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예방접종 미접종자 10월 1일부터 접종(9.16., 정례브리핑) ※ 4쪽 하단 예시 설명 날짜 수정(16:27)
- 잔여백신 활용하면 2차접종 6주 → 3주(화이자)·4주(모더나)로 단축 가능 -
◆ 코로나19 예방접종 미접종자도 접종 가능
○ 18~49세 청장년층 1차접종 마무리 시점에 미접종자 전체에 대해 접종 추진
○ 9월 18일(토) 20시부터 예약, 10월 1일(금)부터 접종
◆ SNS 잔여백신 당일예약 등으로 2차접종 가능
○ SNS 당일예약서비스로 잔여백신 활용한 2차접종 당일예약 가능, 접종간격은 백신 허가범위(화이자 3주, 모더나 4주) 내에서 접종 가능(9.17.~)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2차접종은 8주 간격으로 예약되나, 개인사정이 있는 경우는 4주~12주 범위 내에서 사전예약 누리집에서 예약변경 가능(9.28.~)
◆ 코로나19 국외 발생동향
○ 전 세계 모든 지역에서 신규 발생 감소
○ 국내 발생률, 사망률 모두 주요 국가 대비 낮은 수준 유지 중
◆ 백신 도입 현황 및 계획
○ 9월 17일(금) 개별 계약된 모더나 백신 87.1만 회분 도입 예정, 누적 6,638만 회분 도입 완료
|
1. 코로나19 예방접종 미접종자도 접종 가능
|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 이하 “추진단”)은 18~49세 청장년층의 1차접종이 마무리되는 시점에 맞추어 아직까지 접종을 받지 못했거나 예약하지 않은 전체 미접종자에 대해 코로나19 예방접종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 이는 4차 유행이 지속되고 전염력이 높은 델타 변이바이러스가 우세함에 따라 코로나19 감염 시 중증·사망 위험이 높은 고령층 미접종자를 포함하여 접종 가능한 연령층의 접종률을 보다 더 높임으로서 면역 형성인구를 확대하여 코로나19로부터 보호하기 위함이다.
○ 당초 <코로나19 예방접종 계획(1.28. 발표)>에 따라 미접종자는 전체 접종대상자에 대한 접종 이후에 마지막 순위로 조정하는 것이 원칙이었으며, 이에 따라 18세 이상 전체 연령층에 대한 1차접종을 마무리하는 시점에 미접종자 접종을 추진한다.
□ 이에 따라, 18세 이상(’03.12.31. 이전 출생) 미접종자 약 500만 명 내외 규모를 대상으로 10월 1일(금)부터 10월 16일(토)까지 전국 위탁의료기관*에서 접종을 실시한다.
* 건강보험 미가입자의 경우에 한해 예방접종센터에서 실시
○ 사전예약은 기존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누리집(https://ncvr.kdca.go.kr)을 통해 가능하며, 9월 18일(토) 20시부터 9월 30일(목) 18시까지 진행된다.
* 스스로 예약이 어려운 고령층, 외국인 등을 위해 보호자 대리예약 가능
○ 백신은 mRNA 백신(화이자 또는 모더나)으로, 대상자별 백신 종류는 백신 공급 상황에 따라 순차적으로 개별 안내할 예정이다.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경우, 기존과 동일한 방식으로 30세 이상 미접종자 중 희망자에 대해 SNS 당일신속 예약서비스 또는 예비명단을 활용하여 1차접종 가능
□ 추진단은, 현재까지 1회 이상 접종 기회가 있었으나 다양한 사정으로 접종을 하지 않고 있는 분들을 대상으로 접종하여, 접종률을 최대한 높여 코로나19 감염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고자 한다.
○ 그동안 기회를 놓쳐 예약하지 못한 분들과, 접종받지 않은 분들은 본인 건강과 가족 안전을 위하여 예약에 꼭 동참해주시기를 당부 드린다.
○ 또한, 18~49세 연령층을 포함한 전체 미접종자는 잔여 백신을 활용하면 오늘이라도 접종이 가능하므로 가급적 빨리 예방접종에 참여해주시기를 안내했다.
□ 추진단은 9월 17일(금)부터 SNS 당일신속 예약서비스 또는 의료기관 별 예비명단을 활용하여 2차접종에 대해서도 잔여백신 예약 및 접종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 그동안 잔여백신은 1차접종만 예약 및 접종이 가능했으나, 9월 17일부터는 ①SNS 당일신속 예약서비스(네이버, 카카오 앱을 통해 잔여백신 예약) 및 ②의료기관별 예비명단(의료기관에 개별 연락하여 접종 예약 명단으로 올리는 방식)을 활용하여 백신별 허가 범위(화이자 3주, 모더나 4주, 아스트라제네카 4~12주) 내에서 2차접종이 가능하다.
【2차접종 예약기준일 및 잔여백신 2차접종 간격 비교】
구분
|
2차접종 예약기준일
|
⇒
|
잔여 백신 2차접종
|
화이자 백신
|
1차 접종일로부터 6주
|
|
1차 접종일로부터 3주 이후
|
모더나 백신
|
1차 접종일로부터 6주
|
|
1차 접종일로부터 4주 이후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
1차 접종일로부터 8주
|
|
1차 접종일로부터 4주 이후
|
- 의료기관 예비명단을 활용할 경우, 9월 17일(금)부터는 1차 접종을 한 의료기관뿐만 아니라 다른 의료기관 예비명단에도 올려 잔여백신이 있는 경우 접종이 가능하게 된다.
【잔여백신 접종 개선 비교】
구분
|
기존
|
|
변경
|
SNS
당일예약
|
- 1차접종만 당일예약 가능
잔여백신을 등록한 의료기관 중 선택
|
⇒
|
- 2차접종도 당일예약 가능
잔여백신을 등록한 의료기관 중 선택
|
의료기관
예비명단
|
- 1차접종한 의료기관에서 등록한 잔여 백신만 가능
|
⇒
|
- 잔여백신이 있는
모든 의료기관에 가능
|
- 잔여백신으로 SNS나 예비명단을 활용하여 당일 접종을 예약할 경우, 기존의 2차접종 예약은 자동적으로 취소된다.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2차접종일은 1차접종일로부터 8주를 기본으로 예약되나, 9월 28일(화)부터는 본인의 사정으로 희망할 경우 사전예약 누리집에서 4주~12주 범위 내에서 예약일 변경이 가능하다.
- 다만, 위탁의료기관의 예방접종 준비 등을 위해 2차접종일은 예약시스템 접속일 기준으로 2일 후로 예약이 가능하다.
* (예시) 사전예약시스템 접속일 9월 28일(화), 2차 접종일 예약은 9월 30일(목) 이후 가능
(참고) SNS 잔여백신 2차접종 신청 방법
o SNS 당일신속예약서비스의 예약 방식은 기존 방식과 동일*하며, 접종 간격이 허가 범위에서 벗어나거나** 기존에 예약된 2차 백신과 동일한 백신***으로 예약하지 않은 경우 등은 잔여백신으로 2차접종 예약이 불가능하며, 이 경우 예약이 불가능함을 별도 안내할 예정임
* 네이버 앱, 네이버지도 앱 또는 스마트폰 인터넷 웹 탐색기(www.naver.com)에서 네이버에 접속하여 검색창에 ‘잔여백신’으로 검색하면 잔여백신 조회 가능
* 카카오톡의 하단 샵 탭(#)에서 ‘잔여백신’ 탭을 선택하거나 카카오 맵 앱을 통해 잔여백신 조회 가능
*** 예시) 화이자 1차 접종 후 SNS로 모더나 2차접종 예약 / 단, 50세 미만의 경우 1차 AZ, 2차 화이자 접종 대상으로 잔여 백신 예약은 화이자로만 가능
<네이버, 카카오 잔여백신 조회 화면(예시) 그림 붙임 참조>
3. 제9차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결과
|
□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위원장: 김중곤)는 9월 14일 제9차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이하 “보상위원회”)를 열고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피해보상 신청된 사례 총 576건을 심의하였다.
* 임상의사, 법의학자, 감염병·면역학·미생물학 전문가, 변호사 및 시민단체가 추천한 전문가 등 15명 등으로 구성
○ 의무기록 및 역학조사 등을 바탕으로 기저질환 및 과거력·가족력, 접종 후 이상반응까지의 임상경과 등을 종합적으로 심의한 결과,
- 예방접종 후 발열, 두통, 근육통, 어지럼증, 알레르기 반응 등의 이상반응으로 치료를 받은 사례 등 총 249건(43.2%)에 대해 보상 결정하였다.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기각 사례】
▵ (사례1) 예방접종과 이상반응과의 시간적 개연성이 떨어짐(접종 2시간 후 발생한 안면마비, 3일 후 피부병변, 34일 후 두드러기, 11일 후 두통 발생 등)
▵ (사례2) 백신보다는 기저 질환과 전신상태(천식, TB 농양 재발, 고혈압, 고지혈증, 뇌경색, 식도암, 뇌출혈, 폐렴, 급성신우신염 등)로 인하여 발생한 증상
▵ (사례3) 세균성 감염 등 다른 원인에 의한 발생 가능성이 높음(골절 및 관절염, 요로감염, 섬망 및 7일 이상 지속되는 근육통, 질출혈, 위-식도 역류질환, 장염 등)
|
○ 전체 예방접종 51,8362,703건 중 이상반응으로 의심되어 신고된 사례는 총 215,501건이었고(9.12. 0시 기준), 이 중 의료기관을 방문할 정도의 이상반응으로서 피해보상을 신청하여 보상위원회에서 제9차까지 심의한 건수는 총 3,425건(1.6%)이었으며, 이 중에서 1,793건(52.4%)이 보상 결정되었다.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심의 현황】
구분
|
심의건수
|
보상위원회 심의결과
|
보상구분2)
|
보상
|
기각
|
보류1)
|
계
|
진료비 및 간병비
|
장애인
일시보상금
|
사망일시보상금 및 장제비
|
누계
|
차수
|
3,425
|
1,793
|
1,630
|
2
|
1,793
|
1,793
|
-
|
-
|
9월(1)
|
제9차
|
576
|
249
|
325
|
2
|
249
|
249
|
-
|
-
|
8월(2)
|
제8차
|
551
|
193
|
356
|
2
|
193
|
193
|
-
|
-
|
8월(1)
|
제7차
|
746
|
368
|
378
|
-
|
368
|
368
|
-
|
-
|
7월(2)
|
제6차
|
551
|
256
|
287
|
8
|
256
|
256
|
-
|
-
|
7월(1)
|
제5차
|
300
|
202
|
98
|
-
|
202
|
202
|
-
|
-
|
6월(2)
|
제4차
|
291
|
172
|
117
|
2
|
172
|
172
|
-
|
-
|
6월(1)
|
제3차
|
223
|
183
|
40
|
-
|
183
|
183
|
-
|
-
|
5월
|
제2차
|
190
|
166
|
24
|
-
|
166
|
166
|
-
|
-
|
4월
|
제1차
|
9
|
4
|
5
|
-
|
4
|
4
|
-
|
-
|
1) 본인부담금 30만 원 이상의 신청 사례 610건, 30만원 미만의 신청 사례 2,815건
2)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9조에 따른 보상의 종류로 구분
□ 한편 추진단은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인과성 근거가 불충분하여 보상에서 제외된 중증 또는 특별관심 이상반응 환자에 대해서도 의료비 지원 사업을 통해 1인당 1천만 원까지 진료비 등을 지원하고 있다.
〈 중증 환자 등 의료비 지원사업 〉
△ (지원대상)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중증** 또는 특별 관심 이상반응***(심근염·심낭염 등)이 발생 하였으나, 피해조사반 또는 피해보상전문위원회 검토 결과 인과성 인정을 위한 근거자료가 불충분하여 피해보상에서 제외된 환자
(심의기준, ④-1 해당 시에만 지원)」
* ④-1 판정기준 : 예방접종 후 발생한 이상반응이 접종 전에 이를 유발할 만한 기저질환, 유전질환 등이 불명확하고, 이상반응을 유발한 소요시간이 개연성은 있으나, 백신과 이상반응 인과성 인정 관련 문헌이 거의 없는 경우
** 중증 이상반응 : 사망, 중환자실 치료 또는 이에 준하는 치료, 장애 등 발생 경우
*** 특별 관심 이상반응(Adverse Event of Special Interest), :WHO가 적극적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인정한 이상반응, 심근염·심낭염, 길랑-바레증후군, 다형홍반 등 포함
△ (지원내용)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발생한 질병의 진료비* 등으로 1인당 1,000만원 한도에서 지원하되, 기존의 기저질환 치료비 및 장제비는 제외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발생한 질환 관련 필수적인 비급여 포함하여 지원
* 실제 간병비가 발생한 경우에 한하여 1일당 5만원 범위에서 간병비 지원
|
○ 현재까지 의료비 지원대상으로 확정된 인원은 총 37명이며, 이 중 지원을 신청한 5명에 대해서는 의료비 지원이 완료되었다.
○ 다른 대상자 분들도 관할 시·군·구 보건소를 통해 지원신청 하는 대로 신속하게 지원해드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4. 예방접종 피해조사반의 이상반응 사례평가 결과 분석 (~9.10.)
|
□ 예방접종피해조사반(반장 김중곤 교수)은 현재까지 총 30차례 회의를 개최하여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발생한 이상반응 신고사례에 대한 인과성을 평가하였다.
○ 신고사례 총 2,263건(사망 632건, 중증 852건, 아나필락시스 779건) 중 276건(사망 2건, 중증 5건, 아나필락시스 269건)이 인과성 인정되었고, 36건(사망 3건, 중증 33건)이 근거 불충분한 사례*로 평가되었다.
* 근거가 불충분한 사례는 1천만 원 이내의 의료비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근거가 확보되면 재평가할 예정임
○ 제 30차 회의(9.10.)에서는 신규 146건(사망 34건, 중증 39건, 아나필락시스 73건) 및 재심 4건(사망 2건, 중증 2건)을 심의하였고, 이중 아나필락시스 24건이 인과성 인정되었고, 중증 2건(심근심낭염 1건, 면역성혈소판감소증 1건)은 근거 불충분한 사례로 평가하였다.
[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조사반의 이상반응 사례 평가결과(9.10. 기준) ] (단위 : 건)
구분*
|
누적사례
|
인과성 평가 결과
|
인정
|
불충분
|
불인정
|
보류
|
합계
|
2,263(146)
|
276(24)
|
36(2)
|
1,939(120)
|
12
|
사망
|
632(34)
|
21)
|
3
|
618(35)
|
9(-1)
|
중증
|
852(39)
|
52)
|
33(2)
|
811(36)
|
3(+1)
|
아나필락시스3)
|
779(73)
|
269(24)
|
0
|
510(49)
|
0
|
*피해조사반 평가 시점 기준으로 분류
누적사례의 ( )은 30차 회의의 신규사례, 그 외( )은 30차 회의 평가 결과
1) 혈소판감소성혈전증 1례(아스트라제네카), 급성심근염 1례(화이자)
2) 혈소판감소성혈전증 2례(아스트라제네카), 뇌정맥동혈전증 1례(아스트라제네카), 발열 후 경련으로 인한 혈압저하 1례(아스트라제네카), 급성심낭염 1례(화이자)
3) 아나필락시스 심의 사례 中 중증 아나필락시스는 14건(인과성 인정 11건·불인정 3건)
|
<코로나19 예방접종 이상반응 백신종류별 인정사례 (7건)>
접종백신
|
추정진단(사인)
|
아스트라제네카
|
사망
|
혈소판감소성 혈전증⑴
|
중증
|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⑵, 뇌정맥동혈전증⑴,
발열 후 경련으로 인한 혈압저하⑴
|
화이자
|
사망
|
심근염⑴
|
중증
|
심낭염⑴
|
<코로나19 예방접종 이상반응 백신종류별 근거 불충분 사례 (36건)>
접종백신
|
추정진단(사인)
|
아스트라제네카
|
사망
|
급성심근염⑴
|
중증
|
길랑-바레증후군⑾, 면역성혈소판감소증⑸
급성파종성뇌척수염⑴,
전신염증증후군⑴, 염증성근육병증⑴,
천식발작⑴, 폐색전증⑴,
|
화이자
|
사망
|
심근심낭염⑴
|
중증
|
급성심근염(8)*, 척수염⑴,
|
얀센
|
사망
|
모세혈관누출증후군⑴
|
중증
|
길랑-바레증후군(2)
|
모더나
|
중증
|
심근심낭염⑴
|
*1건은 교차접종(1차 접종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2차 접종: 화이자백신)
□ 예방접종피해조사반 제30차 회의(9.10.)에 제출된 신규 사망 및 중증 이상반응 사례를 분석한 결과,
○ 신규 사망 신고사례 34건의 평균 연령은 75.8세(범위 21~103세)였고, 이 중 27건(79.4%)에서 기저질환*이 있었으며, 접종한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14건), 화이자(14건), 모더나(3건), 얀센(2건) 및 교차접종(1건)이었다.
* 고혈압, 뇌졸중, 당뇨, 고지혈증, 허혈심장질환 등
○ 신규 중증 신고사례 39건의 평균 연령은 63.7세(범위 18-91세)였고, 이 중 29명(74.4%)에서 기저질환이 있었으며, 접종 후부터 증상 발생까지 평균 소요기간은 13.0일(범위: 직후∼71일), 접종한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15건), 화이자(19건) 및 모더나(5건)이었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전 세계 코로나19 발생에 대해 지난주에 비해 감소한 상황이며, 모든 지역*에서 신규 발생이 감소하였음을 밝혔다.
* (WHO 기준) 미주, 유럽, 동남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서태평양
○ 최근 1주간(9.6.∼9.12.) 전 세계 신규환자는 393만 명(WHO 기준)으로 전주(450만 명)에 비해 감소한 상황이다.
* (36주) 확진 3,931,221명(-13%), 사망 62,546명(-7%)
○ 미주지역의 경우 주간 신규 발생의 37%(1,462,450)를 차지하며, 6개 지역 중 가장 많은 발생을 보였으나, 지난주 대비 가장 큰 폭으로 감소(17%)하였다.
* 미주: (36주) 확진 1,462,450명(-17%), 사망 23,689명(-9%)
○ 두 번째로 신규 환자가 많은 지역은 유럽으로 전 세계 신규 발생의 28%를 차지하였으며 지난주 대비 5% 감소하였다.
* 유럽: (36주) 확진 1,113,722명(-5%), 사망 14,117명(-2%)
- 유럽 국가 중 주간 신규 발생이 가장 많은 국가는 영국으로 최근 5주 연속 발생이 증가하였고, 사망자는 4주 연속 증가하였다.
* 영국: (36주) 확진 256,051명(+5.3%), 사망 983명(+25.2%)
○ 서태평양 지역은 지난주 보다 8% 감소하였으나, 베트남의 경우 11주 연속 발생이 급증하여 역대 최대 발생을 보였다.
* 서태평양: (36주) 확진 487,586명(-8%), 사망 6,410명(+2%)
* 베트남: (36주) 확진 90,179명(+1.7%), 사망 2,225명(-6.8%)
○ 전 세계적으로 발생이 감소하였으나, 여러 국가에서 아직 높은 발생이 지속되는 상황으로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낮은 발생이 지속되고 있다.
○ 우리나라의 100만 명당 주간 확진자는 247명으로 지난주 대비 소폭 증가하였다. 영국은 3,655명으로 전 주 대비 증가하였으며, 이스라엘은 6,540명, 프랑스는 998명, 독일은 875명, 일본은 539명으로 감소한 상황이다.
- 100만 명당 주간 사망자의 경우 우리나라는 0.6명으로 지난주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미국은 29.4명, 영국은 14.3명, 독일은 3.2명, 일본은 3.5명을 기록하였다.
○ 우리나라의 백신 1차 접종률은 9.16. 0시 기준으로 68.1%(성인 인구 대비 79.2%)로 해외 주요국 대비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어, 이번 주 중 인구 대비 70%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된다.
【7개국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9.13. 기준)】
구분
|
누적 발생(명)
|
인구100만 명당 누적발생(명)
|
인구100만 명당
최근 7일간 발생
(9.6.∼9.12.)
|
예방접종률(%)
|
확진자 수
|
사망자 수
|
확진자 수
|
사망자 수
(치명률)
|
확진자 수
|
사망자 수
|
1회
이상
|
접종
완료
|
미국
|
40,675,578
|
653,099
|
122,886
|
1,973(1.6%)
|
2,838
|
29.4
|
62.3
|
53.1
|
영국
|
7,226,280
|
134,220
|
106,447
|
1,977(1.9%)
|
3,655
|
14.3
|
71.0
|
64.6
|
프랑스
|
6,702,450
|
113,566
|
103,052
|
1,746(1.7%)
|
998
|
8.1
|
73.3
|
63.1
|
독일
|
4,083,151
|
92,618
|
49,096
|
1,114(2.3%)
|
875
|
3.2
|
65.9
|
61.6
|
일본
|
1,639,545
|
16,797
|
12,963
|
133(1.0%)
|
539
|
3.5
|
63.3
|
51.2
|
이스라엘
|
1,176,270
|
7,383
|
135,898
|
853(0.6%)
|
6,540
|
18.5
|
68.8
|
63.1
|
한국
|
274,413
|
2,360
|
5,352
|
46(0.9%)
|
247
|
0.6
|
64.6
|
39.1
|
□ 9월 17일(금) 개별 계약된 모더나 백신 87.1만 회분이 인천공항에 도착 예정이다.
* 모더나 백신 편명 : KE270, 도착시간 9.17.(금) 12:40
○ 이로써 9월 17일 기준 누적 6,638만 회분의 백신이 국내 공급된다.
○ 정부는 안정적인 백신 공급을 위해 지속적으로 제약사와 긴밀히 협의해 나갈 예정이며, 구체적인 공급 일정은 협의 후 신속하게 안내할 계획이다.
【 ’21년 백신 도입 현황 및 계획 (’21.9.17. 기준, 단위: 회분) 】
백신 종류
|
도입 확정
|
도입 완료
|
도입 예정
|
계
|
상반기
|
7~8월
|
9.1~9.17
|
9.18~9.30
|
4분기
|
계
|
1억 9,490만
|
6,638만
|
1,862만
|
2,997만
|
1,779만
|
약 3,500만
(협의중)
|
약 9천만
|
아스트라제네카
|
2,000만
|
2,000만
|
881.4만
|
1,118.6만
|
-
|
|
|
화이자
|
6,705만
|
2,955만
|
700.2만
|
1,408.3만
|
846.5만
|
모더나
|
4,045만
|
1,280.2만
|
11.2만
|
336.1만
|
932.9만
|
얀센
|
740만
|
151.4만
|
101.3만
|
50.1만
|
-
|
노바백스
|
4,000만
|
-
|
-
|
-
|
-
|
코백스
|
아스트라
제네카
|
2,000만
|
210.2만
|
126.7만
|
83.5만
|
-
|
화이자
|
41.4만
|
41.4만
|
-
|
-
|
|
|
|
|
제약사와 공급 일정 협의 중이거나 일정 공개 협의 중(노바백스 백신은 허가 일정 고려)
|
|
|
|
|
|
|
|
|
|
|
|
|
|
|
|
|
|
|
|
|
※ 공급 일정 변동 시 별도 안내 예정
□ 국립보건연구원은 국가병원체자원은행(NCCP)을 통해 유관부처 및 연구기관 등에 분양된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주 분양 현황(9.8. 0시 기준)을 안내하였다.
○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주는 현재까지(’21.2.8.~9.8.) 총 73개 기관에 914건이 분양되었다.
- 활용 목적별로는 ▲백신 및 치료제 연구용 307건, ▲진단기술 개발용 591건, ▲기타 융합연구 등 16건이 분양되었으며, 지난주 대비 델타형의 분양신청이 가장 많이 증가(85건→90건)
- 변이 유형별로는 ▲주요 변이주(VOC)는 461*건, ▲ 기타 변이주(VOI)는 453**건이 분양되었다.
* 주요 변이주(VOC) : 알파형(143건), 베타형(139건), 감마형(89건), 델타형(90건)
** 기타 변이주(VOI) : 입실론형(147건), 제타형(75건), 에타형(67건), 이오타형(70건), 카파형(94건)
○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은 앞으로도 변이주에 대한 자원정보를 적극적으로 제공하고, 분양을 더욱 활성화하여 보건의료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분양문의) 국립보건연구원 병원체자원관리과, 043-913-4270
병원체자원은행 누리집: http://nccp.kdca.go.kr
※ 국가병원체자원은행에서 분양하는 코로나19바이러스는 질병관리청 진단분석국 신종병원체분석과 기탁자원임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치료제 투약현황(9.15. 0시 기준)을 안내하였다.
○ 먼저, 코로나19 치료제인 ‘베클루리주(렘데시비르)’는 현재까지 146개 병원 15,471명의 환자에게 투여되었다.
○ 코로나19 항체치료제인 ‘렉키로나주(레그단비맙)’는 현재까지 107개 병원 14,857명의 환자에게 투여되었다.
○ 혈장치료제의 경우, 임상시험 목적 이외의 치료목적*으로 49건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아 사용 중이다.
* 다른 수단이 없거나 생명을 위협하는 중증 환자 등의 치료를 위해 허가되지 않은 임상시험용 의약품이라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에서 내려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0시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 ‘일일확진자’ ▶ 다운로드(화살표선택) ▶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 시도별 발생동향 ▶ 시도 선택 ▶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
<붙임>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2.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3. 인과성 평가 사례의 일반적 특성 및 추정사인/진단명 분포
4. 오늘의 백신 안내문(접종기관용)
5. 코로나19 예방접종 전 꼭 알아야 할 5가지
6. 알아두면 편리한 코로나19 백신 사전예약 꿀팁
7. 코로나19 예방접종 온라인 예약방법 안내(영문)
8.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 및 Q&A
9. 코로나19 백신 관련 심근염 및 심낭염 안내문
10.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포스터
11.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한 안내
12. 여름철 올바른 환기 방법 안내
13.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방법 안내
14. 코로나19 유증상자 적극 검사 시행 포스터
15.「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코로나19 예방접종 국민행동수칙
2.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 홍보자료
3. 변경된 실내·외 마스크 착용 지침
4.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개편 관련 홍보자료(국‧영문)
5.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6.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7. 가족 감염 최소화를 위한 방역수칙
8. 가족 중 의심환자 발생 시 행동요령 점검표
9.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10.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11.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2.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13.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4. 올바른 소독방법 카드뉴스 1, 2, 3편
15.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내 및 주의사항(환경부)
16. 코로나19 예방 손 씻기 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