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신규환자 전주대비 감소(400만 → 367만 명)(9.23., 정례브리핑)
- 국내 발생률, 사망률 전주 대비 소폭 증가하였으나 주요국 대비 낮은 수준 유지 -
◆ 코로나19 국내예방접종완료자 관리지침 개정
○ 국내 예방접종 완료자 자가격리 면제 확대, 수동감시 중 검사강화
◆ 코로나19 국외발생 동향
○ 아프리카를 제외한 전 세계 모든 지역에서 신규 발생 감소
○ 국내 발생률, 사망률 모두 주요 국가 대비 낮은 수준 유지 중
◆ 국내 mRNA백신 개발 현황
○ 국내 mRNA백신 2종 1상 임상시험 진입, 국립감염병연구소에서 임상검체에 대한 중화항체 분석 수행
○ 제3차 mRNA백신 전문위원회 개최(9.14), 부처협력을 통해 mRNA백신 개발 지속 지원
◆ 예방접종 피해조사반 이상반응 사례평가 결과 분석
○ 신규 177건 및 재심 1건 심의, 아나필락시스 27건 인과성 인정
○ 사망 신고사례 46건 중 38건(82.6%), 중증 신고사례 56건 중 43건(76.8%)은 기저질환자
◆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분양 현황
○ 73개 기관에 914건 분양(주요 변이주 461건, 관심 변이주 453 건 등)
○ 주요 활용목적은 분자진단제제 개발 등 관련 연구
|
1. 코로나19 국내예방접종완료자 관리 지침 개정(제3판)
|
□ 질병관리청은 최근 예방접종 진행상황 및 변이바이러스 양상 등 방역상황의 변화를 반영하여 국내예방접종완료자 관리지침을 개정하고 내일(9.24.)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 개정지침에서는 예방접종완료자가 확진자와 밀접접촉 한 경우, 증상이 없으면 변이바이러스 여부에 관계없이 자가격리를 면제하여 수동감시를 하기로 하였다.
- 기존 지침에서 확진자가 델타변이 등에 감염된 경우에는 접촉자를 격리면제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었으나, 국내외 연구 분석 결과 변이바이러스에도 예방접종의 효과가 확인되고 있고 예방접종률 또한 지속 상승하고 있음을 반영한 것이다.
○ 수동감시 대상이 된 예방접종완료자는 총 2차례 PCR 검사*를 받고, ‘수동감시 대상자 생활수칙**’을 철저히 준수하여야 하며, 위반할 경우 자가격리로 전환된다.
* 접촉자 분류 직후 1회 및 최종 접촉일 기준 6-7일 후 1회
** 14일간 본인 건강상태 모니터링, 조금이라도 증상 있는 경우 검사받기, 외출 및 다중이용시설 등 방문 자제, 방역수칙(마스크 착용, 손씻기, 거리두기 등) 준수 등
○ 한편, 최근 집단발생이 보고되고 있는 고위험집단시설*에 대한 관리 강화방안으로, 확진자가 발생한 장기요양기관 등에 대해서는 접종완료한 경우라도 입소자, 이용자 및 종사자 대상 격리가 적용된다.
* 장기요양기관(요양병원, 요양원, 주간보호센터 등), 정신건강시설, 장애인시설, 교정시설 등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전 세계 코로나19 발생에 대해 지난주에 비해 감소한 상황이며, 아프리카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신규 발생이 감소하였음을 밝혔다.
* (WHO 기준) 미주, 유럽, 동남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서태평양
○ 최근 1주간(9.13.∼9.19.) 전 세계 신규환자는 367만명(WHO 기준)으로 전주(400만 명)에 비해 감소하였다.
* (37주) 확진 3,671,232명(-8%), 사망 59,839명(-7%)
○ 미주지역의 경우 주간 신규 발생의 38%(1,386,267명)를 차지하며, 6개 지역 중 가장 많은 발생을 보였으며, 지난주 대비 소폭 감소(-7%)하였다.
* 미주: (37주) 확진 1,386,267명(-7%), 사망 24,489명(-2%)
- 미주지역 중 주간 신규 발생이 가장 많은 국가는 미국으로 이전 주 대비 발생이 소폭 증가하였으며, 사망자 수는 17.6% 증가하였다.
* 미국: (37주) 확진 1,104,143명(+4.4%), 사망 14,842명(+17.6%)
○ 두 번째로 신규 환자가 많은 지역은 유럽으로 전 세계 신규 발생의 30%를 차지하였으며 지난주 대비 4% 감소하였다.
* 유럽: (37주) 확진 1,090,667명(-4%), 사망 14,477명(+1%)
○ 서태평양 지역은 지난주 대비 11% 감소하였으나, 싱가포르의 경우 이전 주 대비 주간 발생이 108% 증가하였다.
* 서태평양: (37주) 확진 461,979명(-11%), 사망 6,852명(+7%)
* 싱가포르: (37주) 확진 5,625명(+108.5%), 사망 2명(-33.3%)
○ 전 세계적으로 발생이 감소하였으나, 여러 국가에서 아직 높은 발생이 지속되는 상황으로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낮은 발생이 지속되고 있다.
○ 우리나라의 100만 명당 주간 확진자는 253명으로 지난주 대비 소폭 증가하였다. 미국은 3,074명으로 전 주 대비 증가하였으며, 영국은 2,991명, 프랑스는 733명, 독일은 775명, 일본은 325명, 이스라엘은 6,083명으로 감소한 상황이다.
- 100만 명당 주간 사망자의 경우 우리나라는 0.9명으로 지난주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미국은 39명, 영국은 14.8명, 독일은 4.2명으로 증가하였고, 프랑스는 6.4명, 일본은 3.3명, 이스라엘은 13.7명으로 감소하였다.
【7개국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9.20. 기준)】
구분
|
누적 발생(명)
|
인구100만명당 누적발생(명)
|
인구100만명당
최근 7일간 발생
(9.13.∼9.19.)
|
예방접종률(%)
(’21.9.19.)*
|
확진자 수
|
사망자 수
|
확진자 수
|
사망자 수
(치명률)
|
확진자 수
|
사망자 수
|
1회
이상
|
접종
완료
|
미국
|
41,
|
667,244
|
126,031
|
2,016(1.6%)
|
3,074
|
39.0
|
63.0
|
53.9
|
영국
|
7,400,743
|
135,147
|
109,017
|
1,991(1.8%)
|
2,991
|
14.8
|
71.2
|
65.2
|
프랑스
|
6,740,375
|
113,861
|
103,635
|
1,751(1.7%)
|
733
|
6.4
|
73.6
|
63.7
|
독일
|
4,142
|
92,958
|
49,805
|
1,118(2.2%)
|
775
|
4.2
|
66.6
|
62.6
|
일본
|
1,673,144
|
17,156
|
13,229
|
136(1.0%)
|
325
|
3.3
|
65.6
|
53.3
|
이스라엘
|
1,221,516
|
7,511
|
141,125
|
868(0.6%)
|
6,083
|
13.7
|
69.0
|
63.6
|
한국
|
285,931
|
2,404
|
5,577
|
47(0.8%)
|
253
|
0.9
|
71.0
|
43.1
|
* (예방접종률) 프랑스 9.15., 일본 9.16. 기준
□ 국립보건연구원(원장 권준욱) 국립감염병연구소(소장 장희창)는 2021년 9월 14일 제3차 mRNA 백신 전문위원회를 개최하였고, 부처협력을 통해 국내에 신속한 mRNA 백신 개발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 국내 개발 중인 백신 중 현재 합성항원 백신 1종이 3상 임상시험에 진입하였고, 합성항원 백신 1종, DNA 백신 2종, 바이러스전달체 백신 1종이 2상 임상시험 중이다. 합성항원 백신 2종과 바이러스전달체 백신 1종이 1상 임상시험에 진행 중에 있다.
- mRNA 백신은 2종이 1상 임상시험에 진입하였으며, 이들 백신의 임상 검체에 대한 중화항체 분석을 국립감염병연구소에서 수행할 예정이다.
○ 또한, 국립감염병연구소는 국내 mRNA 백신 개발 기업들과 협력하여 후보물질 개발과 비임상 평가에 대한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 mRNA 백신 원부자재로 사용되는 캡핑효소와 지질나노입자 개발을 위한 연구도 진행하여 국내 mRNA 백신 개발을 앞당길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4. 예방접종 피해조사반의 이상반응 사례평가 결과 분석 (~9.23.)
|
□ 예방접종피해조사반(반장 김중곤 교수)은 현재까지 총 31차례 회의를 개최하여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발생한 이상반응 신고사례에 대한 인과성을 평가하였다.
○ 신고사례 총 2,440건(사망 678건, 중증 908건, 아나필락시스 854건) 중 303건(사망 2건, 중증 5건, 아나필락시스 296건)이 인과성 인정되었고, 38건(사망 3건, 중증 35건)이 근거 불충분한 사례*로 평가되었다.
* 근거가 불충분한 사례는 1천만 원 이내의 의료비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근거가 확보되면 재평가할 예정임
○ 제 31차 회의(9.17일)에서는 신규 177건(사망 46건, 중증 56건, 아나필락시스 75건) 및 재심 1건(사망 1건)을 심의하였고, 이중 아나필락시스 27건이 인과성 인정되었고, 중증 2건(심근·심낭염 1건, 길랑-바레증후군 1건)은 근거 불충분한 사례로 평가되었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조사반의 이상반응 사례 평가결과(9.23. 기준)> (단위 : 건)
구분*
|
누적사례
|
인과성 평가 결과
|
인정
|
불충분
|
불인정
|
보류
|
합계
|
2,440(177)
|
303(27)
|
38(2)
|
2,087(148)
|
12
|
사망
|
678(46)
|
21)
|
3
|
665(47)
|
8(-1)
|
중증
|
908(56)
|
52)
|
35(2)
|
864(53)
|
4(+1)
|
아나필락시스3)
|
854(75))
|
296(27)
|
0
|
558(48)
|
0
|
*피해조사반 평가 시점 기준으로 분류
누적사례의 ( )은 31차 회의의 신규사례 그 외( )은 31차 회의 평가 결과
1) 혈소판감소성혈전증 1례(아스트라제네카), 급성심근염 1례(화이자)
2) 혈소판감소성혈전증 2례(아스트라제네카), 뇌정맥동혈전증 1례(아스트라제네카), 발열 후 경련으로 인한 혈압저하 1례(아스트라제네카), 급성심낭염 1례(화이자)
3) 아나필락시스 심의 사례 中 중증 아나필락시스는 14건(인과성 인정 11건·불인정 3건)
|
<코로나19 예방접종 이상반응 백신종류별 인정사례 (7건)>
접종백신
|
추정진단(사인)
|
아스트라제네카
|
사망
|
혈소판감소성 혈전증⑴
|
중증
|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⑵, 뇌정맥동혈전증⑴,
발열 후 경련으로 인한 혈압저하⑴
|
화이자
|
사망
|
심근염⑴
|
중증
|
심낭염⑴
|
<코로나19 예방접종 이상반응 백신종류별 근거 불충분 사례 (38건)>
접종백신
|
추정진단(사인)
|
아스트라제네카
|
사망
|
급성심근염⑴
|
중증
|
길랑-바레증후군⑿, 면역성혈소판감소증⑸
급성파종성뇌척수염⑴,
전신염증증후군⑴, 염증성근육병증⑴,
천식발작⑴, 폐색전증⑴,
|
화이자
|
사망
|
심근심낭염⑴
|
중증
|
급성심근염(8)*, 심근심낭염⑴, 척수염⑴,
|
얀센
|
사망
|
모세혈관누출증후군⑴
|
중증
|
길랑-바레증후군(2)
|
모더나
|
중증
|
심근심낭염⑴
|
*1건은 교차접종(1차 접종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2차 접종: 화이자백신)
□ 예방접종피해조사반 제31차 회의(9.17일)에 제출된 신규 사망 및 중증 이상반응 사례를 분석한 결과,
○ 사망 신고사례 46건의 평균 연령은 64.0세(범위: 24~96세)였고, 이 중 38건(82.6%)에서 기저질환*이 있었으며, 접종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21건), 화이자(20건), 모더나(2건), 얀센(1건) 및 교차접종(2건)이었다.
* 고혈압, 뇌졸중, 당뇨, 고지혈증, 허혈심장질환 등
○ 중증 신고사례 56건의 평균 연령은 59.9세(범위 20~88세)였고, 이 중 43건(76.8%)에서 기저질환이 있었으며, 접종 후부터 증상 발생까지 평균 소요기간은 10.9일(범위: 직후∼46일), 접종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26건), 화이자(25건), 모더나(2건), 얀센(1건) 및 교차접종(2건)이었다.
□ 국립보건연구원은 국가병원체자원은행(NCCP)을 통해 유관부처 및 연구기관 등에 분양된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주 분양 현황(9.23. 0시 기준)을 안내하였다.
○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주는 현재까지(’21.2.8.~9.23.) 총 73개 기관에 914건이 분양되었다.
- 활용 목적별로는 ▲백신 및 치료제 연구용 307건, ▲진단기술 개발용 591건, ▲기타 융합연구 등 16건이 분양되었으며,
- 변이 유형별로는 ▲주요 변이주(VOC)는 461*건, ▲ 기타 변이주(VOI)는 453**건이 분양되었다.
* 주요 변이주(VOC) : 알파형(143건), 베타형(139건), 감마형(89건), 델타형(90건)
** 기타 변이주(VOI) : 입실론형(147건), 제타형(75건), 에타형(67건), 이오타형(70건), 카파형(94건)
○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은 앞으로도 변이주에 대한 자원정보를 적극적으로 제공하고, 분양을 더욱 활성화하여 보건의료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분양문의) 국립보건연구원 병원체자원관리과 043-913-4270,
병원체자원은행 누리집: http://nccp.kdca.go.kr
※ 국가병원체자원은행에서 분양하는 코로나19바이러스는 질병관리청 진단분석국 신종병원체분석과 기탁자원임
[국내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주 분양 현황(’21.9.23. 0시 기준)]
목적
자원
|
백신·치료제연구
|
진단기술연구
|
기타
|
계
|
분양기관
|
17
|
54
|
2
|
73
|
분양수(주)
|
307
|
591
|
16
|
914
|
V
O
C
주
|
알파형
(영국 GRY: B.1.1.7)
|
46
|
20
|
1
|
67
|
베타형
(남아프리카공화국 GH: B.1.351)
|
62
|
31
|
1
|
94
|
감마형
(미국/브라질 GR: P.1)
|
51
|
38
|
1
|
90
|
델타형
(인도 G: 1.617.2)
|
91
|
45
|
3
|
139
|
V
O
I
주
|
입실론형
(미국/캘리포니아 GH: B.1.427)
|
48
|
21
|
1
|
70
|
입실론형
(미국/캘리포니아 GH: B.1.429)
|
51
|
25
|
1
|
77
|
제타형
(브라질 GR: P.2)
|
49
|
20
|
1
|
70
|
에타형
(영국/나이지리아 G: B.1.525)
|
45
|
27
|
3
|
75
|
이오타형
(미국/뉴욕 GH: B.1.526)
|
56
|
32
|
1
|
89
|
카파형
(인도 G: 1.617.1)
|
92
|
48
|
3
|
143
|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치료제 투약현황(9.22. 0시 기준)을 안내하였다.
○ 먼저, 코로나19 치료제인 ‘베클루리주(렘데시비르)’는 현재까지 150개 병원 15,883명의 환자에게 투여되었다.
○ 코로나19 항체치료제인 ‘렉키로나주(레그단비맙)’는 현재까지 113개 병원 15,495명의 환자에게 투여되었다.
○ 혈장치료제의 경우, 임상시험 목적 이외의 치료목적*으로 49건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아 사용 중이다.
* 다른 수단이 없거나 생명을 위협하는 중증 환자 등의 치료를 위해 허가되지 않은 임상시험용 의약품이라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에서 내려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0시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 ‘일일확진자’ ▶ 다운로드(화살표선택) ▶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 시도별 발생동향 ▶ 시도 선택 ▶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
<붙임>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2.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3. 인과성 평가 사례의 일반적 특성 및 추정사인/진단명 분포
4. 해외 주요 국가 방역 현황 통계(9.20. 기준)
5. 오늘의 백신 안내문(접종기관용)
6. 코로나19 예방접종 전 꼭 알아야 할 5가지
7. 알아두면 편리한 코로나19 백신 사전예약 꿀팁
8. 코로나19 예방접종 온라인 예약방법 안내(영문)
9.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 및 Q&A
10. 코로나19 백신 관련 심근염 및 심낭염 안내문
11.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포스터
12.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한 안내
13. 여름철 올바른 환기 방법 안내
14.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방법 안내
15. 코로나19 유증상자 적극 검사 시행 포스터
16.「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코로나19 예방접종 국민행동수칙
2.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 홍보자료
3. 변경된 실내·외 마스크 착용 지침
4.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개편 관련 홍보자료(국‧영문)
5.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6.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7. 가족 감염 최소화를 위한 방역수칙
8. 가족 중 의심환자 발생 시 행동요령 점검표
9.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10.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11.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2.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13.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4. 올바른 소독방법 카드뉴스 1, 2, 3편
15.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내 및 주의사항(환경부)
16. 코로나19 예방 손 씻기 포스터