 마스크 쓰기·주기적 환기 등 학교 방역조치를 지속하고 학교 외부 사적 모임 지도·관리를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 (의료기관 집단감염) 최근 보고된 대형 의료기관 집단감염 사례에서 추가 확진자가 다수 발생하였으며, 점검 결과 환기설비 운영 미흡 등 관리상 취약점이 발견되었다.
- 정부는 의료기관 관리실태 선제점검 실시, 자체 점검·관리 체크 리스트 및 환기·공조시설 운영지침 등 마련·배포, 간병인·보호자 대상 예방접종 실시, 의료 관계자 추가접종 검토 등을 추진하고
- 병원협회 등 의료계와 협력 체계를 가동하여 주기적으로 상황을 점검할 계획이다.
6. 유효기간이 지난 백신 접종 현황 및 방지대책
|
□ 추진단은 유효기간이 지난 백신 접종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접종기관은 백신을 입고일 순으로 사용(선입선출)하고, 접종 전 유효기간을 반드시 확인할 것을 당부하였다.
* 유효기간이 지난 백신 주입 발생 현황(9월 6일 기준) : 431명(13건)
○ 특히, mRNA백신(화이자, 모더나)은 백신의 자체 유효기간과 별개로 백신 수송박스에 부착된 냉장 유효기간*을 확인 후 접종할 것을 당부하였다.
* 화이자·모더나 백신은 냉장 해동 시작일 부터 각각 31일, 30일 이내에 접종해야 함(냉장 유효기간, 백신의 자체 유효기간과 별개임)
□ 한편, 추진단은 유효기간이 지난 백신 접종을 예방하기 위해 백신 수송박스에 선입선출 경고문을 부착하고, 접종기관별 보유 백신의 유효기간을 전수 점검한다.
○ 또한, 접종기관이 백신별 냉장 유효기간을 인지 및 확인할 수 있도록 전산 시스템을 개선하고,
○ 지자체·의료계와 오접종 주요사례를 지속 공유하며 접종기관별 오접종 방지의 우수사례를 적극 발굴하여 전파할 계획이다.
□ 한편, 현재까지 보고된 오접종은 총 접종 4,647만(1차+2차) 중 1,386건(0.003%)으로(9.6. 기준),
○ 백신 종류 및 보관 오류 806건(58.1%), 접종용량 오류 282건(20.3%), 접종시기 오류 141건(10.2%), 대상자 오류 108건(7.8%) 순으로 발생빈도가 높다.
< 오접종 현황 >
|
(9.6. 기준, 단위 : 건)
|
합계
|
백신 종류 및 보관 오류*
|
접종용량 오류
|
접종시기 오류
|
대상자 오류
|
희석액 오류
|
주입방법 오류
|
1,386
|
806
|
282
|
141
|
108
|
45
|
4
|
* 유효기간이 지난 백신 주입, 허용되지 않은 교차접종 등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에서 내려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0시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 ‘일일확진자’ ▶ 다운로드(화살표선택) ▶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 시도별 발생동향 ▶ 시도 선택 ▶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
<붙임>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2.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3. 코로나19 주간 발생 현황
4.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주간 분석 결과(27주차)
5. 코로나19 예방접종 전 꼭 알아야 할 5가지
6. 알아두면 편리한 코로나19 백신 사전예약 꿀팁
7. 코로나19 예방접종 온라인 예약방법 안내(영문)
8.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 및 Q&A
9. 코로나19 백신 관련 심근염 및 심낭염 안내문
10.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포스터
11.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한 안내
12. 여름철 올바른 환기 방법 안내
13.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방법 안내
14. 코로나19 유증상자 적극 검사 시행 포스터
15.「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코로나19 예방접종 국민행동수칙
2.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 홍보자료
3. 변경된 실내·외 마스크 착용 지침
4.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개편 관련 홍보자료(국‧영문)
5.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6.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7. 가족 감염 최소화를 위한 방역수칙
8. 가족 중 의심환자 발생 시 행동요령 점검표
9.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10.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11.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2.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13.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4. 올바른 소독방법 카드뉴스 1, 2, 3편
15.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내 및 주의사항(환경부)
16. 코로나19 예방 손 씻기 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